[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1번 (박쥐 수컷 개구리 음탐지)

개요

다음은 2021년도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1번 문제다.

문제

문 11. 다음 글의 <실험 결과>에 대한 판단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박쥐 X가 잡아먹을 수컷 개구리의 위치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듣고 위치를 찾아내는 ‘음탐지’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X가 초음파를 사용하여, 울음소리를 낼 때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울음주머니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위치를 찾아내는 ‘초음파탐지’ 방법이다. 울음주머니의 움직임이 없으면 이 방법으로 수컷 개구리의 위치를 찾을 수 없다.

<실 험>

한 과학자가 수컷 개구리를 모방한 두 종류의 로봇개구리를 제작했다. 로봇개구리 A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내고,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울음주머니도 가지고 있다. 로봇개구리 B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만 내고,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울음주머니는 없다. 같은 수의 A 또는 B를 크기는 같지만 서로 다른 환경의 세 방 안에 같은 위치에 두었다. 세 방의 환경은 다음과 같다.

○방 1: 로봇개구리 소리만 들리는 환경

○방 2: 로봇개구리 소리뿐만 아니라, 로봇개구리가 있는 곳과 다른 위치에서 로봇개구리 소리와 같은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 환경

○방 3: 로봇개구리 소리뿐만 아니라, 로봇개구리가 있는 곳과 다른 위치에서 로봇개구리 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 환경

각 방에 같은 수의 X를 넣고 실제로 로봇개구리를 잡아먹기 위해 공격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측정했다. X가 로봇개구리의 위치를 빨리 알아낼수록 공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짧다.

<실험 결과>

○방 1: A를 넣은 경우는 3.4초였고 B를 넣은 경우는 3.3초로 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방 2: A를 넣은 경우는 8.2초였고 B를 넣은 경우는 공격하지 않았다.

○방 3: A를 넣은 경우는 3.4초였고 B를 넣은 경우는 3.3초로 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보 기>
ㄱ.방 1과 2의 <실험 결과>는, X가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 환경에서는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ㄴ.방 2와 3의 <실험 결과>는, X가 소리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ㄷ.방 1과 3의 <실험 결과>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들리는 환경에서는 X가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방 1과 2의 <실험 결과>는, X가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 환경에서는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방 1과 2의 차이는 방 2에서는 다른 위치에서 로봇개구리 소리와 같은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지 여부다. 따라서 방 2에서는 박쥐 X가 수컷 개구리의 위치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다.

실험 결과를 보면 A를 넣은 경우 공격하는 데 걸린 평균 시간이 방 1에서는 3.4초였고, 방 2에서는 8.2초였다. 이는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 경우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B를 넣은 경우 공격하는 데 걸린 평균 시간이 방 1에서는 3.3초였고, 방 2에서는 공격하지 않았다. 이는 ‘초음파탐지’에 사용되는 울음주머니가 B에게는 없어서 발생한 결과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방 2와 3의 <실험 결과>는, X가 소리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방 2와 3의 차이는 로봇개구리 소리와 같은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지 아니면 로봇개구리 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지 여부다.

방 2에서는 위 보기에서 본 바와 같이 박쥐 X가 똑같은 로봇개구리 소리에’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아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반면 방 3에서는 방 1과의 실험 결과와 차이가 없으므로 X가 로봇개구리 소리와 로봇개구리가 아닌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방 1과 3의 <실험 결과>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들리는 환경에서는 X가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방 1과 3의 <실험 결과>를 보면 X가 수컷 개구리를 공격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X가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면 방 2의 결과에서처럼 수컷 개구리를 공격하는데 ‘음탐지’ 방법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방 1과 3에서 X가 ‘음탐지’ 방법을 사용했다 것을 뜻한다.

 

정답은 ③번이다.

 

2021 국가직 7급 PSAT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국가직 7급 PSAT

PSAT 언어논리

공무원 PSAT 기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