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7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26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6. 다음 글에서 바르게 추론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믿음들은 추가로 획득된 정보에 의해서 수정된다. 뺑소니사고의 용의자로 갑, 을, 병이 지목되었고 이 중 단 한 명만 범인이라고 하자. 수사관 K는 운전 습관, 범죄 이력 등을 근거로 각 용의자가 범인일 확률을 추측하여, ‘갑이 범인’이라는 것을 0.3, ‘을이 범인’이라는 것을 0.45, ‘병이 범인’이라는 것을 0.25만큼 믿게 되었다고 하자. 얼마 후 병의 알리바이가 확보되어 병은 용의자에서 제외되었다. 그렇다면 K의 믿음의 정도는 어떻게 수정되어야 할까?
믿음의 정도를 수정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방법 A는 0.25를 다른 두 믿음에 동일하게 나누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병의 알리바이가 확보된 이후 ‘갑이 범인’이라는 것과 ‘을이 범인’이라는 것에 대한 K의 믿음의 정도는 각각 0.425와 0.575가 된다. 방법 B는 기존 믿음의 정도에 비례해서 분배하는 것이다. 위 사례에서 ‘을이 범인’이라는 것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 0.45는 ‘갑이 범인’이라는 것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 0.3의 1.5배이다. 따라서 믿음의 정도 0.25도 이 비율에 따라 나누어주어야 한다. 즉 방법 B는 ‘갑이 범인’이라는 것에는 0.1을, ‘을이 범인’이라는 것에는 0.15를 추가하는 것이다. 결국 방법 B에 따르면 병의 알리바이가 확보된 이후 ‘갑이 범인’이라는 것과 ‘을이 범인’이라는 것에 대한 K의 믿음의 정도는 각각 0.4와 0.6이 된다. |
<보 기> |
ㄱ. 만약 기존 믿음의 정도들이 위 사례와 달랐다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합은, 방법 A와 방법 B 중 무엇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ㄴ. 만약 기존 믿음의 정도들이 위 사례와 달랐다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방법 A를 이용한 결과가 방법 B를 이용한 결과보다 클 수 있다. ㄷ. 만약 ‘갑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와 ‘을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가 같았다면, ‘병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에 상관없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방법 A를 이용한 결과와 방법 B를 이용한 결과는 서로 같다. |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만약 기존 믿음의 정도들이 위 사례와 달랐다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합은, 방법 A와 방법 B 중 무엇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갑 | 을 | 병 | |
믿음의 정도 | a | b | c |
방법 A | a + \(\dfrac{\text{c}}{\text{2}}\) | b + \(\dfrac{\text{c}}{\text{2}}\) | |
방법 B | a + \(\dfrac{\text{a}}{\text{a+b}}×c\) | b + \(\dfrac{\text{b}}{\text{a+b}}×c\) |
기존 믿음의 정도들이 달라져, 갑, 을, 병에 대한 K의 믿음의 정도가 각각 a, b, c라고 하자.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되기 전에, 갑, 을, 병에 대한 K의 믿음의 정도의 합은 0.3 + 0.45 + 0.25 = 1이다.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방법 A에 따른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합은 a + \(\dfrac{\text{c}}{\text{2}}\) + b + \(\dfrac{\text{c}}{\text{2}}\) = a + b + c = 1이다.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방법 B에 따른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합은 a + \(\dfrac{\text{a}}{\text{a+b}}×c\) + b + \(\dfrac{\text{b}}{\text{a+b}}×c\) = a + b + \(\dfrac{\text{a+b}}{\text{a+b}}×c\) = a + b + c = 1이다.
만약 기존 믿음의 정도들이 위 사례와 달랐다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합은, 방법 A와 방법 B 중 무엇을 이용하든 모두 같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만약 기존 믿음의 정도들이 위 사례와 달랐다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방법 A를 이용한 결과가 방법 B를 이용한 결과보다 클 수 있다.
기존 믿음의 정도에서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방법 A를 이용한 결과가 방법 B를 이용한 결과보다 작다.
방법 A에 따른 차이: 0.575 – 0.425 = 0.15
방법 B에 따른 차이: 0.6 – 0.4 = 0.2
갑 | 을 | 병 | |
믿음의 정도 | a | b | c |
방법 A | a + \(\dfrac{\text{c}}{\text{2}}\) | b + \(\dfrac{\text{c}}{\text{2}}\) | |
방법 B | a + \(\dfrac{\text{a}}{\text{a+b}}×c\) | b + \(\dfrac{\text{b}}{\text{a+b}}×c\) |
믿음의 정도들이 달라져, a가 b보다 크다고 가정하자. (a>b, a>b>0)
방법 A에 따른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a + \(\dfrac{\text{c}}{\text{2}}\) – b – \(\dfrac{\text{c}}{\text{2}}\) = a – b이다
방법 B에 따른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a + \(\dfrac{\text{a}}{\text{a+b}}×c\) – b – \(\dfrac{\text{b}}{\text{a+b}}×c\) = a – b + \(\dfrac{\text{a-b}}{\text{a+b}}×c\)이다. a가 b보다 크기 때문에 \(\dfrac{\text{a-b}}{\text{a+b}}×c\)는 0보다 크다.
결국 a가 b보다 크다고 가정할 때 방법 A에 따른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방법 B에 따른 믿음의 정도의 차이보다 작다.
만약 \(\dfrac{\text{a-b}}{\text{a+b}}×c\)를 음수로 만들기 위해서 b가 a보다 크다고 가정하자.
방법 A에 따른 ‘을이 범인’과 ‘갑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b + \(\dfrac{\text{c}}{\text{2}}\) – a – \(\dfrac{\text{c}}{\text{2}}\) = b – a이다
방법 B에 따른 ‘을이 범인’과 ‘갑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b + \(\dfrac{\text{b}}{\text{b+a}}×c\) – a- \(\dfrac{\text{a}}{\text{b+a}}×c\) = b – a + \(\dfrac{\text{b-a}}{\text{b+a}}×c\)이다. b가 a보다 크기 때문에 \(\dfrac{\text{b-a}}{\text{b+a}}×c\)는 0보다 크다.
결국 b가 a보다 크다고 가정할 때 방법 A에 따른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방법 B에 따른 믿음의 정도의 차이보다 작다.
기존 믿음의 정도들이 위 사례와 달라져도,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갑이 범인’과 ‘을이 범인’에 대한 믿음의 정도의 차이는 방법 A를 이용한 결과가 방법 B를 이용한 결과보다 항상 작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만약 ‘갑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와 ‘을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가 같았다면, ‘병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에 상관없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방법 A를 이용한 결과와 방법 B를 이용한 결과는 서로 같다.
갑 | 을 | 병 | |
믿음의 정도 | a | a | c |
방법 A | a + \(\dfrac{\text{c}}{\text{2}}\) | a + \(\dfrac{\text{c}}{\text{2}}\) | |
방법 B | a + \(\dfrac{\text{a}}{\text{a+a}}×c\) = a + \(\dfrac{\text{c}}{\text{2}}\) | a + \(\dfrac{\text{a}}{\text{a+a}}×c\) = a + \(\dfrac{\text{c}}{\text{2}}\) |
‘갑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와 ‘을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가 a로 같다고 가정하자.
만약 ‘갑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와 ‘을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가 같았다면, ‘병이 범인’에 대한 기존 믿음의 정도에 상관없이 병이 용의자에서 제외된 뒤 방법 A를 이용한 결과와 방법 B를 이용한 결과는 서로 같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17 5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9번 40번 해설 – 양자역학 해석 가지 입자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8번 해설 – 해마 신경세포 장소세포 격자세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7번 해설 – 유전체 프로젝트 유전자 결정론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6번 해설 – 소셜미디어 진보 성향 트위터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5번 해설 – 행위 의도 결과 도덕성 여부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4번 해설 – 공리 증명 직관 수식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3번 해설 – 동물실험 데카르트 칸트 고통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2번 해설 – 우수공무원 표창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1번 해설 – 위기관리체계 점검 회의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0번 해설 – 인간 간주 수정체 접합체 배아 태아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9번 해설 – 구들 난방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8번 해설 – 니체 노예의 도덕 주인의 도덕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7번 해설 – 빌리루빈 유로빌리노젠 적혈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6번 해설 – 믿음의 정도 수사관 K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5번 해설 – 입양 양부모 봉양 변해석 변담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4번 해설 – 신문 신보 상하이 요코하마 한성순보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3번 해설 – 1930년대 탐정소설 탐정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2번 해설 – 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은광석 이와미 은광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1번 해설 – 기운 이치 본연의 이치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9번 20번 해설 –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8번 해설 – 우울증 창조성 유전자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7번 해설 – 탄수화물 케토시스 현상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6번 해설 – 행복감 소득 물질재 지위재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5번 해설 – 논증 구조 신비적 경험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4번 해설 – 정보통신기술 논쟁 가전제품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3번 해설 – 전지전능 신 행동 자유 강요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2번 해설 – A국 B국 사신 주장 군수물자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1번 해설 – 양적완화 환율 달러화 금리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0번 해설 – 관용 역설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9번 해설 – 인지부조화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8번 해설 – A원리 도덕적 허용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7번 해설 – 인의 이익 걸 주 탕 무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6번 해설 – 혈액 적혈구 골수 도핑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5번 해설 – 전체근육 근육섬유 등척수축 근육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4번 해설 – 서경 유교 논어 공자 맹자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번 해설 – 게리 베커 시간의 비용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번 해설 – 김치 미생물 효모 호기성 세균 혐기성 세균 유산균
- [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번 해설 – 재일조선인 협화회
관련 문서
- 2017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