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7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5번 해설 – 입양 양부모 봉양 변해석 변담

개요

다음은 2017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25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5. 다음 글에서 알 수 있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조선후기에 들어와 아들이 없어 대를 이을 수 없는 양반들은 가계의 단절을 막기 위해 양자를 적극적으로 입양했다. 양자는 생부와 양부가 모두 생존해 있을 때 결정되기도 하지만, 양부 혹은 양부모가 모두 젊은 나이에 사망했을 때는 사후에 정해지기도 했다. 어떤 형식이든 간에 목적은 아들이 없는 집의 가계 계승이었다.

양반가에서 입양이 일단 이루어지면 양부모와 양자의 부자관계는 지속되었으며 세월이 흘러 세대가 바뀌어도 그 관계는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입양이 일시적으로만 유지되는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하층민에게서 나타나는 현상이었다. 호적을 보면 평민은 물론 노비층에도 양자가 존재했으며 때로는 양부와 양자의 성씨가 다른 경우도 있었다. 양자의 성씨가 다른 경우는 가계 계승을 목적으로 하는 입양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그러므로 조선후기에 성씨가 다른 양자가 보인다면 이는 양반가가 아닌 하층민에서 노동력 확보나 노후 봉양 등을 목적으로 한 입양이었다.

양반 남성에게 양자는 자신과 성씨가 같으며 부계 혈통을 나누어 가진 자여야만 했다. 더구나 가문 내에서 세대 간 순차적 연결을 위해, 입양하려는 사람은 입양 대상자를 자신의 아들 항렬에 해당하는 친족으로 한정했다. 따라서 적당한 입양 대상자를 찾기 위하여 때로는 20∼30촌이 넘는 부계친족의 협조를 받아 입양하기도 했다. 입양된 양자는 양부모의 재산을 물려받고, 그들을 위해 매년 제사를 지냈으며, 호적에도 생부가 아닌 양부가 친부로 기록되며 이는 결코 변경되지 않았다. 한편 적자와 서자의 차별이 강화되고 적자를 통해 가계를 계승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적자는 없지만 서자가 있는 양반가에서도 양자를 들였다. 하층민들도 부계의 아들 항렬을 입양하기도 했는데, 양반과는 달리 입양의 목적이 반드시 가계 계승에 있지는 않았다. 가계 계승이 아닌 양부모 봉양 때문에 이루어진 하층민의 친족 입양은 그 목적이 사라지면 입양 관계가 종결되었다.

조선후기 호적에는 입양 사실을 보여주는 여러 기록이 있다. 예를 들어 경상도 단성현 법물야면 호적에는 1750년에 변담이 큰아버지 변해석의 양자로 들어갔음이 기록되어 있는데, 1757년에 변해석이 사망한 후 1759년 호적에는 변담의 생부인 변해달이 변담의 친부로 기록되어 있다.

<보 기>
ㄱ. 변해석은 노동력 확보를 위해 변담을 양자로 입양했다.

ㄴ. 변담은 가계 계승을 목적으로 변해석의 양자로 들어갔다.

ㄷ. 경상도 단성현 법물야면의 호적에는 평민 등 하층민에 대해서도 기록되어 있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변해석은 노동력 확보를 위해 변담을 양자로 입양했다.

변해석이 사망한 후 호적에 변담의 생부인 변해달이 변담의 친부로 기록되어 있었다면, 변해석은 양반 남성이 아니었고, 가계 계승을 위해 변담을 양자를 입양한 것도 아니다.

따라서 변해석은 하층민으로, 부계의 아들 항렬인 변담을 양자로 입양했고, 입양의 목적은 양부모인 본인에 대한 봉양이었다.

하층민에서 성씨가 다른 양자가 보인다면 노동력 확보나 노후 봉양 등을 위한 목적으로 한 입양이지만, 큰아버지 변해석과 양자 변담의 경우는 양부모 봉양이 입양의 목적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변담은 가계 계승을 목적으로 변해석의 양자로 들어갔다.

변담을 가계 계승을 목적으로 변해석의 양자로 입양했다면 호적에 양부인 변해석이 친부로 기록되었겠지만, 변담의 생부인 변해달이 변담의 친부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가계 계승의 목적으로 입양된 것이 아니다. 양부인 변해석의 봉양의 목적으로 입양된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경상도 단성현 법물야면의 호적에는 평민 등 하층민에 대해서도 기록되어 있다.

변해석이 가계 계승의 목적으로 변담이 입양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변해석은 하층민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17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