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21번 해설 – 멸종위기종 분수 대소 비교 팁

개요

다음은 2020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자료해석영역 가책형 2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1. 다음 <표>는 ‘갑’국의 멸종위기종 지정 현황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멸종위기종 지정 현황

(단위: 종)

지정

분류

멸종위기종
멸종위기Ⅰ급 멸종위기Ⅱ급
포유류 20 12 8
조류 63 14 49
양서ㆍ파충류 8 2 6
어류 27 11 16
곤충류 26 6 20
무척추동물 32 4 28
식물 88 11 77
전체 264 60 204
※ 멸종위기종은 멸종위기Ⅰ급과 멸종위기Ⅱ급으로 구분함.

① 멸종위기종으로 ‘포유류’만 10종을 추가로 지정한다면, 전체 멸종위기종 중 ‘포유류’의 비율은 10% 이상이다.

② 각 분류에서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은 ‘무척추동물’과 ‘식물’이 동일하다.

③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에서 5종씩 지정을 취소한다면, 전체 멸종위기종 중 ‘조류’의 비율은 감소한다.

④ 각 분류에서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은 ‘조류’가 ‘양서ㆍ파충류’보다 높다.

⑤ ‘포유류’를 제외한 모든 분류에서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은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보다 높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멸종위기종으로 ‘포유류’만 10종을 추가로 지정한다면, 전체 멸종위기종 중 ‘포유류’의 비율은 10% 이상이다.

<표> 멸종위기종 지정 현황

(단위: 종)

지정

분류

멸종위기종
멸종위기Ⅰ급 멸종위기Ⅱ급
포유류 20 + 10 12 8
조류 63 14 49
양서ㆍ파충류 8 2 6
어류 27 11 16
곤충류 26 6 20
무척추동물 32 4 28
식물 88 11 77
전체 264 + 10 60 204

전체 멸종위기종 중 ‘포유류’의 비율 = 30종274종 ≒ 10.9%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각 분류에서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은 ‘무척추동물’과 ‘식물’이 동일하다.

‘무척추동물’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 = 432=18

‘식물’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 = 1188=18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에서 5종씩 지정을 취소한다면, 전체 멸종위기종 중 ‘조류’의 비율은 감소한다.

<표> 멸종위기종 지정 현황

(단위: 종)

지정

분류

멸종위기종
멸종위기Ⅰ급 멸종위기Ⅱ급
포유류 20 – 5 12 8
조류 63 – 5 14 49
양서ㆍ파충류 8 – 5 2 6
어류 27 – 5 11 16
곤충류 26 – 5 6 20
무척추동물 32 – 5 4 28
식물 88 – 5 11 77
전체 264 – 35 60 204

지정 취소 전 전체 멸종위기종 중 ‘조류’의 비율 ≒ 63종264종 ≒ 23.9%

지정 취소 후 전체 멸종위기종 중 ‘조류’의 비율 ≒ 58종229종25.3%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에서 5종씩 지정을 취소한다면, 전체 멸종위기종 중 ‘조류’의 비율은 증가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 빠른 계산 팁 – 분수 크기 비교법

ABCD에서 A > C, B > D이면 분자 간의 차와 분모 간의 차를 이용해서 두 분수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AB>ACBD이면 AB<CD이고, AB<ACBD이면 AB>CD이다.

증명: AB>ACBD 식을 전개하면 ABAD>ABBC이다. 양변에 AB를 소거하면 AD>BC이 된다. 또 양변에 -1을 곱하게 되면 부호가 바뀌어 AD<BC가 된다. 다시 여기에 양변에 BD로 나누게 되면 AB<CD이 된다.

예)

50100와 4050비교50100>1050=50401005050100<4050

63종264종의 분자와 분모에서 58종229종를 빼면 63종-58종264종-229종=5종35종=65종455종이 된다.

65종455종63종264종보다 작기 때문에 58종229종63종264종보다 큰 값이다.

따라서 지정 취소 후에 비율은 증가한다.

 

④ 각 분류에서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은 ‘조류’가 ‘양서ㆍ파충류’보다 높다.

‘조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 = 4963

‘양서ㆍ파충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 = 68

4963 > 4864=68

‘조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은 ‘양서ㆍ파충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보다 분자가 더 크고, 분모는 더 작기 때문에 전체 값은 더 크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포유류’를 제외한 모든 분류에서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은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보다 높다.

<표> 멸종위기종 지정 현황

(단위: 종)

지정

분류

멸종위기종
멸종위기Ⅰ급 멸종위기Ⅱ급
포유류 20 12 8
조류 63 14 49
양서ㆍ파충류 8 2 6
어류 27 11 16
곤충류 26 6 20
무척추동물 32 4 28
식물 88 11 77
전체 264 60 204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 = 멸종위기Ⅰ급 종 수멸종위기종 수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 = 멸종위기Ⅱ급 종 수멸종위기종 수

분자에 해당하는 멸종위기Ⅱ급 종의 수가 멸종위기Ⅰ급 종의 수보다 많기 때문에 ‘포유류’를 제외한 모든 분류에서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Ⅱ급의 비율은 각 분류의 멸종위기종 중 멸종위기Ⅰ급의 비율보다 높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020 민경채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