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21년도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1번 문제 그리고 민경채 나책형 21번 문제다.
문제
문 11. 다음 글의 <실험 결과>에 대한 판단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박쥐 X가 잡아먹을 수컷 개구리의 위치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듣고 위치를 찾아내는 ‘음탐지’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X가 초음파를 사용하여, 울음소리를 낼 때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울음주머니의 움직임을 포착하여 위치를 찾아내는 ‘초음파탐지’ 방법이다. 울음주머니의 움직임이 없으면 이 방법으로 수컷 개구리의 위치를 찾을 수 없다.
<실 험> 한 과학자가 수컷 개구리를 모방한 두 종류의 로봇개구리를 제작했다. 로봇개구리 A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를 내고,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울음주머니도 가지고 있다. 로봇개구리 B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만 내고,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울음주머니는 없다. 같은 수의 A 또는 B를 크기는 같지만 서로 다른 환경의 세 방 안에 같은 위치에 두었다. 세 방의 환경은 다음과 같다. ○방 1: 로봇개구리 소리만 들리는 환경 ○방 2: 로봇개구리 소리뿐만 아니라, 로봇개구리가 있는 곳과 다른 위치에서 로봇개구리 소리와 같은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 환경 ○방 3: 로봇개구리 소리뿐만 아니라, 로봇개구리가 있는 곳과 다른 위치에서 로봇개구리 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 환경 각 방에 같은 수의 X를 넣고 실제로 로봇개구리를 잡아먹기 위해 공격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을 측정했다. X가 로봇개구리의 위치를 빨리 알아낼수록 공격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짧다. <실험 결과> ○방 1: A를 넣은 경우는 3.4초였고 B를 넣은 경우는 3.3초로 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방 2: A를 넣은 경우는 8.2초였고 B를 넣은 경우는 공격하지 않았다. ○방 3: A를 넣은 경우는 3.4초였고 B를 넣은 경우는 3.3초로 둘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
<보 기> |
ㄱ.방 1과 2의 <실험 결과>는, X가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 환경에서는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ㄴ.방 2와 3의 <실험 결과>는, X가 소리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ㄷ.방 1과 3의 <실험 결과>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들리는 환경에서는 X가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방 1과 2의 <실험 결과>는, X가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 환경에서는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방 1과 2의 차이는 방 2에서는 다른 위치에서 로봇개구리 소리와 같은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지 여부다. 따라서 방 2에서는 박쥐 X가 수컷 개구리의 위치를 찾기 위해 사용하는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다.
실험 결과를 보면 A를 넣은 경우 공격하는 데 걸린 평균 시간이 방 1에서는 3.4초였고, 방 2에서는 8.2초였다. 이는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는 경우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B를 넣은 경우 공격하는 데 걸린 평균 시간이 방 1에서는 3.3초였고, 방 2에서는 공격하지 않았다. 이는 ‘초음파탐지’에 사용되는 울음주머니가 B에게는 없어서 발생한 결과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방 2와 3의 <실험 결과>는, X가 소리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방 2와 3의 차이는 로봇개구리 소리와 같은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지 아니면 로봇개구리 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추가로 들리는지 여부다.
방 2에서는 위 보기에서 본 바와 같이 박쥐 X가 똑같은 로봇개구리 소리에’ 음탐지’ 방법이 방해를 받아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해야 했다.
반면 방 3에서는 방 1과의 실험 결과와 차이가 없으므로 X가 로봇개구리 소리와 로봇개구리가 아닌 소리를 구별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방 1과 3의 <실험 결과>는, 수컷 개구리의 울음소리와 전혀 다른 소리가 들리는 환경에서는 X가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는 가설을 강화한다.
방 1과 3의 <실험 결과>를 보면 X가 수컷 개구리를 공격하는 데 걸리는 평균 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X가 ‘초음파탐지’ 방법을 사용한다면 방 2의 결과에서처럼 수컷 개구리를 공격하는데 ‘음탐지’ 방법보다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방 1과 3에서 X가 ‘음탐지’ 방법을 사용했다 것을 뜻한다.
정답은 ③번이다.
2021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25번 (위원장 임기 연임)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24번 (키즈 카페 전기차 충전)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23번 (청탁금지법 접대 향응)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21번 22번 (흑인 백인 재범)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20번 조출생률 합계 출산율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장애인 스포츠강좌)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8번 (입법 예고 조례안 유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공공 기관 통합 채용)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6번 (A시 공공 건축 교육)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5번 민경채 25번 문제 삼단논법 논증 정언논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민경채 24번 문제 (연역 귀납 철학 과학)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민경채 23번 문제 (10만 원 10억 원)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민경채 22번 문제 전통적 인식론 심리학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1번 민경채 21번 문제 박쥐 수컷 개구리 음탐지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0번 민경채 20번 문제 (뇌 구조 변화 신경세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9번 민경채 19번 문제 아인슈타인 해석 많은 해석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8번 민경채 18번 문제 개인건강정보 보건정보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7번 민경채 17번 문제 해수자원화기술 용의자 범인 논리퀴즈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6번 나책형 16번 문제 수석 대표 정부 관료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5번 민경채 15번 문제 자극 신호 청각시상 공포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4번 민경채 14번 문제 입자 양자 MB BE FD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3번 민경채 13번 문제 (정책 네트워크 모형)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2번 민경채 12번 문제 (조례 제정 입법 예고 계류)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번 민경채 11번 문제 해설 (태극기 4괘 이응준 박영효)
관련 문서
- 2021 7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