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언어논리 인책형 10번 해설 – 고대 철학자 행복 주관적 심리 상태

개요

다음은 2023년도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영역 인책형 10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10. 다음 글의 (가)와 (나)에 들어갈 말을 <보기>에서 골라 적절하게 짝지은 것은?

고대 철학자 A가 궁극적인 목적으로 삼았던 것은 행복한 삶이었다. 그런데 A가 가진 행복 개념은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행복 개념과 다소 차이가 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행복’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단순히 주관적 심리 상태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A는 행복이 주관적 심리 상태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고, 그런 심리 상태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조건이 반드시 갖추어져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요컨대, A가 사용한 행복 개념에 따르면, (가). 그러나 A는 행복이 주관적 심리 상태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하더라도, 주관적 심리 상태가 행복의 필수 조건임은 부정할 수 없다고 보았다. 따라서 A에게는 (나).
<보 기>
ㄱ.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지 않은 경우란 있을 수 없다

ㄴ.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ㄷ.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한 경우란 있을 수 없다

() ()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가)

A는 행복이 ‘주관적 심리 상태’ + ‘주관적 심리 상태를 뒷받침하는 객관적 조건’이라고 생각한다.

ㄱ.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지 않은 경우란 있을 수 없다

A 주장에 따르면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다는 느낌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조건이 없다면 행복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 ㄱ은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ㄴ.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A 주장에 따르면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다는 느낌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조건이 없다면 행복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 ㄴ은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다.

ㄷ.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한 경우란 있을 수 없다

행복하다는 느낌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조건의 유무와 상관 없이 자신이 행복하다는 주관적 심리 상태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행복한 경우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보기 ㄱ은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나)

‘주관적 심리 상태가 행복의 필수 조건임에 부정할 수 없다’는 말은 주관적 심리 상태가 행복의 필수 조건이라는 뜻이다.

ㄱ.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지 않은 경우란 있을 수 없다

A 주장에 따르면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하다는 느낌을 뒷받침하는 객관적 조건이 없다면 행복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보기의 내용은 주관적 심리 상태가 행복의 필수 조건이라는 것을 증명하지 못한다.

따라서 보기 ㄱ은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다.

ㄷ. 자신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면서도 행복한 경우란 있을 수 없다

보기의 내용은 A 주장에 따라 행복의 필수 조건인 주관적 심리 상태가 충족되지 않는다면 어떤 경우에도 행복하지 않다는 것을 증명한다.

따라서 보기 ㄷ은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다.

 

정답은 ④번이다.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