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상황판단 A책형 3번 (분재 별급 깃급 화회 재주)

개요

다음은 2020년 국가직 7급 PSAT 예시문제 상황판단영역 A책형 3번 문제다.

문제

문 3. 다음 글과 <상황>을 근거로 판단할 때, 과거에 급제한 아들이 분재 받은 밭의 총 마지기 수는?

조선시대의 분재(分財)는 시기가 재주(財主) 생전인지 사후인지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별급(別給)은 재주 생전에 과거급제, 생일, 혼인, 출산, 감사표시 등 특별한 사유로 인해 이루어지는 분재였으며, 깃급[衿給]은 특별한 사유 없이 재주가 임종이 가까울 무렵에 하는 일반적인 분재였다.

재주가 재산을 분배하지 못하고 죽는 경우 재주 사후에 그 자녀들이 모여 재산을 분배하게 되는데, 이를 화회(和會)라고 했다. 화회는 재주의 3년 상(喪)을 마친 후에 이루어졌다. 자녀들이 재산을 나눌 때 재주의 유서나 유언이 남아 있으면 이에 근거하여 분재가 되었으나,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합의하여 재산을 나누어 가졌다. 조선 전기에는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랐는데, 친자녀 간 균분 분재를 원칙으로 하나 제사를 모실 자녀에게는 다른 친자녀 한 사람 몫의 5분의 1이 더 분재되었다. 그러나 이때에도 양자녀에게는 차별을 두도록 되어 있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경국대전>의 규정이 그대로 지켜지지 못하고 장남에게 많은 재산이 우선적으로 분재되었다. 깃급과 화회 대상 재산에는 별급으로 받은 재산이 포함되지 않았다.

※ 분재: 재산을 나누어 줌
※ 재주: 분재되는 재산의 주인

상황
○ 유서와 유언 없이 사망한 재주 甲의 분재 대상자는 아들 2명과 딸 2명이며, 이 중 딸 1명은 양녀이고 나머지 3명은 친자녀이다.
○ 甲이 별급한 재산은 과거에 급제한 아들 1명에게 밭 20마지기를 준 것과 두 딸이 시집갈 때 각각 밭 10마지기씩을 준 것이 전부였다.
○ 화회 대상 재산은 밭 100마지기이며 화회는 <경국대전>의 규정에 따라 이루어졌다.
○ 과거에 급제한 아들이 제사를 모시기로 하였으며, 양녀는 제사를 모시지 않는 친자녀 한 사람이 화회로 받은 몫의 5분의 4를 받았다.

① 30
② 35
③ 40
④ 45
⑤ 50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분재 생전 별급 과거급제, 생일, 혼인, 출산, 감사표시.
깃급과 화회 대상 자산에 포함 안 됨.
깃급 특별한 사유 없이 재주가 임종이 가까울 무렵에 하는 일반적인 분재.
사후 화회 유서·유언 O 유서나 유언이 남아 있으면 이에 근거하여 분재.
유서·유언 X 균분 분재 원칙.
제사 모실 자녀에게 다른 친자녀 몫의 5분의1 추가, 양자녀 차별.

조선시대 <경국대전> 분재 규정을 정리한 표다.

과거 급제 아들 친아들 친딸 양녀
화회 분재 비율 1.2(=1+\(\frac{1}{5}\)) 1 1 0.8(=1×\(\frac{4}{5}\))

화회 분재 비율을 정리한 표다.

별급 화회(100마지기)
과거 급제 아들 20마지기(과거 급제) 30(=100×\(\frac{1.2}{1.2+1+1+0.8}\))
친아들 25(=100×\(\frac{1}{1.2+1+1+0.8}\))
친딸 10마지기(혼인) 25
양녀 10마지기(혼인) 20
(=100×\(\frac{0.8}{1.2+1+1+0.8}\))

최종적인 분재를 정리한 표다.

과거에 급제한 아들은 이미 별급으로 밭 20마지기를 분재 받았다.

재주 甲이 유서와 유언 없이 사망했기 때문에 화회에 의해 재산 밭 100마지기가 분재되며 <경국대전> 규정을 따른다고 했다.

일반적으로는 친자녀 간 균분 분재를 원칙으로 하지만 제사를 모실 자녀에게는 친자녀 한 사람 몫의 5분의 1이 더 분재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위 화회 분재 비율 표를 보면 일반적인 균분 비율인 1:1:1:1에서 제사를 모실 과거 급제 아들 몫이 다른 친자녀 한 사람 몫의 5분의 1이 추가되어 1.2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양녀에게는 제사를 모시지 않는 친자녀 한 사람이 화회로 받는 몫의 5분의 4를 받는다고 했으므로 0.8이 되었다.

과거에 급제한 아들이 화회로 받는 몫이 \(\frac{1.2}{1.2+1+1+0.8}\)이므로 화회 분재는 30마지기(=100×\(\frac{1.2}{1.2+1+1+0.8}\))가 된다.

따라서 과거에 급제한 아들이 분재 받는 밭의 총 마지기 수는 별급 때 20마지기 그리고 화회 때 30마지기를 합하여 총 50마지기가 된다.

 

정답은 ⑤번이다.

2020 국가직 7급 PSAT 예시문제 상황판단

2020 국가직 7급 PSAT 예시문제

국가직 7급 PSAT 상황판단

국가직 7급 PSAT

PSAT 상황판단

공무원 PSAT 기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