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7번 (소프트웨어 경쟁력 종합점수 가중치)

개요

다음은 국가직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영역 17번 문제다.

문제

문 17. 다음 <표>는 소프트웨어 경쟁력 종합점수 산출을 위한 영역별 가중치와 소프트웨어 경쟁력 종합순위 1~10위 국가의 영역별 순위 및 원점수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1> 소프트웨어 경쟁력 종합점수 산출을 위한 영역별 가중치

영역 환경 인력 혁신 성과 활용
가중치 0.15 0.20 0.25 0.15 0.25

<표 2> 소프트웨어 경쟁력 평가대상 국가 중 종합순위 1~10위 국가의 영역별 순위 및 원점수

(단위: 점)

종합

순위

종합

점수

국가 환경 인력 혁신 성과 활용
순위 원점수 순위 원점수 순위 원점수 순위 원점수 순위 원점수
1 72.41 미국 1 67.1 1 89.6 1 78.5 2 54.8 2 66.3
2 47.04 중국 28 20.9 8 35.4 2 66.9 18 11.3 1 73.6
3 41.48 일본 6 50.7 10 34.0 3 44.8 19 10.5 7 57.2
4 ( ) 호주 5 51.6 6 37.9 7 33.1 22 9.2 3 62.8
5 ( ) 캐나다 17 37.7 15 29.5 4 42.9 16 13.3 6 57.6
6 38.35 스웨덴 9 42.6 5 38.9 8 28.1 3 26.5 10 52.7
7 38.12 영국 12 40.9 3 46.3 12 20.3 6 23.3 8 56.6
8 ( ) 프랑스 11 41.9 2 53.6 11 22.5 15 13.8 11 49.3
9 ( ) 핀란드 10 42.5 14 30.5 10 22.6 4 24.9 4 59.4
10 ( ) 한국 2 62.9 19 27.5 5 41.5 25 6.7 21 41.1

1) 점수가 높을수록 순위가 높음.
2) 영역점수=영역 원점수×영역 가중치
3) 종합점수는 5개 영역점수의 합임.

① 종합순위가 한국보다 낮은 국가 중에 ‘성과’ 영역 원점수가 한국의 8배 이상인 국가가 있다.
② 종합순위 3~10위 국가의 종합점수 합은 320점 이하이다.
③ 소프트웨어 경쟁력 평가대상 국가는 28개국 이상이다.
④ 한국은 5개 영역점수 중 ‘혁신’ 영역점수가 가장 높다.
⑤ 일본의 ‘활용’ 영역 원점수가 중국의 ‘활용’ 영역 원점수로 같아지면 국가별 종합순위는 바뀐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종합순위가 한국보다 낮은 국가 중에 ‘성과’ 영역 원점수가 한국의 8배 이상인 국가가 있다.

<표2> ‘성과’ 영역에 있는 최고 순위는 2위인 미국으로 원점수가 54.8점이다. 하지만 1위가 보이지 않는다. <표2>에는 없지만 종합순위에서 한국보다 낮은 국가 중에 1위가 있다는 뜻이다.

‘성과’ 영역 2위 미국의 원점수는 54.8점으로 한국의 원점수 6.7점의 8배 이상이다. 때문에 ‘성과’ 영역 1위 국가의 원점수가 한국의 원점수보다 8배 이상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종합순위 3~10위 국가의 종합점수 합은 320점 이하이다.

종합순위 3위 일본의 종합점수는 41.48점이다. 종합순위 7위 영국의 종합점수는 38.12점이다.

계산의 편의상 종합순위 4, 5위의 종합점수가 41.48점이고, 종합순위 8~10위의 종합점수가 38.12점이라고 가정하자.

종합순위 3~5위의 종합점수 중 1.48점씩을 빼서 나머지 6~10위에 더한다고 해도 종합점수 40점을 만들 수 없다.

즉 종합순위 3~10위의 종합점수 합이 320점 이하라는 뜻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소프트웨어 경쟁력 평가대상 국가는 28개국 이상이다.

종합순위 2위인 중국의 ‘환경’ 영역에서의 순위가 28위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경쟁력 평가대상 국가는 28개국 이상이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한국은 5개 영역점수 중 ‘혁신’ 영역점수가 가장 높다.

한국의 ‘혁신’ 영역의 원점수는 41.5점이다. 가중치를 적용한 영역 점수는 10.375점이다. ‘환경’ 영역을 제외한 영역의 원점수는 ‘혁신’ 영역의 원점수보다 낮기 때문에 제외한다.

‘환경’ 영역의 원점수는 62.9점이다. ‘환경’ 영역의 가중치 0.15를 적용하면 9.435점이 되므로 5개 영역점수 중 ‘혁신’ 영역점수가 가장 높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일본의 ‘활용’ 영역 원점수가 중국의 ‘활용’ 영역 원점수로 같아지면 국가별 종합순위는 바뀐다.

일본의 ‘활용’ 영역 원점수는 57.2점이고 중국의 ‘활용’ 영역 원점수는 73.6점이다. 이 두 점수의 차이는 16.4점이다. 여기에 가중치 0.25를 적용하면 4.1점이 된다.

일본의 종합점수는 41.48점이고 여기에 4.1점을 더하면 45.58점이 된다. 중국의 종합점수 47.04점보다 작다.

따라서 일본의 ‘활용’ 영역 원점수가 중국의 ‘활용’ 영역 원점수로 같아져도 국가별 종합순위는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⑤번이다.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