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국가직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영역 24~25번 문제다.
문제
※다음 <그림>과 <표>는 세계 및 국내 조선업 현황에 대한 자료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문 24.~문 25.]
<그림> 세계 조선업 수주량 추이
<표 1> 2014~2017년 국내 조선업 수주량 및 수주잔량
(단위: 만 톤, %)
구분 연도 |
수주량 | 수주잔량 | ||
전년대비 증가율 | 전년대비 증가율 | |||
2014 | 1,286 | -30.1 | 3,302 | -1.6 |
2015 | 1,066 | ( ) | 3,164 | -4.2 |
2016 | 221 | ( ) | 2,043 | ( ) |
2017 | 619 | ( ) | 1,761 | -13.8 |
해당 연도 수주잔량 = 전년도 수주잔량+해당 연도 수주량-해당 연도 건조량
<표 2> 2014~2016년 국내 조선기자재업체 기업규모별 업체 수 및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업체 비율
(단위: 개, %)
연도 | 2014 | 2015 | 2016 | ||
기업규모 | 업체 수 | ||||
대형 | 20 | 15.0 | 20.0 | 25.0 | |
중형 | 35 | 25.7 | 17.1 | 34.3 | |
소형 | 96 | 19.8 | 28.1 | 38.5 | |
전체 | 151 | 20.5 | 24.5 | 35.8 |
1) 2014년 이후 기업규모별 업체 수는 변화 없음.
2) 비율은 소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임.
문 24. 제시된 <그림>과 <표> 이외에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자료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고서> |
세계 조선업 경기는 최악의 부진에서 벗어나는 모습이다. 2016년 세계 조선업의 수주량은 1997년 이후 최저치였다. 2017년 한국은 중국을 밀어내고 수주량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2012년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어준 이후 6년 만이다. 3대 조선강국으로 분류되는 일본은 자국 발주 확대에도 불구하고 세계 수주량의 5.8%까지 비중이 하락하였다.
2016년 국내 조선업은 전년대비 79.3% 감소한 수주량을 기록하면서 유례없는 수주절벽을 경험하였다. 그리고 수주량 급감의 영향으로 2016년 수주잔량은 2,043만 톤까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4~2016년 3년간 국내 조선업 평균 건조량이 약 1,295만 톤이었음을 고려하면 수주잔량은 2년 치 미만 일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우려는 더욱 커졌다. 2017년 국내 대형 조선사는 해양플랜트 수주량 증가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중소형 조선사는 여전히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국내 조선기자재업체의 실적 회복도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
<보 기> |
ㄱ. 2010~2017년 세계 조선업 수주량의 국가별 점유율
ㄴ. 2014~2016년 국내 조선업 건조량 ㄷ. 2014~2016년 중국 조선기자재업체 실적 ㄹ. 2010~2017년 국내 조선사 규모별 해양플랜트 수주량 |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ㄱ, ㄹ
④ ㄴ, ㄷ
⑤ ㄴ, ㄹ
문 25. 위 <표>에 근거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보 기> |
ㄱ. 2014~2016년 중 국내 조선업 건조량이 가장 적은 해는 2016년이다.
ㄴ. 2014년 이후 국내 조선업 수주량의 전년대비 증감률이 가장 큰 해는 2017년이다. ㄷ. 2014년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국내 조선기자재업체 수는 중형이 대형의 3배이다. ㄹ.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국내 조선기자재업체 수의 2015년 대비 2016년 증감폭이 가장 큰 기업규모는 중형이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ㄴ, ㄹ
④ ㄷ, ㄹ
⑤ ㄱ, ㄷ,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24번 문제 해설
ㄱ. 2010~2017년 세계 조선업 수주량의 국가별 점유율
<보고서>의 첫째 문단에서 “2017년 한국은 중국을 밀어내고 수주량 1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2012년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어준 이후 6년 만이다. 3대 조선강국으로 분류되는 일본은 자국 발주 확대에도 불구하고 세계 수주량의 5.8%까지 비중이 하락하였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림>에서는 세계 조선업 수주량만 나와 있을 뿐 국가별 수주량 및 점유율에 대한 정보는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2014~2016년 국내 조선업 건조량
2014~2016년 국내 조선업 건조량은 <표1>을 통해 해당 연도 건조량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2014~2016년 중국 조선기자재업체 실적
넷째 문단에서 국내 조선기자재업체에 대한 내용은 있지만 중국 조선기자재업체 실적에 대한 내용은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ㄹ. 2010~2017년 국내 조선사 규모별 해양플랜트 수주량
넷째 문단에서 “2017년 국내 대형 조선사는 해양플랜트 수주량 증가에 힘입어 실적이 개선되고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5번 문제 해설
ㄱ. 2014~2016년 중 국내 조선업 건조량이 가장 적은 해는 2016년이다.
<표 1> 2014~2017년 국내 조선업 수주량 및 수주잔량
(단위: 만 톤, %)
구분 연도 |
수주량 | 수주잔량 | ||
전년대비 증가율 | 전년대비 증가율 | |||
2014 | 1,286 | -30.1 | 3,302 | -1.6 |
2015 | 1,066 | ( ) | 3,164 | -4.2 |
2016 | 221 | ( ) | 2,043 | ( ) |
2017 | 619 | ( ) | 1,761 | -13.8 |
해당 연도 수주잔량 = 전년도 수주잔량+해당 연도 수주량-해당 연도 건조량
국내 조선업 건조량은 위 식을 해당 연도 건조량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구한다.
해당 연도 건조량 = 전년도 수주잔량+해당 연도 수주량 – 해당 연도 수주잔량
2014년 건조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2013년 수주잔량을 구해야 한다. 2014년 수주잔량은 3,302만 톤으로 전년대비 1.6%가 감소했다. 따라서 2013년 수주잔량은 \(\dfrac{\text{3,302만 톤}}{\text{(100-1.6)%}}\)≒3,356만 톤이다.
2014년 건조량은 3,356+1,286-3,302=1,340만 톤이다.
2015년 건조량은 3,302+1,066-3,164=1,204만 톤이다.
2016년 건조량은 3,164+221-2,043=1,342만 톤이다.
2014~2016년 중 국내 조선업 건조량이 가장 적은 해는 2015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2014년 이후 국내 조선업 수주량의 전년대비 증감률이 가장 큰 해는 2017년이다.
수주량의 증감량이 아니라 증감률이다.
2014년은 전년대비 약 30% 감소했다.
2015년은 \(\dfrac{220}{1286}\)×100 ≒ \(\dfrac{2}{12}\)×100 ≒ 16.7% 감소했다.
2016년은 \(\dfrac{8}{10}\)×100 ≒ 80% 감소했다.
2017년은 약 \(\dfrac{400}{200}\)×100 = 200% 증가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2014년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국내 조선기자재업체 수는 중형이 대형의 3배이다.
2014년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국내 중형 조선기자재업체 수는 35×25.7% = 9개이다.
국내 대형 조선기자재업체 수는 20×15% = 3개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인 국내 조선기자재업체 수의 2015년 대비 2016년 증감폭이 가장 큰 기업규모는 중형이다.
대형 조선기자재업체의 경우 2016년에 전년대비 전체 대형 업체 수의 5%가 증가했다. 업체 수로 보면 20×5% = 1개이다.
중형 조선기자재업체의 경우 2016년에 전년대비 전체 중형 업체 수의 17.2%가 증가했다. 업체 수로 보면 35×17.2% = 6개이다.
소형 조선기자재업체의 경우 2016년에 전년대비 전체 소형 업체 수의 11.3%가 증가했다. 업체 수로 보면 96×11.3% ≒ 11개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②번이다.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4~25번 (조선업 수주량 수주잔량 건조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3번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2번 (재사용 폐기 가공 작업 비용 오염도)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1번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매출액)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0번 (와인 생산량 소비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9번 (항복강도 인장강도 샘플 합격률)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8번 (7개 지역 재해 피해 피해액)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7번 (소프트웨어 경쟁력 종합점수 가중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6번 (국회의원 선거 당선자 수 권역)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5번 (산림경영단지 작업임도 간선임도)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4번 (드론 비행 촬영 허가신청 기상상황)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3번 (추락사고 항공기 인적오류 기계결함)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2번 (주거비 식비 의복비 필수생활비)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1번 (직무관련성 심사결과 관련없음 우주청)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0번 (공공기관 신규채용 합격자)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9번 (OECD 가정용 산업용 전기요금)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마라톤 대회 구간별 기록)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7번 (구내식당 특선식 일반식 매출액)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6번 (산사태 위험인자 위험점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5번 (최대전력수요 공급예비율)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4번(해양수질 1등급 2등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3번(가스사고 가고건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번(편의점 간편식 판매량 평균)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번 해설 (축제 설문조사 분수 대소 비교)
관련 문서
- 국가직 7급 모의평가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자료해석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자료해석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자료해석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