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4번(해양수질 1등급 2등급)

개요

다음은 국가직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영역 4번 문제다.

문제

문 4. 다음 <표>는 2015~2019년 A~D지역의 해양수질,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측정항목 지역
용존
산소량
(DO)
A 8.22 8.13 7.95 8.40 7.60
B 8.18 8.23 8.12 8.60 8.10
C 10.20 8.06 8.73 8.10 8.50
D 7.51 6.97 7.39 8.43 8.35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A 1.73 1.38 1.19 1.54 1.34
B 1.38 1.40 1.26 1.47 1.54
C 2.35 2.29 1.71 1.59 1.69
D 0.96 0.82 0.70 1.30 1.59
총질소
(Total-N)
A 0.16 0.14 0.16 0.15 0.12
B 0.16 0.13 0.20 0.15 0.12
C 0.45 0.51 0.68 0.11 0.08
D 0.20 0.06 0.05 0.57 0.07
※ 해양수질 등급은 아래 기준으로 판정함.

  • 1등급은 DO가 7.50mg/L 이상이고 COD는 1.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30mg/L 이하인 경우임.
  • 2등급은 1등급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DO가 2.00mg/L 이상이고 COD는 2.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60mg/L 이하인 경우임.
  • 등급 외는 1, 2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임.

<표 2> A~D지역의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단위: 개)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항목 지역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
A 108 77 46 48 48
B 102 77 49 49 52
C 26 27 28 29 27
D 102 136 199 86 87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A 147 79 126 134 153
B 90 73 128 142 141
C 112 34 58 85 102
D 175 351 343 303 304

① 2015~2019년 A와 B지역의 총질소(Total-N)의 연간 증감방향은 매년 동일하다.

② 2016년 B지역은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이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보다 크다.

③ 2019년에는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 총질소(Total-N)가 가장 낮다.

④ 2015년에 해양수질이 1등급인 지역은 D가 유일하다.

⑤ A와 C지역의 해양수질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등급으로 일정하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2015~2019년 A와 B지역의 총질소(Total-N)의 연간 증감방향은 매년 동일하다.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총질소
(Total-N)
A 0.16 0.14 0.16 0.15 0.12
증감방향 +
B 0.16 0.13 0.20 0.15 0.12
증감방향 +

2015~2019년 A와 B지역의 총질소(Total-N)의 연간 증감방향은 매년 동일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2016년 B지역은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이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보다 크다.

<표 2> A~D지역의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단위: 개)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항목 지역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
A 108 77 46 48 48
B 102 77 49 49 52
C 26 27 28 29 27
D 102 136 199 86 87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A 147 79 126 134 153
B 90 73 128 142 141
C 112 34 58 85 102
D 175 351 343 303 304

2016년 B지역은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 \(\frac{102-77}{102}\) = \(\frac{25}{102}\) ≒ 24.5% 감소

2016년 B지역은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 \(\frac{90-73}{90}\) = \(\frac{17}{90}\) ≒ 18.9% 감소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2019년에는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 총질소(Total-N)가 가장 낮다.

<표 2> A~D지역의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단위: 개)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항목 지역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A 147 79 126 134 153
B 90 73 128 142 141
C 112 34 58 85 102
D 175 351 343 303 304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측정항목 지역
총질소
(Total-N)
A 0.16 0.14 0.16 0.15 0.12
B 0.16 0.13 0.20 0.15 0.12
C 0.45 0.51 0.68 0.11 0.08
D 0.20 0.06 0.05 0.57 0.07

2019년에는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D지역이다. 2019년 총질소(Total-N)가 가장 낮은 지역 역시 D지역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2015년에 해양수질이 1등급인 지역은 D가 유일하다.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측정항목 지역
용존
산소량
(DO)
A 8.22 8.13 7.95 8.40 7.60
B 8.18 8.23 8.12 8.60 8.10
C 10.20 8.06 8.73 8.10 8.50
D 7.51 6.97 7.39 8.43 8.35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A 1.73 1.38 1.19 1.54 1.34
B 1.38 1.40 1.26 1.47 1.54
C 2.35 2.29 1.71 1.59 1.69
D 0.96 0.82 0.70 1.30 1.59
총질소
(Total-N)
A 0.16 0.14 0.16 0.15 0.12
B 0.16 0.13 0.20 0.15 0.12
C 0.45 0.51 0.68 0.11 0.08
D 0.20 0.06 0.05 0.57 0.07

1등급은 DO가 7.50mg/L 이상이고 COD는 1.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30mg/L 이하인 경우이다.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하는 것은 D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A와 C지역의 해양수질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등급으로 일정하다.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연도 2015 2016 2017 2018 2019
측정항목 지역
용존
산소량
(DO)
A 8.22 8.13 7.95 8.40 7.60
B 8.18 8.23 8.12 8.60 8.10
C 10.20 8.06 8.73 8.10 8.50
D 7.51 6.97 7.39 8.43 8.35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A 1.73 1.38 1.19 1.54 1.34
B 1.38 1.40 1.26 1.47 1.54
C 2.35 2.29 1.71 1.59 1.69
D 0.96 0.82 0.70 1.30 1.59
총질소
(Total-N)
A 0.16 0.14 0.16 0.15 0.12
B 0.16 0.13 0.20 0.15 0.12
C 0.45 0.51 0.68 0.11 0.08
D 0.20 0.06 0.05 0.57 0.07

1등급은 DO가 7.50mg/L 이상이고 COD는 1.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30mg/L 이하인 경우이다.

2등급은 1등급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DO가 2.00mg/L 이상이고 COD는 2.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60mg/L 이하인 경우이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A와 C지역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1.00mg/L 이상이기 때문에 1등급에 해당하지 않는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C지역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2.00mg/L 이상이고, 2017년 총질소(Total-N)가 0.60mg/L 이상이기 때문에 2등급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⑤번이다.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