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9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 다음 글의 문맥상 (가)~(마)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방언(方言)’이라는 용어는 표준어와 대립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방언이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서의 표준어가 아닌 말, 즉 비표준어라는 뜻을 갖는다. 가령 (가) 는 생각에는 방언을 비표준어로서 낮잡아 보는 인식이 담겨 있다. 이러한 개념으로서의 방언은 ‘사투리’라는 용어로 바뀌어 쓰이는 수가 많다. ‘충청도 사투리’, ‘평안도 사투리’라고 할 때의 사투리는 대개 이러한 개념으로 쓰이는 경우이다. 이때의 방언이나 사투리는, 말하자면 표준어인 서울말이 아닌 어느 지역의 말을 가리키거나, 더 나아가 (나) 을 일컫는다. 이러한 용법에는 방언이 표준어보다 열등하다는 오해와 편견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는 표준어보다 못하다거나 세련되지 못하고 규칙에 엄격하지 않다와 같은 부정적 평가가 담겨 있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사투리는 한 지역의 언어 체계 전반을 뜻하기보다 그 지역의 말 가운데 표준어에는 없는, 그 지역 특유의 언어 요소만을 일컫기도 한다. (다) 고 할 때의 사투리가 그러한 경우에 해당된다.
언어학에서의 방언은 한 언어를 형성하고 있는 하위 단위로서의 언어 체계 전부를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가령 한국어를 예로 들면 한국어를 이루고 있는 각 지역의 말 하나하나, 즉 그 지역의 언어 체계 전부를 방언이라 한다. 서울말은 이 경우 표준어이면서 한국어의 한 방언이다. 그리고 나머지 지역의 방언들은 |
① (가): 바른말을 써야 하는 아나운서가 방언을 써서는 안 된다
② (나): 표준어가 아닌, 세련되지 못하고 격을 갖추지 못한 말
③ (다): 사투리를 많이 쓰는 사람과는 의사소통이 어렵다
④ (라): 한국어라는 한 언어의 하위 단위이기 때문에 방언이다
⑤ (마): 표준어와 지역 방언의 공통부분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가): 바른말을 써야 하는 아나운서가 방언을 써서는 안 된다
방언이란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서의 표준어가 아닌 말, 즉 비표준어라는 뜻을 갖는다. 가령 (가) 는 생각에는 방언을 비표준어로서 낮잡아 보는 인식이 담겨 있다. |
방언을 비표준어로서 낮잡아 보는 인식이 담겨있다면, 바른말을 써야 하는 아나운서가 방언을 써서는 안 된다고 생각할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나): 표준어가 아닌, 세련되지 못하고 격을 갖추지 못한 말
이러한 용법에는 방언이 표준어보다 열등하다는 오해와 편견이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는 표준어보다 못하다거나 세련되지 못하고 규칙에 엄격하지 않다와 같은 부정적 평가가 담겨 있는 것이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다): 사투리를 많이 쓰는 사람과는 의사소통이 어렵다
사투리는 한 지역의 언어 체계 전반을 뜻하기보다 그 지역의 말 가운데 표준어에는 없는, 그 지역 특유의 언어 요소만을 일컫기도 한다. (다) 고 할 때의 사투리가 그러한 경우에 해당된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라): 한국어라는 한 언어의 하위 단위이기 때문에 방언이다
언어학에서의 방언은 한 언어를 형성하고 있는 하위 단위로서의 언어 체계 전부를 일컫는 말로 사용된다. 가령 한국어를 예로 들면 한국어를 이루고 있는 각 지역의 말 하나하나, 즉 그 지역의 언어 체계 전부를 방언이라 한다. 서울말은 이 경우 표준어이면서 한국어의 한 방언이다. 그리고 나머지 지역의 방언들은 (라) . |
나머지 지역의 방언 각각은 한국어를 형성하고 있는 하위 단위로서 그 지역의 언어 체계 전부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마): 표준어와 지역 방언의 공통부분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의미에서의 ‘충청도 방언’은, 충청도에서만 쓰이는, 표준어에도 없고 다른 도의 말에도 없는 충청도 특유의 언어 요소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다. ‘충청도 방언’은 충청도의 토박이들이 전래적으로 써 온 한국어 전부를 가리킨다. 이 점에서 한국어는 (다) . |
한국어는 각 지역의 언어 체계 전부인 서울말과 지역 방언들을 모두 포함하는 상위 개념이다.
공통부분을 지칭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⑤번이다.
2019 민경채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5번 해설 – 노랑초파리 유전자 후각수용체 단백질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4번 해설 – 코페르니쿠스 체계 티고 브라헤 연주시차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3번 해설 – 휴대전화 기지국 주파수 대역폭 육각형 반지름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2번 해설 – 미국 수정헌법 이중기준론 내용중립성 원칙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1번 해설 – 고려 몽골 침략 살리타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0번 해설 – 업무 선호 정언논리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해설 – 공군 차기 전투기 도입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8번 해설 – 인간 본성 복잡한 전체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해설 – 정보 진리 중립성 논제 진리성 논제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6번 해설 – 귀납주의 과학적 탐구 방법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5번 해설 – 사적 한계순생산가치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해설 – 탁주 청주 막걸리 당화과정 발효과정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미국 경찰관 총격 사건 심리현상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해설 – 조선 승려 군역 면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1번 해설 – 원시 수메르어 문자 체계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0번 해설 – 문화관광특구 도시 선정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9번 해설 – 머신러닝 샤펠식 지도학습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8번 해설 – 철학적 좀비 행동주의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7번 해설 – 행복 기계 참된 믿음 기초 선호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6번 해설 – 알레르기 가설 주장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5번 해설 – 유전자 변형 작물 제초제 슈퍼잡초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4번 해설 – 소주 위스키 WTO 주세율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3번 해설 – A효과 B효과 최초진입기업 후발진입기업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번 해설 – 고려 개경 광화문 십자가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번 해설 – 방언 한국어 표준어 서울말 사투리
관련 문서
- 2019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