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해설 – 정보 진리 중립성 논제 진리성 논제

개요

다음은 2019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7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7. 다음 글의 ㉠에 대한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프랑스 수도가 어디지?”라는 가영의 물음에 나정이 “프랑스 수도는 로마지.”라고 대답했다고 하자. 나정이 가영에게 제공한 것을 정보라고 할 수 있을까? 정보의 일반적 정의는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어 의미를 갖는 자료’다. 이 정의에 따르면 나정의 대답은 정보를 담고 있다. 다음 진술은 이런 관점을 대변하는 진리 중립성 논제를 표현한다. “정보를 준다는 것이 반드시 그 내용이 참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논제의 관점에서 보자면,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어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자료는 모두 정보의 자격을 갖는다. 그 내용이 어떤 사태를 표상하든, 참을 말하든, 거짓을 말하든 상관없다.

그러나 이 조건만으로는 불충분하다는 지적이 있다. 철학자 플로리디는 전달된 자료를 정보라고 하려면 그 내용이 참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즉, 정보란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춘, 의미 있고 참인 자료라는 것이다. 이를 ㉠ 진리성 논제라고 한다. 그라이스는 이렇게 말한다. “거짓 ‘정보’는 저급한 종류의 정보가 아니다. 그것은 아예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그 역시 이 논제를 받아들이고 있다.

이런 논쟁은 용어법에 관한 시시한 언쟁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두 진영 간에는 정보 개념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견해 차이가 있다. 진리성 논제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틀린 ‘정보’도 정보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료의 내용이 그것을 이해하는 주체의 인지 행위에서 분명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유에서다. ‘프랑스 수도가 로마’라는 말을 토대로 가영은 이런저런 행동을 할 수 있다. 가령, 프랑스어를 배우기 위해 로마로 떠날 수도 있고, 프랑스 수도를 묻는 퀴즈에서 오답을 낼 수도 있다. 거짓인 자료는 정보가 아니라고 볼 경우, ‘정보’라는 말이 적절하게 사용되는 사례들의 범위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꼴이 된다.

① ‘정보’라는 표현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모두 적절한 것은 아니다.

②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지 못한 자료는 정보라는 지위에 도달할 수 없다.

③ 사실과 다른 내용의 자료를 숙지하고 있는 사람은 정보를 안다고 볼 수 없다.

④ 내용이 거짓인 자료를 토대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의도한 결과에 도달할 수 없다.

⑤ 거짓으로 밝혀질 자료도 그것을 믿는 사람의 인지 행위에서 분명한 역할을 한다면 정보라고 볼 수 있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진리 중립성 논제 vs. 진리성 논제

진리성 논제에 대한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이므로 진리 중립성 논제 입장에 찬성하는 것이 정답이다.

 

① ‘정보’라는 표현이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모두 적절한 것은 아니다.

정보의 일반적 정의는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어 의미를 갖는 자료’다. 다음 진술은 이런 관점을 대변하는 진리 중립성 논제를 표현한다. “정보를 준다는 것이 반드시 그 내용이 참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논제의 관점에서 보자면,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어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자료는 모두 정보의 자격을 갖는다. 그 내용이 어떤 사태를 표상하든, 참을 말하든, 거짓을 말하든 상관없다.

정보란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춘, 의미 있고 참인 자료라는 것이다. 이를 ㉠ 진리성 논제라고 한다. 그라이스는 이렇게 말한다. “거짓 ‘정보’는 저급한 종류의 정보가 아니다. 그것은 아예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그 역시 이 논제를 받아들이고 있다.

진리 중립성 논제 관점에서 정보의 일반적 정의는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어 의미를 갖는 자료’다.

하지만 진리성 논제 관점에서 정보는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춘, 의미 있고 참인 자료‘이다. 그러므로 거짓 ‘정보’는 ‘정보’ 조차도 될 수 없다.

보기의 내용은 진리성 논제 관점과 일치하므로 적절한 비판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지 못한 자료는 정보라는 지위에 도달할 수 없다.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지 못한 자료는 진리성 논제 관점에서는 물론 진리 중립성 논제 관점에서조차 정보라는 지위에 도달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사실과 다른 내용의 자료를 숙지하고 있는 사람은 정보를 안다고 볼 수 없다.

진리 중립성 논제의 관점에서 보자면,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추어 의미를 해석할 수 있는 자료는 모두 정보의 자격을 갖는다. 그 내용이 어떤 사태를 표상하든, 참을 말하든, 거짓을 말하든 상관없다.

정보란 올바른 문법 형식을 갖춘, 의미 있고 참인 자료라는 것이다. 이를 ㉠ 진리성 논제라고 한다. 그라이스는 이렇게 말한다. “거짓 ‘정보’는 저급한 종류의 정보가 아니다. 그것은 아예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논쟁은 용어법에 관한 시시한 언쟁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두 진영 간에는 정보 개념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견해 차이가 있다. 진리성 논제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틀린 ‘정보’도 정보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진리성 논제를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사실과 다른 내용의 자료를 숙지하고 있는 사람 역시 정보를 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진리성 논제 관점에서는 사실과 다른 내용의 자료를 숙지하고 있는 사람은 정보를 안다고 볼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내용이 거짓인 자료를 토대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의도한 결과에 도달할 수 없다.

진리성 논제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틀린 ‘정보’도 정보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료의 내용이 그것을 이해하는 주체의 인지 행위에서 분명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유에서다. ‘프랑스 수도가 로마’라는 말을 토대로 가영은 이런저런 행동을 할 수 있다. 가령, 프랑스어를 배우기 위해 로마로 떠날 수도 있고, 프랑스 수도를 묻는 퀴즈에서 오답을 낼 수도 있다. 거짓인 자료는 정보가 아니라고 볼 경우, ‘정보’라는 말이 적절하게 사용되는 사례들의 범위를 부당하게 제한하는 꼴이 된다.

진리성 논제를 비판하는 입장에서는 내용의 참/거짓 여부와 상관 없이 자료의 내용이 그것을 이해하는 주체의 인지 행위에서 분명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내용이 거짓인 자료를 토대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의도한 결과에 도달할 수 없다는 내용을 주장하지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거짓으로 밝혀질 자료도 그것을 믿는 사람의 인지 행위에서 분명한 역할을 한다면 정보라고 볼 수 있다.

진리성 논제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틀린 ‘정보’도 정보로 인정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자료의 내용이 그것을 이해하는 주체의 인지 행위에서 분명한 역할을 수행한다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19 민경채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