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9년 국가공무원 민간경력자(민경채)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8. 다음 글에 대한 분석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공포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좀비는 철학에서도 자주 논의된다. 철학적 논의에서 좀비는 ‘의식을 갖지는 않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에서는 인간과 구별되지 않는 존재’로 정의된다. 이를 ‘철학적 좀비’라고 하자. ㉠ 인간은 고통을 느끼지만, 철학적 좀비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즉 고통에 대한 의식을 가질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나 ㉡ 철학적 좀비도 압정을 밟으면 인간과 마찬가지로 비명을 지르며 상처 부위를 부여잡을 것이다. 즉 행동 성향에서는 인간과 차이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으로는 철학적 좀비와 인간을 구별할 수 없다. 그러나 ㉢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 인간이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라면, 인간도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존재여야 한다.
물론 철학적 좀비는 상상의 산물이다. 그러나 우리가 철학적 좀비를 모순 없이 상상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마음에 관한 이론인 행동주의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행동주의는 마음을 행동 성향과 동일시하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 마음은 특정 자극에 따라 이러저러한 행동을 하려는 성향이다. ㉥ 행동주의가 옳다면, 인간이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라는 점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인간과 달리 철학적 좀비는 마음이 없어서 어떤 의식도 가질 수 없는 존재다. 따라서 ㉦ 행동주의는 옳지 않다. |
① ㉠과 ㉡은 동시에 참일 수 있다.
② ㉠과 ㉣이 모두 참이면, ㉢도 반드시 참이다.
③ ㉡과 ㉥이 모두 참이면, ㉤도 반드시 참이다.
④ ㉢과 ㉥이 모두 참이면, ㉦도 반드시 참이다.
⑤ ㉤과 ㉦은 동시에 거짓일 수 없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과 ㉡은 동시에 참일 수 있다.
철학적 논의에서 좀비는 ‘의식을 갖지는 않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에서는 인간과 구별되지 않는 존재’로 정의된다. 이를 ‘철학적 좀비’라고 하자. ㉠ 인간은 고통을 느끼지만, 철학적 좀비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즉 고통에 대한 의식을 가질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이다. 그러나 ㉡ 철학적 좀비도 압정을 밟으면 인간과 마찬가지로 비명을 지르며 상처 부위를 부여잡을 것이다. 즉 행동 성향에서는 인간과 차이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만으로는 철학적 좀비와 인간을 구별할 수 없다.
인간과 달리 철학적 좀비는 마음이 없어서 어떤 의식도 가질 수 없는 존재다. |
인간은 고통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있지만, 철학적 좀비는 고통에 대한 의식을 가질 수 없는 존재이다.
철학적 좀비가 압정을 밟아 비명을 지르며 상처 부위를 부여잡는 것이 고통에 대한 의식 없이 나타나는 단순한 행동 성향이라면, ㉠과 ㉡은 동시에 참일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과 ㉣이 모두 참이면, ㉢도 반드시 참이다.
㉠ 인간은 고통을 느끼지만, 철학적 좀비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 인간이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라면, 인간도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존재여야 한다. ㉣ 대우: 인간이 고통을 느낀다면, 인간은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
전제1: 인간은 고통을 느끼지만, 철학적 좀비는 고통을 느끼지 못한다.
전제2: 인간이 고통을 느낀다면,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결론: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과 ㉥이 모두 참이면, ㉤도 반드시 참이다.
㉡ 철학적 좀비도 압정을 밟으면 인간과 마찬가지로 비명을 지르며 상처 부위를 부여잡을 것이다.
㉥ 행동주의가 옳다면, 인간이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라는 점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 마음은 특정 자극에 따라 이러저러한 행동을 하려는 성향이다. |
행동주의는 마음을 행동 성향과 동일시하는 입장이다.
행동주의가 옳다면 철학적 좀비의 비명을 지르며 상처 부위를 부여잡는 행동을 철학적 좀비가 고통에 대한 의식이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인간이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라는 점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만약 ㉤이 ‘인간이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이다’라는 내용이었다면, 보기는 정답이 되었겠지만, ㉤은 행동주의에 대한 ‘마음’의 내용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과 ㉥이 모두 참이면, ㉦도 반드시 참이다.
㉢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 행동주의가 옳다면, 인간이 철학적 좀비와 동일한 존재라는 점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 대우: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라면, 행동주의는 옳지 않다. ㉦ 행동주의는 옳지 않다. |
전제 1: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다.
전제 2: 인간과 철학적 좀비는 동일한 존재가 아니라면, 행동주의는 옳지 않다.
결론: 행동주의는 옳지 않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과 ㉦은 동시에 거짓일 수 없다.
행동주의는 마음을 행동 성향과 동일시하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 마음은 특정 자극에 따라 이러저러한 행동을 하려는 성향이다.
그러나 인간과 달리 철학적 좀비는 마음이 없어서 어떤 의식도 가질 수 없는 존재다. 따라서 ㉦ 행동주의는 옳지 않다. |
㉤은 행동주의를 긍정하는 내용이고, ㉦은 행동주의를 부정하는 내용이므로 서로 모순된다.
그러므로 ㉤과 ㉦은 동시에 참일 수도, 거짓일 수도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③번이다.
2019 민경채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5번 해설 – 노랑초파리 유전자 후각수용체 단백질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4번 해설 – 코페르니쿠스 체계 티고 브라헤 연주시차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3번 해설 – 휴대전화 기지국 주파수 대역폭 육각형 반지름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2번 해설 – 미국 수정헌법 이중기준론 내용중립성 원칙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1번 해설 – 고려 몽골 침략 살리타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0번 해설 – 업무 선호 정언논리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해설 – 공군 차기 전투기 도입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8번 해설 – 인간 본성 복잡한 전체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해설 – 정보 진리 중립성 논제 진리성 논제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6번 해설 – 귀납주의 과학적 탐구 방법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5번 해설 – 사적 한계순생산가치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해설 – 탁주 청주 막걸리 당화과정 발효과정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미국 경찰관 총격 사건 심리현상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해설 – 조선 승려 군역 면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1번 해설 – 원시 수메르어 문자 체계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0번 해설 – 문화관광특구 도시 선정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9번 해설 – 머신러닝 샤펠식 지도학습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8번 해설 – 철학적 좀비 행동주의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7번 해설 – 행복 기계 참된 믿음 기초 선호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6번 해설 – 알레르기 가설 주장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5번 해설 – 유전자 변형 작물 제초제 슈퍼잡초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4번 해설 – 소주 위스키 WTO 주세율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3번 해설 – A효과 B효과 최초진입기업 후발진입기업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2번 해설 – 고려 개경 광화문 십자가
- [PSAT 기출] 2019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1번 해설 – 방언 한국어 표준어 서울말 사투리
관련 문서
- 2019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