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다음은 국가직 7급 PSAT 모의평가 자료해석영역 4번 문제다.
문제
문 4. 다음 <표>는 2015~2019년 A~D지역의 해양수질,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측정항목 | 지역 | ||||||
용존 산소량 (DO) |
A | 8.22 | 8.13 | 7.95 | 8.40 | 7.60 | |
B | 8.18 | 8.23 | 8.12 | 8.60 | 8.10 | ||
C | 10.20 | 8.06 | 8.73 | 8.10 | 8.50 | ||
D | 7.51 | 6.97 | 7.39 | 8.43 | 8.35 |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
A | 1.73 | 1.38 | 1.19 | 1.54 | 1.34 | |
B | 1.38 | 1.40 | 1.26 | 1.47 | 1.54 | ||
C | 2.35 | 2.29 | 1.71 | 1.59 | 1.69 | ||
D | 0.96 | 0.82 | 0.70 | 1.30 | 1.59 | ||
총질소 (Total-N) |
A | 0.16 | 0.14 | 0.16 | 0.15 | 0.12 | |
B | 0.16 | 0.13 | 0.20 | 0.15 | 0.12 | ||
C | 0.45 | 0.51 | 0.68 | 0.11 | 0.08 | ||
D | 0.20 | 0.06 | 0.05 | 0.57 | 0.07 | ||
※ 해양수질 등급은 아래 기준으로 판정함.
|
<표 2> A~D지역의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단위: 개) |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항목 | 지역 | ||||||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 |
A | 108 | 77 | 46 | 48 | 48 | |
B | 102 | 77 | 49 | 49 | 52 | ||
C | 26 | 27 | 28 | 29 | 27 | ||
D | 102 | 136 | 199 | 86 | 87 | ||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
A | 147 | 79 | 126 | 134 | 153 | |
B | 90 | 73 | 128 | 142 | 141 | ||
C | 112 | 34 | 58 | 85 | 102 | ||
D | 175 | 351 | 343 | 303 | 304 |
① 2015~2019년 A와 B지역의 총질소(Total-N)의 연간 증감방향은 매년 동일하다.
② 2016년 B지역은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이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보다 크다.
③ 2019년에는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 총질소(Total-N)가 가장 낮다.
④ 2015년에 해양수질이 1등급인 지역은 D가 유일하다.
⑤ A와 C지역의 해양수질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등급으로 일정하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2015~2019년 A와 B지역의 총질소(Total-N)의 연간 증감방향은 매년 동일하다.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총질소 (Total-N) |
A | 0.16 | 0.14 | 0.16 | 0.15 | 0.12 |
증감방향 | – | + | – | – | ||
B | 0.16 | 0.13 | 0.20 | 0.15 | 0.12 | |
증감방향 | – | + | – | – |
2015~2019년 A와 B지역의 총질소(Total-N)의 연간 증감방향은 매년 동일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2016년 B지역은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이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보다 크다.
<표 2> A~D지역의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단위: 개) |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항목 | 지역 | ||||||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 |
A | 108 | 77 | 46 | 48 | 48 | |
B | 102 | 77 | 49 | 49 | 52 | ||
C | 26 | 27 | 28 | 29 | 27 | ||
D | 102 | 136 | 199 | 86 | 87 | ||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
A | 147 | 79 | 126 | 134 | 153 | |
B | 90 | 73 | 128 | 142 | 141 | ||
C | 112 | 34 | 58 | 85 | 102 | ||
D | 175 | 351 | 343 | 303 | 304 |
2016년 B지역은 해조류 군집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 \(\frac{102-77}{102}\) = \(\frac{25}{102}\) ≒ 24.5% 감소
2016년 B지역은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의 전년대비 증감률= \(\frac{90-73}{90}\) = \(\frac{17}{90}\) ≒ 18.9% 감소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2019년에는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 총질소(Total-N)가 가장 낮다.
<표 2> A~D지역의 해조류 군집 및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단위: 개) |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항목 | 지역 | ||||||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 |
A | 147 | 79 | 126 | 134 | 153 | |
B | 90 | 73 | 128 | 142 | 141 | ||
C | 112 | 34 | 58 | 85 | 102 | ||
D | 175 | 351 | 343 | 303 | 304 |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측정항목 | 지역 | ||||||
총질소 (Total-N) |
A | 0.16 | 0.14 | 0.16 | 0.15 | 0.12 | |
B | 0.16 | 0.13 | 0.20 | 0.15 | 0.12 | ||
C | 0.45 | 0.51 | 0.68 | 0.11 | 0.08 | ||
D | 0.20 | 0.06 | 0.05 | 0.57 | 0.07 |
2019년에는 해양 저서동물 출현종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D지역이다. 2019년 총질소(Total-N)가 가장 낮은 지역 역시 D지역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2015년에 해양수질이 1등급인 지역은 D가 유일하다.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측정항목 | 지역 | ||||||
용존 산소량 (DO) |
A | 8.22 | 8.13 | 7.95 | 8.40 | 7.60 | |
B | 8.18 | 8.23 | 8.12 | 8.60 | 8.10 | ||
C | 10.20 | 8.06 | 8.73 | 8.10 | 8.50 | ||
D | 7.51 | 6.97 | 7.39 | 8.43 | 8.35 |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
A | 1.73 | 1.38 | 1.19 | 1.54 | 1.34 | |
B | 1.38 | 1.40 | 1.26 | 1.47 | 1.54 | ||
C | 2.35 | 2.29 | 1.71 | 1.59 | 1.69 | ||
D | 0.96 | 0.82 | 0.70 | 1.30 | 1.59 | ||
총질소 (Total-N) |
A | 0.16 | 0.14 | 0.16 | 0.15 | 0.12 | |
B | 0.16 | 0.13 | 0.20 | 0.15 | 0.12 | ||
C | 0.45 | 0.51 | 0.68 | 0.11 | 0.08 | ||
D | 0.20 | 0.06 | 0.05 | 0.57 | 0.07 |
1등급은 DO가 7.50mg/L 이상이고 COD는 1.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30mg/L 이하인 경우이다.
이 조건에 모두 해당하는 것은 D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A와 C지역의 해양수질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등급으로 일정하다.
<표 1> A~D지역의 해양수질 (단위: mg/L) |
|||||||
연도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측정항목 | 지역 | ||||||
용존 산소량 (DO) |
A | 8.22 | 8.13 | 7.95 | 8.40 | 7.60 | |
B | 8.18 | 8.23 | 8.12 | 8.60 | 8.10 | ||
C | 10.20 | 8.06 | 8.73 | 8.10 | 8.50 | ||
D | 7.51 | 6.97 | 7.39 | 8.43 | 8.35 | ||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
A | 1.73 | 1.38 | 1.19 | 1.54 | 1.34 | |
B | 1.38 | 1.40 | 1.26 | 1.47 | 1.54 | ||
C | 2.35 | 2.29 | 1.71 | 1.59 | 1.69 | ||
D | 0.96 | 0.82 | 0.70 | 1.30 | 1.59 | ||
총질소 (Total-N) |
A | 0.16 | 0.14 | 0.16 | 0.15 | 0.12 | |
B | 0.16 | 0.13 | 0.20 | 0.15 | 0.12 | ||
C | 0.45 | 0.51 | 0.68 | 0.11 | 0.08 | ||
D | 0.20 | 0.06 | 0.05 | 0.57 | 0.07 |
1등급은 DO가 7.50mg/L 이상이고 COD는 1.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30mg/L 이하인 경우이다.
2등급은 1등급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DO가 2.00mg/L 이상이고 COD는 2.00mg/L 이하이며 Total-N이 0.60mg/L 이하인 경우이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A와 C지역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1.00mg/L 이상이기 때문에 1등급에 해당하지 않는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C지역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이 2.00mg/L 이상이고, 2017년 총질소(Total-N)가 0.60mg/L 이상이기 때문에 2등급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⑤번이다.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4번(해양수질 1등급 2등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4~25번 (조선업 수주량 수주잔량 건조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3번 (인구 10만 명당 교통사고 사망자 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2번 (재사용 폐기 가공 작업 비용 오염도)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1번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매출액)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0번 (와인 생산량 소비량)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9번 (항복강도 인장강도 샘플 합격률)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8번 (7개 지역 재해 피해 피해액)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7번 (소프트웨어 경쟁력 종합점수 가중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6번 (국회의원 선거 당선자 수 권역)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5번 (산림경영단지 작업임도 간선임도)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4번 (드론 비행 촬영 허가신청 기상상황)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3번 (추락사고 항공기 인적오류 기계결함)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2번 (주거비 식비 의복비 필수생활비)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1번 (직무관련성 심사결과 관련없음 우주청)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0번 (공공기관 신규채용 합격자)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9번 (OECD 가정용 산업용 전기요금)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마라톤 대회 구간별 기록)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7번 (구내식당 특선식 일반식 매출액)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6번 (산사태 위험인자 위험점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5번 (최대전력수요 공급예비율)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3번(가스사고 가고건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2번(편의점 간편식 판매량 평균)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번(축제 설문조사 분수 대소 비교)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번 (인조 남한산성 김상헌 척화론 최명길 주화론 송시열 효종 노론)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9번 (기상예보 일기예보 기상특보)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0번 (연역논증 귀납논증 타당한 논증 보편적 통계적 일반화 삼단논법 유비추론 논리 문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3번 (금전지급소송 지방법원 시군법원)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7번 (보고서 작성법 공무원 정부세종청사)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9번 (A B U 존재 참 거짓 논리 문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1번 (적혈구 혈장 응집원 응집소 응집 반응 혈액 응고)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21번 (UCC 공모전 조회수 심사위원)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7번 (갑진 을현 병천 가인 나운 다은 라연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보건복지부 논리 문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3번 (종 차별주의 종 평등주의 차별적 대우)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4번 (가위바위보)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3~14번 (근로기준법 52시간 근무제 연장근로 휴일근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22번 (후기평가점수 최종평가점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6번 (카드 배열)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4번 (조례 운영규정 출산 예정일 출산일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주민등록)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7번 (유연근무제 근무시간 점심시간)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9번 (호기성 세균 혐기성 세균 통성세균 발효 산소)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5번 (치석 커피 흡연 명제 논리 문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2번 (수입비용 FTA 관세율 보험료)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2번 (교육 제도 대학교 평준화 정시 확대 수시 축소 고교 평준화 논리 문제)
국가직 7급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7번 – 재해위험지구 편액 피해액 재해발생위험도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6번 (수자원 연강수량 국가)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3번 (국가채무 적자성채무)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5번 (산불 건수 검거율)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1번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0번 (하수처리장 하수처리용량)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8번 – 정지시거 반응거리 제동거리 운행속도 중력가속도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9번 – 45도선 어종 어획량 고등어 전년비 평년비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4번 (주관적 웰빙 지수 종합 지수 산술평균)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8번 (시스템반도체 시장규모)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번 (아프리카연합 임무단)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9번 (지역 화물 이동)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3번 (농업 생산액 오리 돼지)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20번 – 철인3종경기 기록 수영 달리기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25번 – 전기차 급속충전기 다중이용시설 쇼핑물 주유소 휴게소 병원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2번 – 특허심판 청구건수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1번 (직무평가 종합점수)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8번 – 사료 특허 출원건수 식물기원 동물기원 미생물효소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8번 (대학 기숙사 기숙사비)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22번 23번 – 방위산업 매출액 항공유도 함정
국가직 7급 PSAT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11번 (소관 법규 개정안 보고회)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언어논리 A책형 4번 (거짓말 의도적 거짓말 결과적 거짓말)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언어논리 가책형 23번 (A 보조금 B 보조금)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8번 (휴가지원사업)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5번 (자극 신호 청각시상 공포)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21번 22번 (흑인 백인 재범)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5번 (소조직)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언어논리 A책형 2번 (학술연구자 연구 업적 정보 조회 공개)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언어논리 가책형 18번 (논리 후보자 자격증)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10만 원 10억 원)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상황판단 A책형 4번 (신용카드 항공 마일리지 적립 이용금액)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12번 (집수리 지원사업 지원금)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9번 (아인슈타인 해석 많은 해석)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16번 (성과급 연봉 계산)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전통적 인식론 심리학)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번 (태극기 4괘 이응준 박영효)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연역 귀납 철학 과학)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14번 (연수 프로그램)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22번 (문제 7회차 갑 을 병)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1번 (주민등록변호 변경)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4번 (정부지원 직업훈련 실업자 재직자 지원금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9번 (국민은행 총자산 당기순이익 그래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1번 (TV 프로그램 시청률 45도선 보조선)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4번 (조피볼락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8번 (교통사고 발생건수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9번 (세계 에너지 수요 보고서 자료 이용)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1번 (외국인 소유 토지면적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2번 (지역별 영유아 인구수 보육시설 정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7번 (공익근무요원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5번 (회원기금원금 회원급여저축총액)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4번 (의약품 특허출원 다국적기업 다이어트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8번 (외식업체 공급업체 선호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번 (약물 완치 환자수)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6번 (친환경 농산물 생산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0번 (석유수요 중국 인도 중동 남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3번 (소득탄력성 소득 구매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7번 (양성평등정책)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3번 (암 발생률 그래프 분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3번 (식품사업부 외식사업부 전입 전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번 (지식산업센터 개별입지)
공무원 PSAT 기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4번 (감사 감사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2번 (축구대회 승점 골득실차)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5번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6번 (비행기 좌석)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5번 – 서구사회 기독교적 전통 적그리스도 이교도 나병 흑사병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2번 (훈민정음 천지인)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8번 (평균값, 특성, 평균 소득)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0번 (로젠햄, 정신병원, 가설)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9번 (도덕률 관습 사회 관용)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6번 (존 로크 시민 정부론)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3번 (쾌락 가치 시 호떡 행복)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4번 (향리, 사당, 창충사)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0번 (신 명령 착한 행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5번 (소리 음원 고주파 음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1번 (독일 가톨릭 영리활동)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6번 (가축화, 폴란)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9번 (국책 사업 논리 문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5번 (직구 과세표준 목록통관 관세 계산)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0번 (취득세 등록세 계산)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5번 (의회 의결정족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