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5 5급 자료해석 인책형 25번 해설 –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개요

다음은 2015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인책형 25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5. 다음 <표>와 <그림>은 15~19세기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급제시기와 당시 거주지를 조사한 자료이다.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보고서>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표 1>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기별 규모

(단위: 명)

구분 15
세기
16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전체
전반 후반 전반 후반 전반 후반 전반 후반
문과
급제자 수
950 910 938 1,307 1,460 1,832 1,673 1,552 2,170 12,792

<표 2>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도별, 지역단위별 거주지 분포

(단위: 명, %)

시도

지역단위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평안
5,502 5,502
406 64 104 123 230 927
대도호부 236 126 21 56 439
213 551 366 242 67 102 21 396 1,958
도호부 195 335 256 67 73 104 176 1,206
138 351 389 183 44 3 169 1,277
198 426 360 295 2 25 177 1,483

(비율)
5,502
(43.0)
1,150
(9.0)
1,328
(10.4)
1,750
(13.7)
1,080
(8.4)
180
(1.4)
329
(2.6)
269
(2.1)
1,204
(9.4)
12,792
(100.0)

<그림>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기별 서울 거주자 비율

※ 비율은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임.

<보고서>
조선시대 관료지배층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하여 문과급제자의 시기별, 지역별 거주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시기별로 문과급제자 전체의 규모를 살펴보면 ㉠ 15~19세기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수는 매 세기마다 증가하였다. 이는 조선사회가 안정되어 갈수록 관료지배층이 점차 두터워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16세기에는 직전 세기에 비하여 문과급제자가 2배 가까이 되었다.

조선 문과급제자 거주지를 분석한 결과, 일부 지역의 집중현상이 나타났다. ㉡ 하삼도(충청, 경상, 전라) 중 충청, 경상이 각각 전국 문과급제자 중 10% 이상을 차지한 반면, 전라는 평안보다 적었다. 지역 집중현상은 서울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전체 문과급제자 12,792명 중 서울 거주자는 5,502명에 달했으며, ㉢ 18세기에는 서울 거주 문과급제자 수가 15세기의 3.5배 이상이었다.한편 지역단위별로도 문과급제자 수의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이는 조선시대에는 지역단위에 따라 향교의 교생 수가 결정되었던 것에 기인한다. ㉣ 목 단위에 거주하는 문과급제자 수는 전체의 15% 이상이었으며, 도호부, , 현에 거주하는 문과급제자 수는 각각 전체의 10%를 하회한다.도호부군의 순으로 문과급제자 수가 작아지는 시도는 총 3개이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 15~19세기 조선시대 문과급제자 수는 매 세기마다 증가하였다.

<표 1>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기별 규모

(단위: 명)

구분 15
세기
16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전체
전반 후반 전반 후반 전반 후반 전반 후반
문과
급제자 수
950 910 938 1,307 1,460 1,832 1,673 1,552 2,170 12,792
세기별
합계
950 1,848 2,767 3,505 3,722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 하삼도(충청, 경상, 전라) 중 충청, 경상이 각각 전국 문과급제자 중 10% 이상을 차지한 반면, 전라는 평안보다 적었다.

<표 2>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도별, 지역단위별 거주지 분포

(단위: 명, %)

시도

지역단위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평안
5,502 5,502
406 64 104 123 230 927
대도호부 236 126 21 56 439
213 551 366 242 67 102 21 396 1,958
도호부 195 335 256 67 73 104 176 1,206
138 351 389 183 44 3 169 1,277
198 426 360 295 2 25 177 1,483

(비율)
5,502
(43.0)
1,150
(9.0)
1,328
(10.4)
1,750
(13.7)
1,080
(8.4)
180
(1.4)
329
(2.6)
269
(2.1)
1,204
(9.4)
12,792
(100.0)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 18세기에는 서울 거주 문과급제자 수가 15세기의 3.5배 이상이었다.

<표 1>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기별 규모

(단위: 명)

구분 15
세기
16세기 17세기 18세기 19세기 전체
전반 후반 전반 후반 전반 후반 전반 후반
문과
급제자 수
950 910 938 1,307 1,460 1,832 1,673 1,552 2,170 12,792

<그림>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기별 서울 거주자 비율

15세기 서울 거주 문과급제자 수: 950명 × 37.9% = 360명

18세기 서울 거주 문과급제자 수: 1,832명 × 50.4% + 1,673명 × 31.3% = 1,447명

360명 × 3.5 = 1,260명 < 1,447명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 목 단위에 거주하는 문과급제자 수는 전체의 15% 이상이었으며, 도호부, 군, 현에 거주하는 문과급제자 수는 각각 전체의 10%를 하회한다.

<표 2>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도별, 지역단위별 거주지 분포

(단위: 명, %)

시도

지역단위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평안
5,502 5,502
406 64 104 123 230 927
대도호부 236 126 21 56 439
213 551 366 242 67 102 21 396 1,958
도호부 195 335 256 67 73 104 176 1,206
138 351 389 183 44 3 169 1,277
198 426 360 295 2 25 177 1,483

(비율)
5,502
(43.0)
1,150
(9.0)
1,328
(10.4)
1,750
(13.7)
1,080
(8.4)
180
(1.4)
329
(2.6)
269
(2.1)
1,204
(9.4)
12,792
(100.0)

현에 거주하는 문과급제자 수는 1,483명으로 전체 12,792명의 10%를 상회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 목-도호부-군의 순으로 문과급제자 수가 작아지는 시도는 총 3개이다.

<표 2>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의 시도별, 지역단위별 거주지 분포

(단위: 명, %)

시도

지역단위

서울 경기 충청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평안
5,502 5,502
406 64 104 123 230 927
대도호부 236 126 21 56 439
213 551 366 242 67 102 21 396 1,958
도호부 195 335 256 67 73 104 176 1,206
138 351 389 183 44 3 169 1,277
198 426 360 295 2 25 177 1,483

(비율)
5,502
(43.0)
1,150
(9.0)
1,328
(10.4)
1,750
(13.7)
1,080
(8.4)
180
(1.4)
329
(2.6)
269
(2.1)
1,204
(9.4)
12,792
(100.0)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15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