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8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8번 해설 – 인구 구조 노령화 노년부양비 노령화지수

개요

다음은 2018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나책형 38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38. 다음 <표>는 ‘갑’국의 인구 구조와 노령화에 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1> 인구 구조 현황 및 전망

(단위: 천 명, %)

연도 총인구 유소년인구
(14세 이하)
생산가능인구
(15~64세)
노인인구
(65세 이상)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2000 47,008 9,911 21.1 33,702 71.7 3,395 7.2
2010 49,410 7,975 ( ) 35,983 72.8 5,452 11.0
2016 51,246 ( ) ( ) ( ) ( ) 8,181 16.0
2020 51,974 ( ) ( ) ( ) ( ) 9,219 17.7
2030 48,941 5,628 11.5 29,609 60.5 ( ) 28.0

※ 2020년, 2030년은 예상치임.

<표 2>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단위: %)

연도

구분

2000 2010 2016 2020 2030
노년부양비 10.1 15.2 ( ) 25.6 46.3
노령화지수 34.3 68.4 119.3 135.6 243.5

※ 1) 노년부양비(%)=\(\dfrac{\text{노인인구}}{\text{생산가능인구}}\)×100

2) 노령화지수(%)=\(\dfrac{\text{노인인구}}{\text{유소년인구}}\)×100

<보 기>
ㄱ. 2020년 대비 2030년의 노인인구 증가율은 55% 이상으로 예상된다.

ㄴ. 2016년에는 노인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다.

ㄷ. 2016년 노년부양비는 20% 이상이다.

ㄹ. 2020년 대비 2030년의 생산가능인구 감소폭은 600만 명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① ㄱ, ㄷ

② ㄴ, ㄷ

③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ㄴ, ㄷ,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2020년 대비 2030년의 노인인구 증가율은 55% 이상으로 예상된다.

<표 1> 인구 구조 현황 및 전망

(단위: 천 명, %)

연도 총인구 유소년인구
(14세 이하)
생산가능인구
(15~64세)
노인인구
(65세 이상)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2000 47,008 9,911 21.1 33,702 71.7 3,395 7.2
2010 49,410 7,975 ( ) 35,983 72.8 5,452 11.0
2016 51,246 ( ) ( ) ( ) ( ) 8,181 16.0
2020 51,974 ( ) ( ) ( ) ( ) 9,219 17.7
2030 48,941 5,628 11.5 29,609 60.5 13,703 28.0

2030년 노인인구: 48,941천 명 × 28.0% ≒ 13,703천 명

\(\dfrac{\text{13,703천 명-9,219천 명}}{\text{9,219천 명}}\) ≒ 48.6%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2016년에는 노인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다.

<표 2>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단위: %)

연도

구분

2000 2010 2016 2020 2030
노년부양비 10.1 15.2 ( ) 25.6 46.3
노령화지수 34.3 68.4 119.3 135.6 243.5

노령화지수는 유소년인구 대비 노인인구의 비율을 나타낸다.

2016년 노령화지수가 119.3%이기 때문에 유소년인구보다 노인인구가 더 많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2016년 노년부양비는 20% 이상이다.

<표 1> 인구 구조 현황 및 전망

(단위: 천 명, %)

연도 총인구 유소년인구
(14세 이하)
생산가능인구
(15~64세)
노인인구
(65세 이상)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2000 47,008 9,911 21.1 33,702 71.7 3,395 7.2
2010 49,410 7,975 ( ) 35,983 72.8 5,452 11.0
2016 51,246 ( ) 13.4 ( ) 70.6 8,181 16.0
2020 51,974 ( ) ( ) ( ) ( ) 9,219 17.7
2030 48,941 5,628 11.5 29,609 60.5 ( ) 28.0

<표 2>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단위: %)

연도

구분

2000 2010 2016 2020 2030
노년부양비 10.1 15.2 22.7 25.6 46.3
노령화지수 34.3 68.4 119.3 135.6 243.5

2016년 노령화지수는 119.3%이다.

노령화지수(%)=\(\dfrac{\text{노인인구}}{\text{유소년인구}}\)는 \(\dfrac{\text{노인인구 구성비}}{\text{유소년인구 구성비}}\)로 바꿔쓸 수 있다.

2016년 유소년인구 구성비(%)=\(\dfrac{\text{노인인구 구성비}}{\text{노령화지수}}\)=\(\dfrac{\text{16.0%}}{\text{119.3%}}\) ≒ 13.4%이다.

2016년 생산가능인구 구성비 = 100% – 13.4% – 16.0% = 70.6%이다.

2016년 노년부양비: \(\dfrac{\text{16.0%}}{\text{70.6%}}\) ≒ 22.7%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2020년 대비 2030년의 생산가능인구 감소폭은 600만 명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표 1> 인구 구조 현황 및 전망

(단위: 천 명, %)

연도 총인구 유소년인구
(14세 이하)
생산가능인구
(15~64세)
노인인구
(65세 이상)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인구수 구성비
2000 47,008 9,911 21.1 33,702 71.7 3,395 7.2
2010 49,410 7,975 ( ) 35,983 72.8 5,452 11.0
2016 51,246 ( ) ( ) ( ) ( ) 8,181 16.0
2020 51,974 ( ) ( ) 35,914 69.1 9,219 17.7
2030 48,941 5,628 11.5 29,609 60.5 ( ) 28.0

<표 2> 노년부양비 및 노령화지수

(단위: %)

연도

구분

2000 2010 2016 2020 2030
노년부양비 10.1 15.2 ( ) 25.6 46.3
노령화지수 34.3 68.4 119.3 135.6 243.5

2020년 노년부양비 25.6% = \(\dfrac{\text{17.7%}}{\text{생산가능인구 구성비}}\)

2020년 생산가능인구 구성비: \(\dfrac{\text{17.7%}}{\text{25.6%}}\) ≒ 69.1%

2020년 생산가능인구: 51,974천 명 × 69.1% = 35,914천 명

2020년 생산가능인구 – 2030년 생산가능인구: 35,914천 명 – 29,609천 명 = 6,305천 명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18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