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4번 해설 – 갑 마을 가구수 1인 가구수

개요

다음은 2022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나책형 1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4. 다음 <표>는 A~D마을로 구성된 ‘갑’지역의 가구수에 관한 자료이다. <표>를 이용하여 작성한 그래프로 옳은 것은?

<표 1> 마을별 1인 가구 현황

(단위: 가구, %)

마을

연도

A B C D
2018 90(18.0) 130(26.0) 200(40.0) 80(16.0)
2019 220(36.7) 60(10.0) 130(21.7) 190(31.7)
2020 305(43.6) 240(34.3) 80(11.4) 75(10.7)
2021 120(15.0) 205(25.6) 160(20.0) 315(39.4)
※ ( )안 수치는 연도별 ‘갑’지역 1인 가구수 중 해당 마을 1인 가구수의 비중임.

<표 2> 마을별 총가구수

(단위: 가구)

마을 A B C D
총가구수 600 550 500 500
※ A~D마을별 총가구수는 매년 변동 없음.

① 연도별 ‘갑’지역 1인 가구수

② 2021년 ‘갑’지역 2인 이상 가구의 마을별 구성비

③ 연도별 A마을의 총가구수 대비 1인 가구수 비중

④ 연도별 B, C마을의 2인 이상 가구수와 1인 가구수 차이

⑤ 연도별 D마을의 전년 대비 1인 가구수 증가율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연도별 ‘갑’지역 1인 가구수

<표 1> 마을별 1인 가구 현황

(단위: 가구, %)

마을

연도

A B C D
2018 90(18.0) 130(26.0) 200(40.0) 80(16.0)
2019 220(36.7) 60(10.0) 130(21.7) 190(31.7)
2020 305(43.6) 240(34.3) 80(11.4) 75(10.7)
2021 120(15.0) 205(25.6) 160(20.0) 315(39.4)

2021년 ‘갑’지역 1인 가구수 = 120+205+160+315 = 800가구

<표 1>의 자료 내용이 위 그래프에 올바르게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2021년 ‘갑’지역 2인 이상 가구의 마을별 구성비

<표 1> 마을별 1인 가구 현황

(단위: 가구, %)

마을

연도

A B C D
2018 90(18.0) 130(26.0) 200(40.0) 80(16.0)
2019 220(36.7) 60(10.0) 130(21.7) 190(31.7)
2020 305(43.6) 240(34.3) 80(11.4) 75(10.7)
2021 120(15.0) 205(25.6) 160(20.0) 315(39.4)

<표 2> 마을별 총가구수

(단위: 가구)

마을 A B C D
총가구수 600 550 500 500

2021년 ‘갑’지역 2인 이상 가구수 = (600-120) + (550-205) + (500-160) + (500-315) = 1,350가구

2021년 ‘갑’지역 C 마을 2인 이상 가구의 구성비 = \(\dfrac{340}{1,350}\) ≒ 25.1%

2021년 ‘갑’지역 D 마을 2인 이상 가구의 구성비 = \(\dfrac{185}{1,350}\) ≒ 13.7%

2021년 ‘갑’지역 C 마을, D 마을 2인 이상 가구의 구성비는 가각 25.1%, 13.7%이지만 위 그래프에서는 바뀌어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연도별 A마을의 총가구수 대비 1인 가구수 비중

<표 1> 마을별 1인 가구 현황

(단위: 가구, %)

마을

연도

A B C D
2018 90(18.0) 130(26.0) 200(40.0) 80(16.0)
2019 220(36.7) 60(10.0) 130(21.7) 190(31.7)
2020 305(43.6) 240(34.3) 80(11.4) 75(10.7)
2021 120(15.0) 205(25.6) 160(20.0) 315(39.4)

<표 2> 마을별 총가구수

(단위: 가구)

마을 A B C D
총가구수 600 550 500 500

2018년 A마을의 총가구수 대비 1인 가구수 비중 = \(\dfrac{90}{600}\) ≒ 15%

2019년 A마을의 총가구수 대비 1인 가구수 비중 = \(\dfrac{220}{600}\) ≒ 36.7%

2020년 A마을의 총가구수 대비 1인 가구수 비중 = \(\dfrac{305}{600}\) ≒ 50.8%

2021년 A마을의 총가구수 대비 1인 가구수 비중 = \(\dfrac{120}{600}\) ≒ 20%

연도별 A마을의 총가구수 대비 1인 가구수 비중과 위 그래프 수치가 다르게 나타나 있다.

위 그래프의 수치는 연도별 1인 가구수 중 A 마을 1인 가구수의 비중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연도별 B, C마을의 2인 이상 가구수와 1인 가구수 차이

<표 1> 마을별 1인 가구 현황

(단위: 가구, %)

마을

연도

A B C D
2018 90(18.0) 130(26.0) 200(40.0) 80(16.0)
2019 220(36.7) 60(10.0) 130(21.7) 190(31.7)
2020 305(43.6) 240(34.3) 80(11.4) 75(10.7)
2021 120(15.0) 205(25.6) 160(20.0) 315(39.4)

<표 2> 마을별 총가구수

(단위: 가구)

마을 A B C D
총가구수 600 550 500 500

2021년 B 마을 2인 이상 가구수와 1인 가구수 차이 = 550 – 205 – 205 = 140가구

2021년 C 마을 2인 이상 가구수와 1인 가구수 차이 = 500 – 160 – 160 = 180가구

2021년 B 마을, C 마을의 2인 이상 가구수와 1인 가구수 차이는 각각 140, 180가구이다.

하지만 위 그래프에서는 수치가 바뀌어 나타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연도별 D마을의 전년 대비 1인 가구수 증가율

<표 1> 마을별 1인 가구 현황

(단위: 가구, %)

마을

연도

A B C D
2018 90(18.0) 130(26.0) 200(40.0) 80(16.0)
2019 220(36.7) 60(10.0) 130(21.7) 190(31.7)
2020 305(43.6) 240(34.3) 80(11.4) 75(10.7)
2021 120(15.0) 205(25.6) 160(20.0) 315(39.4)

2019년 D마을의 전년 대비 1인 가구수 증가율 = \(\dfrac{190-80}{80}\) = 137.5%

2020년 D마을의 전년 대비 1인 가구수 증가율 = \(\dfrac{75-190}{190}\) = -60.5%

2021년 D마을의 전년 대비 1인 가구수 증가율 = \(\dfrac{315-75}{75}\) = 320%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22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