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3번 해설 – 소년 범죄 성인 범죄 범죄율 발생지수

개요

다음은 2022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나책형 13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3. 다음 <표>는 ‘갑’국의 2017~2021년 소년 범죄와 성인 범죄 현황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소년 범죄와 성인 범죄 현황

(단위: 명, %)

구분

연도

소년 범죄 성인 범죄 소년 범죄자
비율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2017 63,145 1,172 100.0 953,064 2,245 100.0 6.2
2018 56,962 1,132 96.6 904,872 2,160 96.2 5.9
2019 61,162 1,246 106.3 920,760 2,112 94.1 ( )
2020 58,255 1,249 ( ) 878,991 2,060 ( ) 6.2
2021 54,205 1,201 102.5 878,917 2,044 91.0 5.8
1) 범죄는 소년 범죄와 성인 범죄로만 구분함.

2) 소년(성인) 범죄율은 소년(성인) 인구 10만 명당 소년(성인) 범죄자수를 의미함.

3) 소년(성인) 범죄 발생지수는 2017년 소년(성인) 범죄율을 100.0으로 할 때, 해당 연도 소년(성인) 범죄율의 상대적인 값임.

4) 소년 범죄자 비율(%)=\(\dfrac{\text{소년 범죄자수}}{\text{소년 범죄자수+성인 범죄자수}}\)×100

<보 기>
ㄱ. 2017년 대비 2021년 소년 인구는 증가하고 소년 범죄자수는 감소하였다.

ㄴ. 소년 범죄율이 2017년 대비 6.0% 이상 증가한 연도의 소년 범죄자 비율은 6.0% 이상이다.

ㄷ. 소년 범죄 발생지수와 성인 범죄 발생지수 모두 2021년이 2020년보다 작다.

ㄹ. 소년 범죄 발생지수가 전년 대비 증가한 연도에는 소년 범죄자수도 전년 대비 증가하였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2017년 대비 2021년 소년 인구는 증가하고 소년 범죄자수는 감소하였다.

소년 인구 10만 당 소년 범죄자수를 구하는 식은

소년 범죄자수 ÷ (소년 인구 ÷ 10만 명) = 소년 인구 10만 당 소년 범죄자수

이다. 즉,

소년 인구 = \(\dfrac{\text{소년 범죄자수}}{\text{소년 인구 10만 당 소년 범죄자수}}\) × 10만 명

이 된다.

예를 들어, 소년 범죄자수가 1만 명이고 소년 인구 10만 당 소년 범죄자수가 1,000명이라면

1만 명 ÷ (소년 인구 ÷ 10만 명) = 1,000명

이 되어 소년 인구는 100만 명이 된다.

<표> 소년 범죄와 성인 범죄 현황

(단위: 명, %)

구분

연도

소년 범죄 성인 범죄 소년 범죄자
비율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2017 63,145 1,172 100.0 953,064 2,245 100.0 6.2
2018 56,962 1,132 96.6 904,872 2,160 96.2 5.9
2019 61,162 1,246 106.3 920,760 2,112 94.1 ( )
2020 58,255 1,249 ( ) 878,991 2,060 ( ) 6.2
2021 54,205 1,201 102.5 878,917 2,044 91.0 5.8
2017년 10만 명당 소년 범죄자수 1,172명 = 2017년 소년 범죄자수 63,415명 ÷ (2017년 소년 인구 ÷ 10만 명)

이 되고,

2017년 소년 인구 = \(\dfrac{\text{63,415명}}{\text{1,172명}}\) × 10만 명

이 되어, 2017년 소년 인구는 약 5,410,836명이 된다.

또한,

2021년 소년 인구 = \(\dfrac{\text{54,204명}}{\text{1,201명}}\) × 10만 명

이 되어, 2021년 소년 인구는 약 4,513,239명이 된다.

2017년 소년 인구는 약 5,410,836명에서 2021년에는 약 4,513,239명으로 감소했다.

소년 범죄자수는 63,145명에서 54,205명으로 감소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소년 범죄율이 2017년 대비 6.0% 이상 증가한 연도의 소년 범죄자 비율은 6.0% 이상이다.

<표> 소년 범죄와 성인 범죄 현황

(단위: 명, %)

구분

연도

소년 범죄 성인 범죄 소년 범죄자
비율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2017 63,145 1,172 100.0 953,064 2,245 100.0 6.2
2018 56,962 1,132 96.6 904,872 2,160 96.2 5.9
2019 61,162 1,246 106.3 920,760 2,112 94.1 (6.2)
2020 58,255 1,249 ( ) 878,991 2,060 ( ) 6.2
2021 54,205 1,201 102.5 878,917 2,044 91.0 5.8

2017년 소년 범죄율은  1,172명이고, 이것의 6% 증가한 수치는 약 1,242명이다.

소년 범죄율이 1,242명을 넘는 연도는 2019년, 2020년이다.

2019년 소년 범죄자 비율은 \(\dfrac{61,162}{61,162+920,760}\) ≒ 6.2%.

2020년 소년 범죄자 비율은 6.2%.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소년 범죄 발생지수와 성인 범죄 발생지수 모두 2021년이 2020년보다 작다.

<표> 소년 범죄와 성인 범죄 현황

(단위: 명, %)

구분

연도

소년 범죄 성인 범죄 소년 범죄자
비율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2017 63,145 1,172 100.0 953,064 2,245 100.0 6.2
2018 56,962 1,132 96.6 904,872 2,160 96.2 5.9
2019 61,162 1,246 106.3 920,760 2,112 94.1 6.2
2020 58,255 1,249 106.6 878,991 2,060 91.8 6.2
2021 54,205 1,201 102.5 878,917 2,044 91.0 5.8

2020년 소년 범죄 발생지수 = \(\dfrac{1,249}{1,172}\) ≒ 106.6

2020년 성인 범죄 발생지수 = \(\dfrac{2,060}{2,245}\) ≒ 91.8

2021년 소년 범죄 발생지수와 성인 범죄 발생지수는 각각 102.5, 91.0이므로 보기의 내용은 옳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소년 범죄 발생지수가 전년 대비 증가한 연도에는 소년 범죄자수도 전년 대비 증가하였다.

<표> 소년 범죄와 성인 범죄 현황

(단위: 명, %)

구분

연도

소년 범죄 성인 범죄 소년 범죄자
비율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범죄자수 범죄율 발생지수
2017 63,145 1,172 100.0 953,064 2,245 100.0 6.2
2018 56,962 1,132 96.6 904,872 2,160 96.2 5.9
2019 61,162 1,246 106.3 920,760 2,112 94.1 6.2
2020 58,255 1,249 106.6 878,991 2,060 91.8 6.2
2021 54,205 1,201 102.5 878,917 2,044 91.0 5.8

소년 범죄 발생지수가 전년 대비 증가한 연도는 2019년, 2020년이다.

2020년에는 소년 범죄자수가 전년 대비 감소하였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③번이다.

2022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