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40번 해설 – 프랜차이즈 기업 가맹점 신규개점

개요

다음은 2022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나책형 40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40. 다음 <표>는 2018~2020년 프랜차이즈 기업 A~E의 가맹점 현황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1>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신규개점 현황

(단위: 개, %)

구분

연도

기업

신규개점 수 신규개점률
2018 2019 2020 2019 2020
A 249 390 357 31.1 22.3
B 101 89 75 9.5 7.8
C 157 110 50 12.6 5.7
D 93 233 204 35.7 24.5
E 131 149 129 27.3 19.3
※ 해당 연도 신규개점률(%)=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전년도 가맹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100

<표 2>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폐점 수 현황

(단위: 개)

연도

기업

2018 2019 2020
A 11 12 21
B 27 53 140
C 24 39 70
D 55 25 64
E 4 8 33
※ 해당 연도 가맹점 수=전년도 가맹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해당 연도 폐점 수
<보 기>
ㄱ. 2018년 C의 가맹점 수는 800개 이상이다.

ㄴ. 2019년에 비해 2020년 가맹점 수가 감소한 기업은 B와 C이다.

ㄷ. 2020년 가맹점 수는 E가 가장 적고, A가 가장 많다.

ㄹ. 2018년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은 D가 가장 낮고, A가 가장 높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2018년 C의 가맹점 수는 800개 이상이다.

<표 1>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신규개점 현황

(단위: 개, %)

구분

연도

기업

신규개점 수 신규개점률
2018 2019 2020 2019 2020
A 249 390 357 31.1 22.3
B 101 89 75 9.5 7.8
C 157 110 50 12.6 5.7
D 93 233 204 35.7 24.5
E 131 149 129 27.3 19.3

해당 연도 신규개점률(%)=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전년도 가맹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100

전년도 가맹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 = 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률(%)×100

전년도 가맹점 수 =  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률(%)×100 – 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

2018년 C의 가맹점 수 = 110개(2019년)12.6%×100 – 110개(2019년)

2018년 C의 가맹점 수 = 763개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2019년에 비해 2020년 가맹점 수가 감소한 기업은 B와 C이다.

해당 연도 가맹점 수=전년도 가맹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해당 연도 폐점 수

(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해당 연도 폐점 수)가 양수이면 전년도에 비해 해당 연도 가맹점 수가 증가한다. 그 반대이면 해당 연도 가맹점 수는 감소한다.

<표 1>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신규개점 현황

(단위: 개, %)

구분

연도

기업

신규개점 수 신규개점률
2018 2019 2020 2019 2020
A 249 390 357 31.1 22.3
B 101 89 75 9.5 7.8
C 157 110 50 12.6 5.7
D 93 233 204 35.7 24.5
E 131 149 129 27.3 19.3

<표 2>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폐점 수 현황

(단위: 개)

연도

기업

2018 2019 2020
A 11 12 21
B 27 53 140
C 24 39 70
D 55 25 64
E 4 8 33

2020년 신규개점 수가 폐점 수보다 적은 기업은 B와 C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올다.

ㄷ. 2020년 가맹점 수는 E가 가장 적고, A가 가장 많다.

<표 1>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신규개점 현황

(단위: 개, %)

구분

연도

기업

신규개점 수 신규개점률
2018 2019 2020 2019 2020
A 249 390 357 31.1 22.3
B 101 89 75 9.5 7.8
C 157 110 50 12.6 5.7
D 93 233 204 35.7 24.5
E 131 149 129 27.3 19.3
※ 해당 연도 신규개점률(%)=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전년도 가맹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100

<표 2>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폐점 수 현황

(단위: 개)

연도

기업

2018 2019 2020
A 11 12 21
B 27 53 140
C 24 39 70
D 55 25 64
E 4 8 33
※ 해당 연도 가맹점 수=전년도 가맹점 수+해당 연도 신규개점 수-해당 연도 폐점 수

2019년 가맹점 수 =  2020년 신규개점 수2020년 신규개점률(%)×100 – 2020년 신규개점 수

2020년 가맹점 수 = 2019년 가맹점 수 + 2020년 신규개점 수 – 2020년 폐점 수

2020년 가맹점 수 = 2020년 신규개점 수2020년 신규개점률(%)×100 – 2020년 신규개점 수 + 2020년 신규개점 수 – 2020년 폐점 수

2020년 가맹점 수 = 2020년 신규개점 수2020년 신규개점률(%)×100 – 2020년 폐점 수

 

2020년 A의 가맹점 수 = 357개22.3%×100 – 21개 ≒ 1,580개

2020년 B의 가맹점 수 = 75개7.8%×100 – 140개 ≒ 649개

2020년 C의 가맹점 수 = 50개5.7%×100 – 70개 ≒ 807개

2020년 D의 가맹점 수 = 204개24.5%×100 – 64개 ≒ 507개

2020년 E의 가맹점 수 = 129개19.3%×100 – 33개 ≒ 440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2018년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은 D가 가장 낮고, A가 가장 높다.

<표 2>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폐점 수 현황

(단위: 개)

연도

기업

2018 2019 2020
A 11 12 21
B 27 53 140
C 24 39 70
D 55 25 64
E 4 8 33

<표 1> 2018~2020년 기업 A~E의 가맹점 신규개점 현황

(단위: 개, %)

구분

연도

기업

신규개점 수 신규개점률
2018 2019 2020 2019 2020
A 249 390 357 31.1 22.3
B 101 89 75 9.5 7.8
C 157 110 50 12.6 5.7
D 93 233 204 35.7 24.5
E 131 149 129 27.3 19.3

A의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 = 24911 ≒ 22.6

B의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 = 10127 ≒ 3.74

C의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 = 15724 ≒ 6.54

D의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 = 93551.69

E의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 = 131432.75

2018년 폐점 수 대비 신규개점 수의 비율은 D가 가장 낮고, E가 가장 높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③번이다.

2022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0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