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자료해석 인책형 14번 해설 – 병해충 발생면적 흰불나방

개요

다음은 2023년도 국가직 7급 PSAT 자료해석영역 인책형 1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14. 다음 <표>는 2017~2022년 ‘갑’국의 병해충 발생면적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2017~2022년 ‘갑’국의 병해충 발생면적

(단위: ha)

연도

병해충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흰불나방 35,964 32,235 29,325 29,332 28,522 32,627
솔잎혹파리 35,707 38,976 ( ) 27,530 27,638 20,840
솔껍질깍지벌레 4,043 7,718 6,380 5,024 3,566 3,497
참나무시들음병 1,733 1,636 1,576 1,560 1,240 ( )
전체 77,447 ( ) 69,812 63,446 60,966 58,451
<보 기>
ㄱ. 2019~2022년 발생면적이 매년 감소한 병해충은 ‘솔껍질깍지벌레’뿐이다.

ㄴ. 전체 병해충 발생면적이 전년 대비 증가한 해는 2018년뿐이다.

ㄷ. 2019년 ‘솔잎혹파리’ 발생면적은 2022년 ‘참나무시들음병’ 발생면적의 30배 이상이다.

ㄹ. 2022년 병해충 발생면적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참나무시들음병’이 ‘흰불나방’보다 낮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ㄷ, ㄹ

⑤ ㄱ, ㄴ,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표> 2017~2022년 ‘갑’국의 병해충 발생면적

(단위: ha)

연도

병해충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흰불나방 35,964 32,235 29,325 29,332 28,522 32,627
솔잎혹파리 35,707 38,976 (32,700) 27,530 27,638 20,840
솔껍질깍지벌레 4,043 7,718 6,380 5,024 3,566 3,497
참나무시들음병 1,733 1,636 1,576 1,560 1,240 (1,600)
전체 77,447 (79,400) 69,812 63,446 60,966 58,451

계산의 편의상 백의 자리 미만은 무시한다.

2019년 솔잎혹파리 발생면적 = 69,800 – 29,300 – 6,300 – 1,500 = 32,700ha

2018년 병해충 발생면적 = 32,200 + 38,900+ 7,700 + 1,600 = 79,400ha

2022년 참나무시들음병 발생면적 = 58,400 – 32,600 – 20,800 – 3,400 = 1,600ha

ㄱ. 2019~2022년 발생면적이 매년 감소한 병해충은 ‘솔껍질깍지벌레’뿐이다.

<표> 2017~2022년 ‘갑’국의 병해충 발생면적

(단위: ha)

연도

병해충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흰불나방 35,964 32,235 29,325 29,332 28,522 32,627
솔잎혹파리 35,707 38,976 32,700 27,530 27,638 20,840
솔껍질깍지벌레 4,043 7,718 6,380 5,024 3,566 3,497
참나무시들음병 1,733 1,636 1,576 1,560 1,240 1,600
전체 77,447 79,400 69,812 63,446 60,966 58,451

흰불나방은 2020년, 솔잎혹파리는 2021년, 참나무시들음병은 2022년 발생면적이 증가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전체 병해충 발생면적이 전년 대비 증가한 해는 2018년뿐이다.

<표> 2017~2022년 ‘갑’국의 병해충 발생면적

(단위: ha)

연도

병해충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흰불나방 35,964 32,235 29,325 29,332 28,522 32,627
솔잎혹파리 35,707 38,976 32,700 27,530 27,638 20,840
솔껍질깍지벌레 4,043 7,718 6,380 5,024 3,566 3,497
참나무시들음병 1,733 1,636 1,576 1,560 1,240 1,600
전체 77,447 79,400 69,812 63,446 60,966 58,451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2019년 이후에는 발생면적이 전년 대비 감소한다.

 

ㄷ. 2019년 ‘솔잎혹파리’ 발생면적은 2022년 ‘참나무시들음병’ 발생면적의 30배 이상이다.

<표> 2017~2022년 ‘갑’국의 병해충 발생면적

(단위: ha)

연도

병해충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흰불나방 35,964 32,235 29,325 29,332 28,522 32,627
솔잎혹파리 35,707 38,976 32,700 27,530 27,638 20,840
솔껍질깍지벌레 4,043 7,718 6,380 5,024 3,566 3,497
참나무시들음병 1,733 1,636 1,576 1,560 1,240 1,600
전체 77,447 79,400 69,812 63,446 60,966 58,451

1,500×30 = 45,000 > 32,700

근사값으로 암산해도 2019년 ‘솔잎혹파리’ 발생면적이 2022년 ‘참나무시들음병’ 발생면적의 30배 이하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ㄹ. 2022년 병해충 발생면적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참나무시들음병’이 ‘흰불나방’보다 낮다.

<표> 2017~2022년 ‘갑’국의 병해충 발생면적

(단위: ha)

연도

병해충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흰불나방 35,964 32,235 29,325 29,332 28,522 32,627
솔잎혹파리 35,707 38,976 32,700 27,530 27,638 20,840
솔껍질깍지벌레 4,043 7,718 6,380 5,024 3,566 3,497
참나무시들음병 1,733 1,636 1,576 1,560 1,240 1,600
전체 77,447 79,400 69,812 63,446 60,966 58,451

근사값 계산

2022년 흰불나방 발생면적 전년 대비 증가율 = \(\dfrac{32,600-28,500}{28,500}\) ≒ 14.4%

2022년 참나무시들음병 발생면적 전년 대비 증가율 = \(\dfrac{1,600-1,240}{1,240}\) ≒ 29%

2022년 병해충 발생면적의 전년 대비 증가율은 ‘참나무시들음병’이 ‘흰불나방’보다 높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③번이다.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