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4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6번 해설 – 직업학교 모집정원 지원자 수

개요

다음은 2024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나책형 36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36. 다음 <표>는 2020~2023년 ‘갑’국 직업학교 A~E의 모집정원 및 지원자 수에 관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표 1> ‘갑’국 직업학교 A~E의 모집정원

(단위: 명)

성별

직업학교

전체 남성 여성
A 330 290 40
B 170 144 26
C 235 199 36
D 90 9 81
E 550 490 60
※ 2020~2023년 동안 ‘갑’국 직업학교 A~E의 성별 모집정원은 변동 없음.

<표 2> 2020~2023년 ‘갑’국 직업학교 A~E의 지원자 수

(단위: 명)

연도 2020 2021 2022 2023
직업 성별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학교
A 11,273 8,149 3,124 14,656 10,208 4,448 8,648 6,032 2,616 8,073 5,713 2,360
B 6,797 4,824 1,973 3,401 2,434 967 3,856 2,650 1,206 3,686 2,506 1,180
C 9,957 6,627 3,330 12,406 8,079 4,327 5,718 4,040 1,678 5,215 3,483 1,732
D 4,293 559 3,734 3,994 600 3,394 2,491 336 2,155 2,389 275 2,114
E 2,965 2,107 858 3,393 2,205 1,188 2,657 1,715 942 2,528 1,568 960

① 직업학교 A~E의 전체 지원자 수의 합이 가장 많은 연도는 2020년이다.

② 2020년 전체 지원자 수 대비 2023년 전체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직업학교는 D이다.

③ 직업학교 E에서 성별 모집정원 대비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연도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하다.

④ 직업학교 A는 남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이 가장 큰 연도에 여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도 가장 크다.

⑤ 직업학교 B에서 여성 모집정원 대비 여성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연도와 직업학교 C에서 여성 모집정원 대비 여성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도는 동일하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직업학교 A~E의 전체 지원자 수의 합이 가장 많은 연도는 2020년이다.

<표 2> 2020~2023년 ‘갑’국 직업학교 A~E의 지원자 수

(단위: 명)

연도 2020 2021 2022 2023
직업 성별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학교
A 11,273 8,149 3,124 14,656 10,208 4,448 8,648 6,032 2,616 8,073 5,713 2,360
B 6,797 4,824 1,973 3,401 2,434 967 3,856 2,650 1,206 3,686 2,506 1,180
C 9,957 6,627 3,330 12,406 8,079 4,327 5,718 4,040 1,678 5,215 3,483 1,732
D 4,293 559 3,734 3,994 600 3,394 2,491 336 2,155 2,389 275 2,114
E 2,965 2,107 858 3,393 2,205 1,188 2,657 1,715 942 2,528 1,568 960

2020년 전체 지원자 수의 합: 11,273 + 6,797 + 9,957 + 4,293 + 2,965 = 35,285명

2021년 전체 지원자 수의 합: 14,656 + 3,401 + 12,406 + 3,994 + 3,393 = 37,850명

2020년의 직업학교 A~E의 전체 지원자 수의 합은 2021년보다 작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2020년 전체 지원자 수 대비 2023년 전체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직업학교는 D이다.

<표 2> 2020~2023년 ‘갑’국 직업학교 A~E의 지원자 수

(단위: 명)

연도 2020 2021 2022 2023
직업 성별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학교
A 11,273 8,149 3,124 14,656 10,208 4,448 8,648 6,032 2,616 8,073 5,713 2,360
B 6,797 4,824 1,973 3,401 2,434 967 3,856 2,650 1,206 3,686 2,506 1,180
C 9,957 6,627 3,330 12,406 8,079 4,327 5,718 4,040 1,678 5,215 3,483 1,732
D 4,293 559 3,734 3,994 600 3,394 2,491 336 2,155 2,389 275 2,114
E 2,965 2,107 858 3,393 2,205 1,188 2,657 1,715 942 2,528 1,568 960

D의 2020년 전체 지원자 수 대비 2023년 전체 지원자 수 비율: \(\dfrac{\text{2,389}}{\text{4,293}}\) ≒ 55.6%

C의 2020년 전체 지원자 수 대비 2023년 전체 지원자 수 비율: \(\dfrac{\text{5,215}}{\text{9,957}}\) ≒ 52.4%

D의 2020년 전체 지원자 수 대비 2023년 전체 지원자 수 비율은 C보다 높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직업학교 E에서 성별 모집정원 대비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연도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하다.

<표 1> ‘갑’국 직업학교 A~E의 모집정원

(단위: 명)

성별

직업학교

전체 남성 여성
A 330 290 40
B 170 144 26
C 235 199 36
D 90 9 81
E 550 490 60
※ 2020~2023년 동안 ‘갑’국 직업학교 A~E의 성별 모집정원은 변동 없음.

<표 2> 2020~2023년 ‘갑’국 직업학교 A~E의 지원자 수

(단위: 명)

연도 2020 2021 2022 2023
직업 성별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학교
A 11,273 8,149 3,124 14,656 10,208 4,448 8,648 6,032 2,616 8,073 5,713 2,360
B 6,797 4,824 1,973 3,401 2,434 967 3,856 2,650 1,206 3,686 2,506 1,180
C 9,957 6,627 3,330 12,406 8,079 4,327 5,718 4,040 1,678 5,215 3,483 1,732
D 4,293 559 3,734 3,994 600 3,394 2,491 336 2,155 2,389 275 2,114
E 2,965 2,107 858 3,393 2,205 1,188 2,657 1,715 942 2,528 1,568 960
\(\dfrac{\text{지원자 수(변동)}}{\text{모집정원(변동X)}}\)

 

2020~2023년 동안 ‘갑’국 직업학교 E의 성별 모집정원은 변동이 없기 때문에 직업학교 E의 남성 지원자 수가 가장 적은 해와 여성 지원자 수가 가장 적은 해가 동일한지 살핀다.

E의 남성 지원자 수가 가장 적은 해는 2023년이다. 반면 여성 지원자 수가 가장 적은 해는 2020년이다.

그러므로 직업학교 E에서 성별 모집정원 대비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연도는 남성과 여성이 다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직업학교 A는 남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이 가장 큰 연도에 여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도 가장 크다.

<표 2> 2020~2023년 ‘갑’국 직업학교 A~E의 지원자 수

(단위: 명)

연도 2020 2021 2022 2023
직업 성별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학교
A 11,273 8,149 3,124 14,656 10,208 4,448 8,648 6,032 2,616 8,073 5,713 2,360
B 6,797 4,824 1,973 3,401 2,434 967 3,856 2,650 1,206 3,686 2,506 1,180
C 9,957 6,627 3,330 12,406 8,079 4,327 5,718 4,040 1,678 5,215 3,483 1,732
D 4,293 559 3,734 3,994 600 3,394 2,491 336 2,155 2,389 275 2,114
E 2,965 2,107 858 3,393 2,205 1,188 2,657 1,715 942 2,528 1,568 960

2021년 남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 \(\dfrac{\text{10,208-8,149}}{\text{8,149}}\) ≒ 25.3%

2021년 여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 \(\dfrac{\text{4,448-3,124}}{\text{3,124}}\) ≒ 42.4%

 

2022년 남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 \(\dfrac{\text{6,032-10,208}}{\text{10,208}}\) ≒ -40.9%

2022년 여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 \(\dfrac{\text{2,616-4,448}}{\text{4,448}}\) ≒ -41.2%

 

2023년 남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 \(\dfrac{\text{5,713-6,032}}{\text{6,032}}\) ≒ -5.3%

2023년 여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 \(\dfrac{\text{2,360-2,616}}{\text{2,616}}\) ≒ -9.8%

 

직업학교 A는 남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이 가장 큰 연도는 2022년이고, 여성 지원자 수의 전년 대비 증감률이 가장 큰 연도는 2021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직업학교 B에서 여성 모집정원 대비 여성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연도와 직업학교 C에서 여성 모집정원 대비 여성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도는 동일하다.

<표 2> 2020~2023년 ‘갑’국 직업학교 A~E의 지원자 수

(단위: 명)

연도 2020 2021 2022 2023
직업 성별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전체 남성 여성
학교
A 11,273 8,149 3,124 14,656 10,208 4,448 8,648 6,032 2,616 8,073 5,713 2,360
B 6,797 4,824 1,973 3,401 2,434 967 3,856 2,650 1,206 3,686 2,506 1,180
C 9,957 6,627 3,330 12,406 8,079 4,327 5,718 4,040 1,678 5,215 3,483 1,732
D 4,293 559 3,734 3,994 600 3,394 2,491 336 2,155 2,389 275 2,114
E 2,965 2,107 858 3,393 2,205 1,188 2,657 1,715 942 2,528 1,568 960
\(\dfrac{\text{지원자 수(변동)}}{\text{모집정원(변동X)}}\)

 

2020~2023년 동안 ‘갑’국 직업학교 B, C의 성별 모집정원은 변동이 없기 때문에 직업학교 B의 여성 지원자 수가 가장 적은 해와 C의 여성 지원자 수가 가장 많은 해가 동일한지 살핀다.

직업학교 B에서 여성 모집정원 대비 여성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낮은 연도와 직업학교 C에서 여성 모집정원 대비 여성 지원자 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도는 2021년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24 5급 PSAT 자료해석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