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요
다음은 2021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가책형 30번, 3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 다음 <표>는 2014~2019년 ‘갑’지역의 월별 기상자료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문 30.~문 31.]
<표 1> 2014~2019년 월별 평균기온 (단위: °C)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014 | -4.5 | 1.4 | 4.3 | 9.5 | 17.2 | 23.4 | 25.8 | 26.5 | 21.8 | 14.5 | 6.5 | -1.3 |
2015 | -7.2 | 1.2 | 3.6 | 10.7 | 17.9 | 22.0 | 24.6 | 25.8 | 21.8 | 14.2 | 10.7 | -0.9 |
2016 | -2.8 | -2.0 | 5.1 | 12.3 | 19.7 | 24.1 | 25.4 | 27.1 | 21.0 | 15.3 | 5.5 | -4.1 |
2017 | -3.4 | -1.2 | 5.1 | 10.0 | 18.2 | 24.4 | 25.5 | 27.7 | 21.8 | 15.8 | 6.2 | -0.2 |
2018 | -0.7 | 1.9 | 7.9 | 14.0 | 18.9 | 23.1 | 26.1 | 25.2 | 22.1 | 15.6 | 9.0 | -2.9 |
2019 | -0.9 | 1.0 | 6.3 | 13.3 | 18.9 | 23.6 | 25.8 | 26.3 | 22.4 | 15.5 | 8.9 | 1.6 |
<표 2> 2014~2019년 월별 강수량 (단위: mm)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합계 (연강수량) |
2014 | 6 | 55 | 83 | 63 | 124 | 128 | 239 | 599 | 672 | 26 | 11 | 16 | 2,022 |
2015 | 29 | 29 | 15 | 110 | 53 | 405 | 1,131 | 167 | 26 | 32 | 56 | 7 | 2,060 |
2016 | 9 | 1 | 47 | 157 | 8 | 92 | 449 | 465 | 212 | 99 | 68 | 41 | 1,648 |
2017 | 7 | 74 | 27 | 72 | 132 | 28 | 676 | 149 | 139 | 14 | 47 | 25 | 1,390 |
2018 | 22 | 16 | 7 | 31 | 63 | 98 | 208 | 173 | 88 | 52 | 42 | 18 | 818 |
2019 | 11 | 23 | 10 | 81 | 29 | 99 | 226 | 73 | 26 | 82 | 105 | 29 | 794 |
<표 3> 2014~2019년 월별 일조시간 (단위: 시간)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합계 (연일조시간) |
2014 | 168 | 141 | 133 | 166 | 179 | 203 | 90 | 97 | 146 | 195 | 180 | 158 | 1,856 |
2015 | 219 | 167 | 240 | 202 | 180 | 171 | 80 | 94 | 180 | 215 | 130 | 196 | 2,074 |
2016 | 191 | 225 | 192 | 213 | 251 | 232 | 143 | 159 | 191 | 235 | 181 | 194 | 2,407 |
2017 | 168 | 187 | 256 | 213 | 238 | 224 | 101 | 218 | 191 | 250 | 188 | 184 | 2,418 |
2018 | 184 | 164 | 215 | 213 | 304 | 185 | 173 | 151 | 214 | 240 | 194 | 196 | 2,433 |
2019 | 193 | 180 | 271 | 216 | 290 | 258 | 176 | 207 | 262 | 240 | 109 | 178 | 2,580 |
문 30. 다음 <표 4>는 ‘갑’지역의 2020년 월별 기상 관측값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량을 나타낸 자료의 일부이다. 위 <표>와 아래 <표 4>를 근거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4> 2020년 기상 관측값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량 (단위: °C, mm, 시간) |
![]() |
<보 기> |
ㄱ. 8월 평균기온은 2020년이 가장 높다.
ㄴ. 2020년 7월 강수량은 2014~2019년 동안의 7월 평균강수량보다 많다. ㄷ. 연강수량은 2020년이 2019년보다 많다. ㄹ. 여름(6~8월)의 일조시간은 2020년이 2019년보다 적으나 2018년보다는 많다. |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문 31. 다음 <그림>은 2014~2019년 중 특정 연도의 ‘갑’지역 월별 일평균 일조시간과 누적 강수량에 대한 자료의 일부이다. 위 <표>와 아래 <그림>을 근거로 A, B에 해당하는 값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그림> 월별 일평균 일조시간과 누적 강수량 |
![]() |
※ 1) 일평균 일조시간은 해당 월 일조시간을 해당 월 날짜 수로 나눈 값임.
2) 누적 강수량은 해당 연도 1월부터 해당 월까지의 강수량을 누적한 값임. |
A | B | |
① | 7.5 | 763 |
② | 7.5 | 779 |
③ | 7.5 | 794 |
④ | 7.7 | 763 |
⑤ | 7.7 | 779 |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30번 문제 해설
ㄱ. 8월 평균기온은 2020년이 가장 높다.
<표 1> 2014~2019년 월별 평균기온 (단위: °C)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2014 | -4.5 | 1.4 | 4.3 | 9.5 | 17.2 | 23.4 | 25.8 | 26.5 | 21.8 | 14.5 | 6.5 | -1.3 |
2015 | -7.2 | 1.2 | 3.6 | 10.7 | 17.9 | 22.0 | 24.6 | 25.8 | 21.8 | 14.2 | 10.7 | -0.9 |
2016 | -2.8 | -2.0 | 5.1 | 12.3 | 19.7 | 24.1 | 25.4 | 27.1 | 21.0 | 15.3 | 5.5 | -4.1 |
2017 | -3.4 | -1.2 | 5.1 | 10.0 | 18.2 | 24.4 | 25.5 | 27.7 | 21.8 | 15.8 | 6.2 | -0.2 |
2018 | -0.7 | 1.9 | 7.9 | 14.0 | 18.9 | 23.1 | 26.1 | 25.2 | 22.1 | 15.6 | 9.0 | -2.9 |
2019 | -0.9 | 1.0 | 6.3 | 13.3 | 18.9 | 23.6 | 25.8 | 26.3 | 22.4 | 15.5 | 8.9 | 1.6 |
2020 | 28 |
<표 4> 2020년 기상 관측값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량 (단위: °C, mm, 시간) |
![]() |
2020년 8월의 평균기온은 전년 동월 대비 1.7도 높기 때문에 28도가 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2020년 7월 강수량은 2014~2019년 동안의 7월 평균강수량보다 많다.
<표 2> 2014~2019년 월별 강수량 (단위: mm)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합계 (연강수량) |
2014 | 6 | 55 | 83 | 63 | 124 | 128 | 239 | 599 | 672 | 26 | 11 | 16 | 2,022 |
2015 | 29 | 29 | 15 | 110 | 53 | 405 | 1,131 | 167 | 26 | 32 | 56 | 7 | 2,060 |
2016 | 9 | 1 | 47 | 157 | 8 | 92 | 449 | 465 | 212 | 99 | 68 | 41 | 1,648 |
2017 | 7 | 74 | 27 | 72 | 132 | 28 | 676 | 149 | 139 | 14 | 47 | 25 | 1,390 |
2018 | 22 | 16 | 7 | 31 | 63 | 98 | 208 | 173 | 88 | 52 | 42 | 18 | 818 |
2019 | 11 | 23 | 10 | 81 | 29 | 99 | 226 | 73 | 26 | 82 | 105 | 29 | 794 |
358 |
<표 4> 2020년 기상 관측값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량 (단위: °C, mm, 시간) |
![]() |
2020년 7월 강수량은 전년 동월 대비 132mm 더 많기 때문에 358mm가 된다.
2017년 7월 강수량은 676mm으로 2020년 7월보다 많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연강수량은 2020년이 2019년보다 많다.
<표 2> 2014~2019년 월별 강수량 (단위: mm)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합계 (연강수량) |
2014 | 6 | 55 | 83 | 63 | 124 | 128 | 239 | 599 | 672 | 26 | 11 | 16 | 2,022 |
2015 | 29 | 29 | 15 | 110 | 53 | 405 | 1,131 | 167 | 26 | 32 | 56 | 7 | 2,060 |
2016 | 9 | 1 | 47 | 157 | 8 | 92 | 449 | 465 | 212 | 99 | 68 | 41 | 1,648 |
2017 | 7 | 74 | 27 | 72 | 132 | 28 | 676 | 149 | 139 | 14 | 47 | 25 | 1,390 |
2018 | 22 | 16 | 7 | 31 | 63 | 98 | 208 | 173 | 88 | 52 | 42 | 18 | 818 |
2019 | 11 | 23 | 10 | 81 | 29 | 99 | 226 | 73 | 26 | 82 | 105 | 29 | 794 |
<표 4> 2020년 기상 관측값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량 (단위: °C, mm, 시간) |
![]() |
2020년 1~9월까지 전년 동월 대비 강수량의 변화량의 합은 -10+25+31-4+132-45+132-6+7=262mm이다
2019년 10~12월까지 강수량이 82+105+29=216mm이기 때문에, 2020년 10~12월에 강수량이 0mm라고 가정해도 2020년 강수량이 2019년보다 262-216=46mm 더 많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여름(6~8월)의 일조시간은 2020년이 2019년보다 적으나 2018년보다는 많다.
<표 3> 2014~2019년 월별 일조시간 (단위: 시간)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합계 (연일조시간) |
2014 | 168 | 141 | 133 | 166 | 179 | 203 | 90 | 97 | 146 | 195 | 180 | 158 | 1,856 |
2015 | 219 | 167 | 240 | 202 | 180 | 171 | 80 | 94 | 180 | 215 | 130 | 196 | 2,074 |
2016 | 191 | 225 | 192 | 213 | 251 | 232 | 143 | 159 | 191 | 235 | 181 | 194 | 2,407 |
2017 | 168 | 187 | 256 | 213 | 238 | 224 | 101 | 218 | 191 | 250 | 188 | 184 | 2,418 |
2018 | 184 | 164 | 215 | 213 | 304 | 185 | 173 | 151 | 214 | 240 | 194 | 196 | 2,433 |
2019 | 193 | 180 | 271 | 216 | 290 | 258 | 176 | 207 | 262 | 240 | 109 | 178 | 2,580 |
<표 4> 2020년 기상 관측값의 전년 동월 대비 변화량 (단위: °C, mm, 시간) |
![]() |
2020년 6~8월 일조시간 전년 동월 대비 변화량은 -28-16+29=-15시간이다.
따라서 일조시간은 2020년이 2019년보다 적다.
2019년 6~8월 일조시간은 2018년보다 (258+176+207)-(185+173+151) = 132시간 더 많다.
따라서 일조시간은 2020년이 2018년보다 많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31번 문제 해설
![]() |
7월 일평균 일조시간은 4.6시간이다. 7월은 31일까지 있으므로 4.6 × 31 ≒ 143시간이다.
이에 해당하는 연도는 2016년이다.
<표 2> 2014~2019년 월별 강수량 (단위: mm)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합계 (연강수량) |
2014 | 6 | 55 | 83 | 63 | 124 | 128 | 239 | 599 | 672 | 26 | 11 | 16 | 2,022 |
2015 | 29 | 29 | 15 | 110 | 53 | 405 | 1,131 | 167 | 26 | 32 | 56 | 7 | 2,060 |
2016 | 9 | 1 | 47 | 157 | 8 | 92 | 449 | 465 | 212 | 99 | 68 | 41 | 1,648 |
2017 | 7 | 74 | 27 | 72 | 132 | 28 | 676 | 149 | 139 | 14 | 47 | 25 | 1,390 |
2018 | 22 | 16 | 7 | 31 | 63 | 98 | 208 | 173 | 88 | 52 | 42 | 18 | 818 |
2019 | 11 | 23 | 10 | 81 | 29 | 99 | 226 | 73 | 26 | 82 | 105 | 29 | 794 |
<표 3> 2014~2019년 월별 일조시간 (단위: 시간) |
|||||||||||||
월 연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합계 (연일조시간) |
2014 | 168 | 141 | 133 | 166 | 179 | 203 | 90 | 97 | 146 | 195 | 180 | 158 | 1,856 |
2015 | 219 | 167 | 240 | 202 | 180 | 171 | 80 | 94 | 180 | 215 | 130 | 196 | 2,074 |
2016 | 191 | 225 | 192 | 213 | 251 | 232 | 143 | 159 | 191 | 235 | 181 | 194 | 2,407 |
2017 | 168 | 187 | 256 | 213 | 238 | 224 | 101 | 218 | 191 | 250 | 188 | 184 | 2,418 |
2018 | 184 | 164 | 215 | 213 | 304 | 185 | 173 | 151 | 214 | 240 | 194 | 196 | 2,433 |
2019 | 193 | 180 | 271 | 216 | 290 | 258 | 176 | 207 | 262 | 240 | 109 | 178 | 2,580 |
A에 해당하는 6월 일평균 일조시간은 232 ÷ 30 ≒ 7.7시간이다.
B에 해당하는 7월까지 누적 강수량은 9+1+47+157+8+92+449 = 763mm이다.
정답은 ④번이다.
2021 5급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40번 해설 – 작물재배 경작지 작물 판매 생산량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9번 해설 – 공공기관 의자 설치 사업 소요비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8번 해설 – 영재학생 역량 과학교사 인문교사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7번 해설 – 보호조치 아동의 발생원인 조치방법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6번 해설 – A기관의 조직 운영 중앙회 지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5번 해설 – 버스 유형별 노선 수 차량대수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4번 해설 – 2020년 6월 음원차트 상위 15위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3번 해설 – 오염물질 배출원별 배출량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2번 해설 – 가구 구성비 가구당 자산 보유액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0번 31번 해설 – 월별 평균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9번 해설 – 보유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8번 해설 – 플랫폼별 게임시장 규모 pc 모바일 태블릿 콘솔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7번 해설 – 12대 주요 산업별 총산업인력 기술인력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6번 해설 – 국내 건축물 내진율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5번 해설 – 4대 곡물 세계 수입 현황 쌀 밀 옥수수 대두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4번 해설 – 장학금 학교 전체 학생 중 장학금 수혜자 비율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3번 해설 – GDP 조세부담률 국세 지방세 납부액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2번 해설 – 우리나라 7개 도시 공원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1번 해설 – 방진용 마스크 수출 수입 자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0번 해설 – 애니메이션 등록 회사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9번 해설 – 금융소득 분위별 가구당 자산규모 소득규모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8번 해설 – 대학 계열 졸업생 월평균소득 취업률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6번 17번 해설 – 행정구역 현황 특별시 광역시 기초지방자치단체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5번 해설 – 학술지 우수논문 심사자 선호순위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4번 해설 – 아세안 지역별 외국투자기업 지출 항목별 단가 보조금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3번 해설 – 돼지열병 폐사율 발병률 사육 두수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2번 해설 – 구획별 토지이용유형 도시 산림 농지 나지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1번 해설 – 제약사 매출액 Pfizer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0번 해설 – 남성 여성 일일 영양소 섭취량 칼로리 kcal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9번 해설 – SNS 팔로워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8번 해설 – 조선왕조실록 호구총수 현종 숙종 호구 자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7번 해설 – 중등교사 임용시험 과목별 접수인원 경쟁률 모집인원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6번 해설 – 세계 전기차 생산량 판매량 자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5번 해설 – 대학 교원 강의 담당학점 전임교원 비전임교원 강사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4번 해설 – 생산량 불량품수 수율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번 해설 – 재정지출 교육 보건 국방 안전 환경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번 해설 – 가구당 보험료 보험급여 암 심장 희귀 뇌혈관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번 해설 – 지역별 고령인구 비율
2021 5급 PSAT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3번 해설 – 농림축산식품부장관 농산물 수매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8번 해설 – 표본 무작위 추출 전투기 엔진 동체 표본의 편향성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4번 해설 – 출산 산부인과 입원 출생일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5번 해설 – 임종과정 연명의료계획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연명의료중단결정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7번 해설 – 주먹도끼 찍개 전곡리 유적 전기 구석기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9번 40번 해설 – 90개 구슬 항아리 붉은색 확률 기댓값 최대화 원리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6번 해설 – 경제적 재화 단순 평등 사회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3번 해설 – 가장 먼저 교체될 시계 벽걸이 시계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9번 20번 해설 – 연령규범 만 나이 연 나이 투표권 피선거권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1번 해설 – 물질 배열 상태 구형 인접입방격자 단순입방격자 6각형격자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6번 해설 – 마이야르 반응 당 아미노산 포도당 아크릴피리딜 멜라노이딘 발암물질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2번 해설 – 산소 이산화탄소 광합성 촛불 쥐 식물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6번 해설 – 예산성과금 예산절감 수입증대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31번 해설 – 재고 창고 입고기록 출고기록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7번 해설 – 푄 현상 수증기 기온감률 이슬점 온도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5번 해설 – 백신 후보 물질 임상실험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0번 해설 – A식물 당액 광합성 산물 종자 생산 B곤충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1번 해설 – 급식 유치원 국립 공립 사립 영양교사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5번 해설 – 공공 미술 공공장소 공공 공간 공공의 이익을 위한 미술 패러다임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36번 해설 – 드론 비행 안전 규칙 비행승인
5급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7번 해설 – 산업별 공장 수 금속기계 목제품 화학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25번 해설 – 재난사고 발생 피해 화재 도로교통사고 인적피해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3번 해설 – 사내 탁구대회 사원 승률 결승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8번 39번 해설 – 야구리그 승률 승차 순위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8번 해설 – 임직원 평균 연봉 사장 과장 주임 사원 수습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1번 해설 – 옥외광고 시장 규모 구성비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3번 해설 – 소년 범죄 성인 범죄 범죄율 발생지수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0번 해설 – 면적직불금 진흥지역 논 밭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6번 해설 – 물류산업 업종별 현황 화물정보업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7번 해설 – 시내버스 노선 수 인가차량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20번 해설 – 응급의료기관 응급실 내원 환자 수 전담 전문의 간호사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6번 해설 – 청년 창업 창업건수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번 해설 – 교원 학생 진로체험 편성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8번 해설 – 필즈상 수상자 최종 박사학위 취득 대학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6번 해설 – 자료구입비 4년제 2년제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1번 32번 해설 – 소비자 불만 신고 건수 편차 제곱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4번 해설 – 일평균 폐기물 발생량 재활용량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2번 해설 – 관측날씨 예보날씨 정확도 임계성공지수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7번 해설 – 유통업체 비정규직 간접고용 현황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6번 해설 – 건설 농림수산식품 소재 산업 기술도입액 기술수출액
5급 PSAT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8번 해설 – 물 대류 현상 용해기체
- [PSAT 기출] 2019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2번 해설 – 본인서명사실확인서 전자본인서명확인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1번 해설 – 도시철도 무인운전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2번 해설 – 명제 진리 다원주의 최소주의자
- [PSAT 기출] 2020 5급 상황판단 나책형 38번 해설 – 조성물 최소성분량 최대성분량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7번 해설 – 조건문 참 거짓 명제 진릿값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3번 해설 – 사무관 배치 환경부 통일부 교육부 논리
- [PSAT 기출] 2022 5급 상황판단 나책형 15번 해설 – 퍼스널컬러 웜톤 쿨톤 봄 여름 가을 겨울
- [PSAT 기출] 2022 5급 상황판단 나책형 11번 해설 – 350쪽 책 출근 퇴근 시외버스
- [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철학자 참 거짓 문장 무신론자 불가지론자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0번 해설 – 야스퍼스 전범자 책임
- [PSAT 기출] 2019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6번 해설 – 신도시 어린이집 복지회관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5번 해설 – 미국 사학자 철도 건설
- [PSAT 기출] 2020 5급 상황판단 나책형 21번 해설 – 공무원 신분 임용 파산선고 금고 선고유예
- [PSAT 기출] 2020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8번 해설 – 번역자 S 이론 A 단어 의미
- [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3번 해설 – 물질 B 식물 단백질 P 단백질 Q 복합체 M
- [PSAT 기출] 2023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8번 해설 – 甲 사무관 경로 최적경로
- [PSAT 기출] 2020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번 해설 – 조선 종묘 종묘제례악 일무 육일무 문무 무무
- [PSAT 기출] 2023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0번 해설 – 주사위 소수(素數) 자연수 확률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2번 해설 – 조선 농지 조세 답험손실법 답험 과전법 공법 1등전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번 민경채 11번 해설 (안전체험관 생활안전)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21번 해설 – 멸종위기종 분수 대소 비교 팁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0번 (공공기관 신규채용 합격자)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5번 – 학교급별 여성 교장 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자료해석 인책형 5번 해설 – 국방연구소 지식재산권 상표권 실용실안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5번 민경채 25번 (광고사업체 취급액)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19번 해설 – 이미지 실체 국가브랜드 순위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11번 해설 – 드론 산업 현황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1번 – 해양사고 심판 전년 이월 심판대상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4번 – 위원회 심의안건 심의결과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8번 (마라톤 대회 구간별 기록)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9번 민경채 19번 (지역 화물 이동)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번 민경채 12번 (아프리카연합 임무단)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1번 (외국인 소유 토지면적 분수 대소 비교)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13번 해설 – 식물성 동물성 단백질 섭쉬량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0번 (경제 전망 보고서 실업률 경제 성장률 소비자물가)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8번 (7개 지역 재해 피해 피해액)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9번 – 빈집 빈집비율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2번 (달걀 산란일자 표시제 계도기간)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19번 (국민은행 총자산 당기순이익 그래프)
공무원 PSAT 기출
- [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언어논리 인책형 3번 해설 – 윤리적 자원 먹는 행위 관계망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상황판단 가책형 7번 해설 – 무역의존도 수출액 수입액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14번 – 신앙결사 지눌 요세 돈오점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1번 (펜션 워크숍 비용 교통비 숙박요금)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9번 민경채 나책형 19번 (괘종시계 정각)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장애인 스포츠강좌)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상황판단 A책형 1번 해설 (민법 위법행위 손해배상책임)
- [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언어논리 인책형 14번 해설 – 공직 자세 교육과정 명제 논리 퀴즈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11번 (소관 법규 개정안 보고회)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20번 (연역논증 귀납논증 타당한 논증 보편적 통계적 일반화 삼단논법 유비추론 논리 문제)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상황판단 나책형 5번 – 연구실 연구원 연구개발 공공정책 책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5번 민경채 나책형 15번 (소조직)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21번 (종묘 정전 영녕전 신주)
- [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상황판단 인책형 1번 해설 – 천문역법 윤초 그레고리력 윤년 월력요항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0번 해설 – 도시발전계획 문화특화지역 경제특화지역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21번 (독일 가톨릭 영리활동)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22번 해설 – 법 불공정 준수 암묵적 합의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언어논리 가책형 1번 해설 (고려 거란 서희 강동6주)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7번 (근로시간 생산성 생산량)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언어논리 가책형 8번 – 상대적인 절대적인 가치판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