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21년 국가공무원 5급 자료해석영역 가책형 8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8. 다음 <표>는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에 따른 17세기 후반 현종에서 숙종 사이 5개 조사연도의 호구(戶口) 자료이다. 이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표> 17세기 후반 호구(戶口) 자료 (단위: 호, 명) |
||||
구분 조사연도 |
조선왕조실록 | 호구총수 | ||
호(戶) | 구(口) | 호(戶) | 구(口) | |
현종 10년 | 1,342,274 | 5,164,524 | 1,313,652 | 5,018,744 |
현종 13년 | 1,176,917 | 4,695,611 | 1,205,866 | 4,720,815 |
숙종 원년 | 1,234,512 | 4,703,505 | 1,250,298 | 4,725,704 |
숙종 19년 | 1,546,474 | 7,188,574 | 1,547,237 | 7,045,115 |
숙종 25년 | 1,293,083 | 5,772,300 | 1,333,330 | 5,774,739 |
<보 기> |
ㄱ. ‘조선왕조실록’, ‘호구총수’에 따른 호(戶)당 구(口)는 모든 조사연도마다 각각 3명 이상이다.
ㄴ. 현종 13년 이후, 직전 조사연도 대비 호(戶) 증가율이 가장 큰 조사연도는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가 같다. ㄷ. 숙종 원년 대비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구(口) 증가율은 ‘호구총수’에 따른 구(口) 증가율보다 작다. ㄹ.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가 가장 큰 조사연도는 구(口)의 차이도 가장 크다. |
① ㄱ, ㄴ
② ㄱ, ㄹ
③ ㄴ, ㄷ
④ ㄱ, ㄷ, ㄹ
⑤ ㄴ, ㄷ, ㄹ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조선왕조실록’, ‘호구총수’에 따른 호(戶)당 구(口)는 모든 조사연도마다 각각 3명 이상이다.
<표> 17세기 후반 호구(戶口) 자료 (단위: 호, 명) |
||||
구분 조사연도 |
조선왕조실록 | 호구총수 | ||
호(戶) | 구(口) | 호(戶) | 구(口) | |
현종 10년 | 1,342,274 | 5,164,524 | 1,313,652 | 5,018,744 |
현종 13년 | 1,176,917 | 4,695,611 | 1,205,866 | 4,720,815 |
숙종 원년 | 1,234,512 | 4,703,505 | 1,250,298 | 4,725,704 |
숙종 19년 | 1,546,474 | 7,188,574 | 1,547,237 | 7,045,115 |
숙종 25년 | 1,293,083 | 5,772,300 | 1,333,330 | 5,774,739 |
현종 10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5,164,524}}{\text{1,342,274}}\) ≒ 3.85
현종 13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4,695,611}}{\text{1,176,917}}\) ≒ 3.99
숙종 원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4,703,505}}{\text{1,234,512}}\) ≒ 3.81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7,188,574}}{\text{1,546,474}}\) ≒ 4.65
숙종 25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5,772,300}}{\text{1,293,083}}\) ≒ 4.46
현종 10년 ‘호구총수’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5,018,744}}{\text{1,313,652}}\) ≒ 3.82
현종 13년 ‘호구총수’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4,720,815}}{\text{1,205,866}}\) ≒ 3.91
숙종 원년 ‘호구총수’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4,725,704}}{\text{1,250,298}}\) ≒ 3.78
숙종 19년 ‘호구총수’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7,045,115}}{\text{1,547,237}}\) ≒ 4.55
숙종 25년 ‘호구총수’에 따른 호(戶)당 구(口): \(\dfrac{\text{5,774,739}}{\text{1,333,330}}\) ≒ 4.33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 자릿수가 많기 때문에 앞 3자리까지만 어림 계산해도 답을 얻을 수 있다.
ㄴ. 현종 13년 이후, 직전 조사연도 대비 호(戶) 증가율이 가장 큰 조사연도는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가 같다.
<표> 17세기 후반 호구(戶口) 자료 (단위: 호, 명) |
||||
구분 조사연도 |
조선왕조실록 | 호구총수 | ||
호(戶) | 구(口) | 호(戶) | 구(口) | |
현종 10년 | 1,342,274 | 5,164,524 | 1,313,652 | 5,018,744 |
현종 13년 | 1,176,917 | 4,695,611 | 1,205,866 | 4,720,815 |
숙종 원년 | 1,234,512 | 4,703,505 | 1,250,298 | 4,725,704 |
숙종 19년 | 1,546,474 | 7,188,574 | 1,547,237 | 7,045,115 |
숙종 25년 | 1,293,083 | 5,772,300 | 1,333,330 | 5,774,739 |
숙종 원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호 증가율: \(\dfrac{\text{1,234,512-1,176,917}}{\text{1,176,917}}\) ≒ 4.89%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호 증가율: \(\dfrac{\text{1,546,474-1,234,512}}{\text{1,234,512}}\) ≒ 25.27%
숙종 원년 ‘호구총수’에 따른 호 증가율: \(\dfrac{\text{ 1,250,298-1,205,866}}{\text{1,205,866}}\) ≒ 3.68%
숙종 19년 ‘호구총수’에 따른 호 증가율: \(\dfrac{\text{1,547,237-1,250,298}}{\text{1,250,298}}\) ≒ 23.75%
현종 13년과 숙종 25년의 경우 전년 대비 감소했다.
현종 13년 이후, 직전 조사연도 대비 호(戶) 증가율이 가장 큰 조사연도는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모두 숙종 19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숙종 원년 대비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구(口) 증가율은 ‘호구총수’에 따른 구(口) 증가율보다 작다.
<표> 17세기 후반 호구(戶口) 자료 (단위: 호, 명) |
||||
구분 조사연도 |
조선왕조실록 | 호구총수 | ||
호(戶) | 구(口) | 호(戶) | 구(口) | |
현종 10년 | 1,342,274 | 5,164,524 | 1,313,652 | 5,018,744 |
현종 13년 | 1,176,917 | 4,695,611 | 1,205,866 | 4,720,815 |
숙종 원년 | 1,234,512 | 4,703,505 | 1,250,298 | 4,725,704 |
숙종 19년 | 1,546,474 | 7,188,574 | 1,547,237 | 7,045,115 |
숙종 25년 | 1,293,083 | 5,772,300 | 1,333,330 | 5,774,739 |
숙종 원년 대비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구(口) 증가율: \(\dfrac{\text{7,188,574-4,703,505}}{\text{4,703,505}}\) ≒ 52.8%
숙종 원년 대비 숙종 19년 ‘호구총수’에 따른 구(口) 증가율: \(\dfrac{\text{7,045,115-4,725,704}}{\text{4,725,704}}\) ≒ 49.1%
숙종 원년 대비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에 따른 구(口) 증가율은 ‘호구총수’에 따른 구(口) 증가율보다 크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ㄹ.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가 가장 큰 조사연도는 구(口)의 차이도 가장 크다.
<표> 17세기 후반 호구(戶口) 자료 (단위: 호, 명) |
||||
구분 조사연도 |
조선왕조실록 | 호구총수 | ||
호(戶) | 구(口) | 호(戶) | 구(口) | |
현종 10년 | 1,342,274 | 5,164,524 | 1,313,652 | 5,018,744 |
현종 13년 | 1,176,917 | 4,695,611 | 1,205,866 | 4,720,815 |
숙종 원년 | 1,234,512 | 4,703,505 | 1,250,298 | 4,725,704 |
숙종 19년 | 1,546,474 | 7,188,574 | 1,547,237 | 7,045,115 |
숙종 25년 | 1,293,083 | 5,772,300 | 1,333,330 | 5,774,739 |
현종 10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 28,622호
현종 13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 28,949호
숙종 원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 15,786호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 763호
숙종 25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 40,247호
현종 10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구(口)의 차이: 145,780명
현종 13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구(口)의 차이: 25,204명
숙종 원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구(口)의 차이: 22,199명
숙종 19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구(口)의 차이: 143,459명
숙종 25년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구(口)의 차이: 2,439명
‘조선왕조실록’과 ‘호구총수’ 간 호(戶)의 차이가 가장 큰 조사연도는 현종 13년이고, 구(口)의 차이가 가장 큰 조사연도는 현종 10년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21 5급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40번 해설 – 작물재배 경작지 작물 판매 생산량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9번 해설 – 공공기관 의자 설치 사업 소요비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8번 해설 – 영재학생 역량 과학교사 인문교사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7번 해설 – 보호조치 아동의 발생원인 조치방법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6번 해설 – A기관의 조직 운영 중앙회 지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5번 해설 – 버스 유형별 노선 수 차량대수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4번 해설 – 2020년 6월 음원차트 상위 15위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3번 해설 – 오염물질 배출원별 배출량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2번 해설 – 가구 구성비 가구당 자산 보유액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0번 31번 해설 – 월별 평균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9번 해설 – 보유세 재산세 종합부동산세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8번 해설 – 플랫폼별 게임시장 규모 pc 모바일 태블릿 콘솔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7번 해설 – 12대 주요 산업별 총산업인력 기술인력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6번 해설 – 국내 건축물 내진율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5번 해설 – 4대 곡물 세계 수입 현황 쌀 밀 옥수수 대두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4번 해설 – 장학금 학교 전체 학생 중 장학금 수혜자 비율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3번 해설 – GDP 조세부담률 국세 지방세 납부액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2번 해설 – 우리나라 7개 도시 공원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1번 해설 – 방진용 마스크 수출 수입 자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0번 해설 – 애니메이션 등록 회사 현황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9번 해설 – 금융소득 분위별 가구당 자산규모 소득규모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8번 해설 – 대학 계열 졸업생 월평균소득 취업률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6번 17번 해설 – 행정구역 현황 특별시 광역시 기초지방자치단체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5번 해설 – 학술지 우수논문 심사자 선호순위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4번 해설 – 아세안 지역별 외국투자기업 지출 항목별 단가 보조금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3번 해설 – 돼지열병 폐사율 발병률 사육 두수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2번 해설 – 구획별 토지이용유형 도시 산림 농지 나지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1번 해설 – 제약사 매출액 Pfizer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0번 해설 – 남성 여성 일일 영양소 섭취량 칼로리 kcal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9번 해설 – SNS 팔로워 성별 연령대 거주지역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8번 해설 – 조선왕조실록 호구총수 현종 숙종 호구 자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7번 해설 – 중등교사 임용시험 과목별 접수인원 경쟁률 모집인원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6번 해설 – 세계 전기차 생산량 판매량 자료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5번 해설 – 대학 교원 강의 담당학점 전임교원 비전임교원 강사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4번 해설 – 생산량 불량품수 수율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번 해설 – 재정지출 교육 보건 국방 안전 환경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번 해설 – 가구당 보험료 보험급여 암 심장 희귀 뇌혈관
- [PSAT 기출] 2021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번 해설 – 지역별 고령인구 비율
2021 5급 PSAT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3번 해설 – 해변 쓰레기 X Y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35번 해설 – 자연수 숫자 카드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8번 해설 – 동물로봇공학 동물로봇 미국바퀴벌레 속력 물고기 로봇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6번 해설 – 관리자 서류심사 부처 면접 관리자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6번 해설 – 경제적 재화 단순 평등 사회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8번 해설 – 개구리 거북 배아 성염색체 아로마테이즈 호르몬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9번 해설 – 시계 건전지 시각 시간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7번 해설 – 기초 감염재생산지수 질병 예방조치 치사율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2번 해설 – 산소 이산화탄소 광합성 촛불 쥐 식물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9번 해설 – 조직 구성원 침묵 묵종적 침묵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36번 해설 – 드론 비행 안전 규칙 비행승인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9번 해설 – 근대화 산업화 정규직 노동자 선임자 특권 핵심부 반주변부 주변부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38번 해설 – 수질 개선 설비 설치 정수기 해수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5번 해설 – 임종과정 연명의료계획서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연명의료중단결정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2번 해설 – 보행신호 점등 횟수 보행자 자동인식시스템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7번 해설 – 삼각형 세 변 필연적 참인 진술 진리 논증 NT CT CF NF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3번 해설 – 가장 먼저 교체될 시계 벽걸이 시계
- [PSAT 기출] 2021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6번 해설 – 인과관계 상관관계 확률 증가 원리 공통 원인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7번 해설 – 맥동변광성 변광 주기 세페이드 변광성 절대등급 겉보기등급 별의 밝기 계산
- [PSAT 기출] 2021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1번 해설 – 급식 유치원 국립 공립 사립 영양교사
5급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19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1번 해설 – 보고서 대기오염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6번 해설 – 초등학생 중학생 6개 식품 섭취율
- [PSAT 기출] 2019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9번 20번 해설 – 고용형태 소득분위 변화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5번 해설 – 선행시간 태풍예보 거리오차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1번 해설 – 옥외광고 시장 규모 구성비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6번 해설 – 대체육 R&D 지원 금액 배양육 식물성고기 식용곤충
- [PSAT 기출] 2019 5급 자료해석 가책형 25번 해설 – 수면제 불면증 숙면시간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30번 해설 – 21대 국회의원 당선자 비례대표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8번 해설 – A해역 해수면온도 E현상 L현상 α지수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4번 해설 – 갑 마을 가구수 1인 가구수
- [PSAT 기출] 2019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8번 해설 – 신설법인 현황
- [PSAT 기출] 2019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번 해설 – 경기도 문화유산 보유건수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3번 해설 – 소년 범죄 성인 범죄 범죄율 발생지수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번 해설 – 우편 서비스 우체국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40번 해설 – 프랜차이즈 기업 가맹점 신규개점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23번 해설 – 일 가정 양립제도 보고서
- [PSAT 기출] 2020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3번 14번 해설 – 국립대학 세계대학평가
- [PSAT 기출] 2023 5급 자료해석 가책형 13번 해설 – 항공기 부품 산업 무역수지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30번 해설 – 농림어업 생산액 GDP
- [PSAT 기출] 2022 5급 자료해석 나책형 17번 해설 –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판매량 상위 10개 업체
5급 PSAT
- [PSAT 기출] 2019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9번 20번 해설 – 도지 도지권 도조 소작농
- [PSAT 기출] 2020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20번 해설 – 강한 인공지능 약한 인공지능 인공일반지능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7번 해설 – 지구 공전 가설 지구중심설 프톨레마이오스
- [PSAT 기출] 2020 5급 상황판단 나책형 7번 해설 – 출산장려 경제적 지원 수당 월 수당액 지급
- [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6번 해설 – 한국어 특수조사 은/는 주어 주격조사 대조
- [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3번 해설 – 물질 B 식물 단백질 P 단백질 Q 복합체 M
- [PSAT 기출] 2019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2번 해설 – 회의 참여 가능 시간 장소
- [PSAT 기출] 2023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6번 해설 – 크리스마스 선물 매장 방문
- [PSAT 기출] 2022 5급 상황판단 나책형 1번 해설 – 구조행위 범죄행위 의사자 의상자
- [PSAT 기출] 2023 5급 상황판단 가책형 9번 해설 – 결승점 A B
- [PSAT 기출] 2020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0번 해설 – 외적 타당성 내적 타당성 역사 요인 선택 요인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9번 40번 해설 – 외계인 지구인 이론 의사소통
- [PSAT 기출] 2022 5급 상황판단 나책형 15번 해설 – 퍼스널컬러 웜톤 쿨톤 봄 여름 가을 겨울
- [PSAT 기출] 2019 5급 상황판단 가책형 18번 해설 – 최대 이윤 채굴 원석 목걸이 반지
- [PSAT 기출] 2020 5급 상황판단 나책형 8번 해설 – 창렬 인터넷 면세점 가방 영양제 목베개
- [PSAT 기출] 2019 5급 상황판단 가책형 8번 해설 – 짬뽕 재료 돼지고기
- [PSAT 기출] 2020 5급 상황판단 나책형 10번 해설 – 주민 투표 사업안 A안 B안 C안
- [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번 해설 – 조선 군역제 군역 균역법
- [PSAT 기출] 2019 5급 상황판단 가책형 24번 해설 – 가뭄 예경보 농업 용수
- [PSAT 기출] 2020 5급 상황판단 나책형 25번 해설 – 소송구조 소송비용 재판비용 납입 유예 면제
PSAT 자료해석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1번 (직무평가 종합점수)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자료해석 나책형 10번 – 발전량 비중 신재생 에너지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3번 민경채 13번 (국가채무 적자성채무)
- [PSAT] 2020 국가직 7급 예시문제 자료해석 A책형 1번 해설 (중요도 만족도 산술평균 편차 합)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8번 – 사료 특허 출원건수 식물기원 동물기원 미생물효소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4번 (의약품 특허출원 다국적기업 다이어트제)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2번 민경채 22번 (공적개발원조액 국민총소득)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10번 해설 – 반달가슴곰
- [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자료해석 인책형 17번 해설 – 산불피해 복구 국비 지방비 지원금액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22번 23번 (설계적설하중)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자료해석 나책형 10번 민경채 20번 (자가격리자 감염병)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15번 해설 – 부동산 자동차 지방청 압류건수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7번 해설 – 어선 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19번 (항복강도 인장강도 샘플 합격률)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3번 (식품사업부 외식사업부 전입 전출)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자료해석 력책형 2번 (약물 완치 환자수)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자료해석 3번(가스사고 가고건수)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자료해석 가책형 2번 해설 – 공종 공사기간 공사비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자료해석 가책형 11번 – 해양사고 심판 전년 이월 심판대상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자료해석 나책형 4번 – 관세청 민원 상담 관세사 세관
공무원 PSAT 기출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15번 (인사교류 임용년월)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16번 (직육면체 건물 페인트)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민경채 23번 문제 (10만 원 10억 원)
- [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언어논리 인책형 2번 해설 – 윤관 별무관 척준경 가한촌 공험진 길주
- [PSAT 기출] 2023 국가직 7급 언어논리 인책형 23번 해설 – 적극행정 국민신청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25번 (행정구역분류코드)
- [PSAT 기출] 2021 민경채 언어논리 나책형 5번 – 서구사회 기독교적 전통 적그리스도 이교도 나병 흑사병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언어논리 가책형 16번 (국제표준도서번호 ISBN)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8번 민경채 나책형 18번 (쌀 무게 상품)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21번 (UCC 공모전 조회수 심사위원)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6번 (내비게이션 대안경로 속력)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언어논리 가책형 22번 (입자이론 파동이론)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10번 민경채 나책형 20번 (주무관 일 업무)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상황판단 3번 (금전지급소송 지방법원 시군법원)
- [PSAT] 국가직 7급 모의평가 언어논리 18번 (마케팅 광고 할인 구매율 만족도)
- [PSAT 기출] 2020 민경채 상황판단 가책형 21번 해설 – 키 어린이 뒤통수
- [PSAT 기출] 2022 국가직 7급 상황판단 가책형 24번 (갑 을 복도 속력)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상황판단 재책형 4번 (감사 감사인)
- [PSAT 기출] 2021 국가직 7급 상황판단 나책형 6번 민경채 나책형 16번 (업무역량 통합력)
- [PSAT 기출] 2011 5급 민경채 언어논리 민책형 11번 (대동법, 조세금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