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0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기술 과학 물질 구현 나노기술

개요

다음은 2020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3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3. 다음 갑~병의 견해에 대한 분석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갑: 현대 사회에서 ‘기술’이라는 용어는 낯설지 않다. 이 용어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을까?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우리가 기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모두 물질로 구현된다는 것이다. 기술이 물질로 구현된다는 말은 그것이 물질을 소재 삼아 무언가 물질적인 결과물을 산출한다는 의미이다. 나노기술이나 유전자조합기술도 당연히 이 조건을 만족하는 기술이다.

을: 기술은 반드시 물질로 구현되는 것이어야 한다는 말은 맞지만 그렇게 구현되는 것들을 모두 기술이라고 부를 수는 없다. 가령, 본능적으로 개미집을 만드는 개미의 재주 같은 것은 기술이 아니다. 기술로 인정되려면 그 안에 지성이 개입해 있어야 한다. 나노기술이나 유전자조합기술을 기술이라 부를 수 있는 이유는 둘 다 고도의 지성의 산물인 현대과학이 그 안에 깊게 개입해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기술에 대한 우리의 주된 관심사가 현대 사회에 끼치는 기술의 막강한 영향력에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기술’이란 용어의 적용을 근대 과학혁명 이후에 등장한 과학이 개입한 것들로 한정하는 것이 합당하다.

병: 근대 과학혁명 이후의 과학이 개입한 것들이 기술이라는 점을 부인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런 과학이 개입한 것들만 기술로 간주하는 정의는 너무 협소하다. 지성이 개입해야 기술인 것은 맞지만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과학의 개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기술은 과학과 별개로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발전해 나가기도 한다. 이를테면 근대 과학혁명 이전에 인간이 곡식을 재배하고 가축을 기르기 위해 고안한 여러 가지 방법들도 기술이라고 불러야 마땅하다. 따라서 우리는 ‘기술’을 더 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 정의할 필요가 있다.

<보 기>
ㄱ. ‘기술’을 적용하는 범위는 셋 중 갑이 가장 넓고 을이 가장 좁다.

ㄴ. 을은 ‘모든 기술에는 과학이 개입해 있다.’라는 주장에 동의하지만, 병은 그렇지 않다.

ㄷ. 병은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해온 옷감 제작법을 기술로 인정하지만, 갑은 그렇지 않다.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기술’을 적용하는 범위는 셋 중 갑이 가장 넓고 을이 가장 좁다.

갑은 기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모두 물질로 구현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을은 기술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그 기술에 지성이 개입해야 하고, 고도의 지성의 산물인 근대 과학혁명 이후에 등장한 과학이 개입한 것들로 ‘기술’이란 용어의 적용을 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술’을 적용하는 범위는 갑이 을보다 넓다.

그리고 병은 을의 주장을 인정하면서도, 과학과 별개로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발전해 나간 것 역시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기술’을 적용하는 범위는 병이 을보다 넓다.

‘기술’을 적용하는 범위는 셋 중 을이 가장 좁지만, 갑과 병 중에는 대소를 비교하기 어렵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ㄴ. 을은 ‘모든 기술에는 과학이 개입해 있다.’라는 주장에 동의하지만, 병은 그렇지 않다.

을은 ‘기술’이란 용어의 적용을 근대 과학혁명 이후에 등장한 과학이 개입한 것들로 한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모든 기술에는 과학이 개입해 있다.’라는 주장에 동의한다.

하지만 병은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과학의 개입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모든 기술에는 과학이 개입해 있다.’라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병은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해온 옷감 제작법을 기술로 인정하지만, 갑은 그렇지 않다.

병은 기술은 과학과 별개로 수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발전해 나간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시행착오를 거쳐 발전해온 옷감 제작법을 기술로 인정한다.

갑은 기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은 모두 물질로 구현되며, 기술이 물질로 구현된다는 말은 그것이 물질을 소재 삼아 무언가 물질적인 결과물을 산출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므로 옷감이라는 물질적인 결과물을 산출하는 옷감 제작법을 기술로 인정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②번이다.

2020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