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5 5급 언어논리 인책형 35번 해설 – 2치 논리 퍼지논리 진릿값 추론 문제

개요

다음은 2015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인책형 35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35. 다음 글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참’과 ‘거짓’만을 다루는 전통적인 2치(二値) 논리와 달리, 퍼지논리는 ‘부분적 참’을 말하는 명제에도 진릿값을 할당한다. 완전히 참인 명제에 1의 진릿값을 할당하고, 완전히 거짓인 명제에 0의 진릿값을 할당하자. 그런데 갑돌이의 머리숱이 다른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엔 “갑돌이는 대머리이다.”는 100% 참도, 100% 거짓도 아니다. 즉 우리는 이 명제에 1, 0의 진릿값을 할당할 수 없다. 퍼지논리는 이러한 명제들이 완전한 거짓 또는 완전한 참에 얼마나 가까운가의 정도에 따라 0과 1 사이의 실수값을 진릿값으로 부여한다.

그렇다면 퍼지논리에 대해 당장 제기되는 의문은 진리의 정도, 즉 ‘얼마나 참인가’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이다. ‘대머리임’, ‘키가 큼’과 같은 모호한 자연언어 표현을 포함한 명제의 진리 정도를 해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원소성’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다. 원소성은 한 원소가 집합에 속하거나 그렇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갑돌이가 흡연자일 경우, 갑돌이는 흡연자 집합의 원소가 된다. 원소성의 ‘정도’란 특정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가령 “갑돌이는 대머리이다.”가 0.7의 정도로 참이라는 것은, 갑돌이가 대머리 집합에 100%는 아니지만 70%의 정도로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퍼지논리에서의 원소성 정도는 확률 개념과 다르다. 갈증을 느끼는 당신이 두 병의 음료수를 받았다고 하자. 병 A에는 순수한 물의 집합에 속하는 원소성 정도가 0.9인 음료가 담겨 있고, 병 B에는 순수한 물일 확률이 0.9인 음료가 담겨 있다. 당신은 어느 쪽 음료를 마시겠는가? 병 A의 경우 0.9라는 수치는 순수한 물, 즉 100%의 물에 ‘유사한’ 정도를 나타낸다. 즉, 순수한 물에 90% 정도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병 B의 경우 0.9라는 수치는 여러 병들 중에서 순수한 물을 담은 병을 뽑을 개연성이 90%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흥미로운 것은 2치 논리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인 무모순률의 법칙, 즉 명제는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일 수 없다는 법칙이 퍼지논리에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다.

<보 기>
ㄱ. 전통적인 2치 논리와 퍼지논리 모두에서 참 또는 거짓의 진릿값이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ㄴ. 만약 갑돌이가 대머리 집합에 속하는 원소성의 정도가 0.7이라면, “갑돌이는 대머리이다.”는 전통적인 2치 논리의 진릿값을 가지지 않는다.

ㄷ.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할 확률과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하는 원소성의 정도가 일치하는 경우, 퍼지논리는 무모순률의 법칙을 위반하지 않는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전통적인 2치 논리와 퍼지논리 모두에서 참 또는 거짓의 진릿값이 일치하는 경우가 있다.

퍼지논리는 이러한 명제들이 완전한 거짓 또는 완전한 참에 얼마나 가까운가의 정도에 따라 0과 1 사이의 실수값을 진릿값으로 부여한다.

퍼지논리에서 진릿값이 0 또는 1인 경우 전통적인 2치 논리의 참 또는 거짓의 진릿값과 일치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만약 갑돌이가 대머리 집합에 속하는 원소성의 정도가 0.7이라면, “갑돌이는 대머리이다.”는 전통적인 2치 논리의 진릿값을 가지지 않는다.

원소성의 ‘정도’란 특정 원소가 집합에 속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가령 “갑돌이는 대머리이다.”가 0.7의 정도로 참이라는 것은, 갑돌이가 대머리 집합에 100%는 아니지만 70%의 정도로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2치 논리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인 무모순률의 법칙, 즉 명제는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일 수 없다는 법칙이 퍼지논리에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다.

만약 갑돌이가 대머리 집합에 속하는 원소성의 정도가 0.7이라면, 갑돌이가 대머리 집합에 70%의 정도로 속한다는 것, 또는 30%의 정도로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원소성의 정도가 0.7이라는 것은 전통적인 2치 논리의 진릿값으로 참과 거짓에 모두 해당한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전통적인 2치 논리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인 무모순률의 법칙에 위반되고, 전통적인 2치 논리의 진릿값을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할 확률과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하는 원소성의 정도가 일치하는 경우, 퍼지논리는 무모순률의 법칙을 위반하지 않는다.

퍼지논리에서의 원소성 정도는 확률 개념과 다르다. 갈증을 느끼는 당신이 두 병의 음료수를 받았다고 하자. 병 A에는 순수한 물의 집합에 속하는 원소성 정도가 0.9인 음료가 담겨 있고, 병 B에는 순수한 물일 확률이 0.9인 음료가 담겨 있다. 당신은 어느 쪽 음료를 마시겠는가? 병 A의 경우 0.9라는 수치는 순수한 물, 즉 100%의 물에 ‘유사한’ 정도를 나타낸다. 즉, 순수한 물에 90% 정도 유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병 B의 경우 0.9라는 수치는 여러 병들 중에서 순수한 물을 담은 병을 뽑을 개연성이 90%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흥미로운 것은 2치 논리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인 무모순률의 법칙, 즉 명제는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일 수 없다는 법칙이 퍼지논리에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다.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할 확률과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하는 원소성의 정도가 0.9로 일치한다고 가정하자.

원소성의 정도가 0.9라는 것은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하는 정도가 90%이고, 속하지 않는 정도가 10%인 것을 의미한다. 원소 a가 집합 S에 속하는 것을 참이라고 한다면, 원소성의 정도 0.9는 참이면서 동시에 거짓이 된다.

이는 퍼지논리가 무모순률의 법칙을 위반한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③번이다.

2015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