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24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38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38. 다음 글의 ㉠에 대한 평가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원자 내의 전자가 빛의 에너지를 받아 특정 에너지 상태에 있다가 다른 에너지 상태로 바뀌는 것을 전자의 전이라고 하며, 전이에 걸리는 시간을 전이시간이라고 한다. 전자의 전이시간을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는 시간상관 단일광자 계수법이다. 물질에 빛을 쬐면 일정 시간 후 빛이 다시 방출되는데, 이 방법에서는 그 시간을 측정하여 해당 물질 속 전자의 전이시간을 구한다. 전이시간은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뿐만 아니라, 물질에 입사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시간상관 단일광자 계수법을 활용할 때 고려할 것이 있다. 물질에 빛이 입사하는 순간과 빛이 다시 방출되는 순간 사이의 시간은 검출기로 측정하는데, 이때 오차로 인한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 이 지연되는 시간을 기기반응함수값이라 한다. 따라서 시간상관 단일광자 계수법으로 측정된 전이시간은 전자의 전이시간과 기기반응함수값의 합과 같다. 기기반응함수값은 물질에서 방출된 빛을 검출하는 검출기의 감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그 값은 검출기의 감도가 민감할수록 작아진다. 한 과학자는 ㉠ 동일한 물질에 입사하는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전자의 전이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가설을 세우고 다음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 험> 과학자는 파장이 서로 다른 광원 A와 B를 준비하였다. 파장은 광원 A가 B보다 더 짧았다. 실험1: 광원 A를 사용하여 물질 X에 빛을 쬔 후, 검출기 I을 통해 시간상관 단일광자 계수법으로 전자의 전이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2: 광원 B를 사용하여 물질 X에 빛을 쬔 후, 검출기 II를 통해 시간상관 단일광자 계수법으로 전자의 전이시간을 측정하였다. |
<보 기> |
ㄱ. 검출기 I의 감도가 II와 동일했고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과 실험 2에서 같았다면, ㉠은 약화된다.
ㄴ. 검출기 I의 감도가 II보다 덜 민감했고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보다 실험 2에서 더 짧았다면, ㉠은 강화된다. ㄷ. 검출기 I의 감도가 II보다 더 민감했고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보다 실험 2에서 더 짧았다면, ㉠은 약화된다. |
① ㄱ
② ㄴ
③ ㄱ, ㄷ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측정된 전이시간 = 전자의 전이시간 + 기기반응함수값
전자의 전이시간 = 측정된 전이시간 – 기기반응함수값
기기반응함수값은 검출기의 감도가 민감할수록 작아진다.
<실 험> 파장은 광원 A가 B보다 더 짧았다. |
한 과학자가 동일한 물질에 입사하는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전자의 전이시간이 더 길어진다는 가설을 세웠으므로, 이 가설이 맞다면 광원 A의 파장이 광원 B의 파장보다 더 짧기 때문에 동일한 물질에 입사하는 전자의 전이시간은 광원 A가 더 길 것이다.
실험 1: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실험 2: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
실험 1 식에서 실험 2 식을 빼면,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 |
이 된다.
가설이 맞다면, 광원 A를 사용하여 물질 X에 빛을 쬈을 때가 광원 B를 사용하여 물질 X에 빛을 쬈을 때보다 전자의 전이시간이 더 길 것이다. 그러므로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은 양수(+)가 된다.
기기반응함수값은 검출기의 감도가 민감할수록 작아지기 때문에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은 각 검출기의 감도에 따라 달라진다.
ㄱ. 검출기 I의 감도가 II와 동일했고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과 실험 2에서 같았다면, ㉠은 약화된다.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 |
검출기 I의 감도가 II와 동일했다면,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은 0이 된다.
측정된 전이시간 역시 실험 1과 실험 2에서 같았다면,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은 0이 된다.
결국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은 양수(+)가 아닌 0이 된다.
그러므로 ㉠은 약화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검출기 I의 감도가 II보다 덜 민감했고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보다 실험 2에서 더 짧았다면, ㉠은 강화된다.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 |
검출기 I의 감도가 II보다 덜 민감했다면,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은 양수(+)가 된다.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보다 실험 2에서 더 짧았다면,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은 양수(+)가 된다.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은 양수(+) – 양수(+)가 되는데, 각 값에 따라 최종값은 양수(+), 0, 또는 음수(-)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은 강화도 약화도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검출기 I의 감도가 II보다 더 민감했고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보다 실험 2에서 더 짧았다면, ㉠은 약화된다.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 |
검출기 I의 감도가 II보다 더 민감했다면,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 – 기기반응함수값(검출기 II)]은 음수(-)가 된다.
측정된 전이시간이 실험 1보다 실험 2에서 더 짧았다면,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A) – 측정된 전이시간(광원 B)]은 양수(+)가 된다.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A) – 전자의 전이시간(광원 B)]은 양수(+) – 음수(-)가 되므로, 결국 양수가 된다.
그러므로 ㉠은 강화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24 5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9번 40번 해설 – 표본 통계 가설 대립가설 귀무가설 유의수준 p-값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8번 해설 – 전자의 전이시간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7번 해설 – 가설 세포 수명 돌연변이 활성산소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6번 해설 – 이론 믿음 욕구 심적 상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5번 해설 – 혈액 공급 시스템 상품화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4번 해설 – 국립병원 내과 외과 산부인과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3번 해설 – 연수 총무과 인사과 재무과 배치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2번 해설 – 박쥐 나방 날개꼬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1번 해설 – 파장 적외선 시스템 검출기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0번 해설 – 인간 대상 연구 IRB 심의 심사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9번 해설 – 플랫폼 노동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8번 해설 – 전전두엽 상위 인지적 기능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7번 해설 – 유기체 세포자살 문맥 수정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6번 해설 – 물 과냉각 하전 부품 결빙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5번 해설 – 합성측정 지수 척도 정치적 활동성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4번 해설 – 국가 발전 퇴보 가중평균값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3번 해설 – 본회의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법제사법위원회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2번 해설 – 조선 매매문기 입안 입지 부동산 거래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1번 해설 – 신라 진골 성골 동륜 진평왕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20번 해설 – 도덕적 책임 통제 조건 인식 조건 AI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8번 해설 – 항성 행성 식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해설 – 신경조절기술 경두개전기자극술 명제논리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6번 해설 – 언어표현 지칭적 의미론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5번 해설 – 문장 문법적 의미 사용 빈도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해설 – 다섯 개 부서 배치 인사 발령 논리퀴즈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사내 부서 바둑 대회 논리퀴즈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해설 – 아르곤 레일리 램지 질소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1번 해설 – 창조 의도 창조된 것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0번 해설 – 사후확신 편향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9번 해설 – 인구밀도 전염병 풍토병 일본 영국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8번 해설 – 직업 수정 문맥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7번 해설 – 소득 불평등 대뇌 회백질 해마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6번 해설 – 마이크로바이옴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5번 해설 – 영아사망률 1인당 국내총생산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4번 해설 – 제도적 가족주의 국민연금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번 해설 – 석방거래 중세 시대 포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번 해설 – 목화 씨앗 문익점 정천익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번 해설 – 지방 수령 사은숙배 하직숙배
관련 문서
- 2024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