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4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A책형 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 다음 글의 주장과 부합하는 것은?
옛날 태학에서는 사람들에게 풍악을 가르쳤기 때문에 명칭을 ‘성균관(成均館)’이라 하였다. 그러나 지금 태학에서는 풍악을 익히지 않으니 이 이름을 쓰는 것은 옳지 않고 ‘국자감’으로 바꾸는 것이 옳다. 국자(國子)란 원래 왕실의 적자(嫡者)와 공경대부의 적자인데, 지금 태학에는 국자만 다니는 것이 아니기에 명칭과 실상이 서로 어긋나지만 국자감이 그래도 본래 의미에 가깝다.
옛날에 사람을 가르치는 법은 원래 두 길이었다. 국자는 태학에서 가르쳤는데 대사악(大司樂)이 주관했고, 서민은 향학에서 가르쳤는데 대사도(大司徒)가 주관하였다. 순 임금이 “기여, 너에게 악(樂)을 맡도록 명하노니 주자(冑子)를 가르치되 곧으면서 온화하게 하라.” 했으니, 이것은 태학에서 국자를 가르친 것이다. 순 임금이 “설이여, 백성들이 서로 친근하지 않는구나. 너를 사도(司徒)로 삼으니, 공경하게 오교(五敎)를 펼쳐라.” 했으니, 이것은 향학에서 서민을 가르친 것이다. <주례>에 대사악이 육덕(六德)으로 국자를 가르쳤는데 이것도 순 임금이 기에게 명하던 그 법이고, 대사도가 향삼물(鄕三物)로 만민을 가르쳤는데 이것도 순 임금이 설에게 명하던 그 법이었다. 오늘날은 국자가 어떤 인물인지, 성균이 어떤 의미인지 알지 못하여, 서민의 자식이 국자로 자칭하고, 광대의 노래를 성균에 해당시키니 어찌 잘못된 것이 아니겠는가? 왕제(王制)는 한(漢)나라의 법이다. 왕제가 시행된 이래로 국자와 서민이 함께 태학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 제도가 2천 년이나 내려왔으니, 옛 제도는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 비록 그렇지만 국자를 가르치던 법을 없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 제도에 종학(宗學)이 있어 종실 자제를 교육했었는데, 지금은 혁파되었다. 태학은 종실 자제를 교육하던 곳인데 까닭 없이 서민에게 양보하고 따로 학교를 세워 종학이라 한 것도 잘못된 일인데 지금은 그것마저 혁파되었으니 개탄할 일이 아닌가? 지금 태학의 명륜당은 종학으로 만들어 종실의 자제 및 공경의 적자가 다니게 하고, 비천당은 백성들이 다니는 학교로 만들어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① 종실 자제 위주의 독립된 교육은 잘못된 일이다.
② 성균관에서 풍악을 가르치던 전통을 회복해야 한다.
③ 향학의 설립을 통해 백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④ 왕제보다는 <주례>의 교육 전통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국자와 서민의 교육 내용을 통합하는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종실 자제 위주의 독립된 교육은 잘못된 일이다.
왕제(王制)는 한(漢)나라의 법이다. 왕제가 시행된 이래로 국자와 서민이 함께 태학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 제도가 2천 년이나 내려왔으니, 옛 제도는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 비록 그렇지만 국자를 가르치던 법을 없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 우리나라 제도에 종학(宗學)이 있어 종실 자제를 교육했었는데, 지금은 혁파되었다. 태학은 종실 자제를 교육하던 곳인데 까닭 없이 서민에게 양보하고 따로 학교를 세워 종학이라 한 것도 잘못된 일인데 지금은 그것마저 혁파되었으니 개탄할 일이 아닌가? 지금 태학의 명륜당은 종학으로 만들어 종실의 자제 및 공경의 적자가 다니게 하고, 비천당은 백성들이 다니는 학교로 만들어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위 글에서 필자는 지금 태학의 명륜당은 종학으로 만들어 종실의 자제 및 공경의 적자가 다니게 하고, 비천당은 백성들이 다니는 학교로 만들어 별도로 운영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종실 자제 위주의 독립된 교육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성균관에서 풍악을 가르치던 전통을 회복해야 한다.
옛날 태학에서는 사람들에게 풍악을 가르쳤기 때문에 명칭을 ‘성균관(成均館)’이라 하였다. 그러나 지금 태학에서는 풍악을 익히지 않으니 이 이름을 쓰는 것은 옳지 않고 ‘국자감’으로 바꾸는 것이 옳다. 국자(國子)란 원래 왕실의 적자(嫡者)와 공경대부의 적자인데, 지금 태학에는 국자만 다니는 것이 아니기에 명칭과 실상이 서로 어긋나지만 국자감이 그래도 본래 의미에 가깝다. |
성균관은 옛날 태학에서 사람들에게 풍악을 가르쳤다는 데에서 명칭이 유래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언급되었을 뿐, 성균관에서 풍악을 가르치던 전통을 회복해야 한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향학의 설립을 통해 백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옛날에 사람을 가르치는 법은 원래 두 길이었다. 국자는 태학에서 가르쳤는데 대사악(大司樂)이 주관했고, 서민은 향학에서 가르쳤는데 대사도(大司徒)가 주관하였다.
지금 태학의 명륜당은 종학으로 만들어 종실의 자제 및 공경의 적자가 다니게 하고, 비천당은 백성들이 다니는 학교로 만들어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향학은 옛날에 서민을 가르치던 곳으로 언급된다.
필자는 위 글에서 종실의 자제 및 공경의 적자와 백성을 각각 명륜당과 비천당에서 구분하여 가르칠 것을 주장하였을 뿐, 향학을 설립해 백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왕제보다는 <주례>의 교육 전통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왕제(王制)는 한(漢)나라의 법이다. 왕제가 시행된 이래로 국자와 서민이 함께 태학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 제도가 2천 년이나 내려왔으니, 옛 제도는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
옛날에 사람을 가르치는 법은 원래 두 길이었다. 국자는 태학에서 가르쳤는데 대사악(大司樂)이 주관했고, 서민은 향학에서 가르쳤는데 대사도(大司徒)가 주관하였다. 순 임금이 “기여, 너에게 악(樂)을 맡도록 명하노니 주자(冑子)를 가르치되 곧으면서 온화하게 하라.” 했으니, 이것은 태학에서 국자를 가르친 것이다. 순 임금이 “설이여, 백성들이 서로 친근하지 않는구나. 너를 사도(司徒)로 삼으니, 공경하게 오교(五敎)를 펼쳐라.” 했으니, 이것은 향학에서 서민을 가르친 것이다. <주례>에 대사악이 육덕(六德)으로 국자를 가르쳤는데 이것도 순 임금이 기에게 명하던 그 법이고, 대사도가 향삼물(鄕三物)로 만민을 가르쳤는데 이것도 순 임금이 설에게 명하던 그 법이었다. 지금 태학의 명륜당은 종학으로 만들어 종실의 자제 및 공경의 적자가 다니게 하고, 비천당은 백성들이 다니는 학교로 만들어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필자는 국자와 서민이 함께 태학에서 가르치는 왕제보다는 <주례>의 교육 전통에 따라 국자와 서민을 분리하여 각각 명륜당과 비천당에서 가르칠 것을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국자와 서민의 교육 내용을 통합하는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지금 태학의 명륜당은 종학으로 만들어 종실의 자제 및 공경의 적자가 다니게 하고, 비천당은 백성들이 다니는 학교로 만들어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통합이 아닌 분리된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④번이다.
2014 5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9번 40번 해설 – 이리나 박을수 김갑수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8번 해설 – 엘베시우스 비테 루소 페스탈로치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7번 해설 – 결렁론 뉴턴 라플라스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6번 해설 – 인간복제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5번 해설 – 공장 화재사건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4번 해설 – 판결문 양립 헌법기관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3번 해설 – 규범 교통법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2번 해설 – 입사 지원자 실무영어 경제학 해외연수 명제 논리 정언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1번 해설 – 용어 무의미 종교적 용어 명제 논리 정언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0번 해설 – 호락논쟁 낙학 호학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9번 해설 – 역사서 고려 인종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8번 해설 – 소문 심리학 실험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7번 해설 – 주범 교사범 모순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6번 해설 – 자연발생설 유기물 미생물 스팔란차니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5번 해설 – 박도경 자백 신하 임금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4번 해설 – 심리적 장애 성격 장애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3번 해설 – 뼈 뼈대 뼈끈판 성장호르몬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2번 해설 – 공동 식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1번 해설 – 남병철 최한기 천문역산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9번 20번 해설 – 유산 채권자 분배 탈무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8번 해설 – 수명 연장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7번 해설 – 유클리드 기하학 공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6번 해설 – 물리학 근본 법칙 중력 법칙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5번 해설 – 포유동물 외부생식기 원시생식소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4번 해설 – 법률 합헌 위헌 관련 가치관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3번 해설 – 디지털 연산 감각기관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2번 해설 – 상호방위조약 6자회담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1번 해설 – 레이 사유 행위 자유의지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0번 해설 – 붕당 군자 소인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9번 해설 – 영혼 감각 몸 우주 물체 허공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8번 해설 – 소비자 슈퍼마켓 소비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7번 해설 – 3L 5L 물통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6번 해설 – 테러리스트 시한폭탄 중력 가속도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5번 해설 – 사양산 금산 투작 목상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4번 해설 – 선호 공리주의 개인적 선호 금연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번 해설 – 복합음 부분음 기음 공명기 헬름홀츠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번 해설 – 중동 제국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번 해설 – 국자감 성균관 국자 태학 명륜당
관련 문서
- 2014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