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4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A책형 3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3. 다음 글에서 추론할 수 없는 것은?
악기에서 나오는 복합음은 부분음이 여러 개 중첩된 형태이다. 이 부분음 중에서 가장 낮은 음을 ‘기음’이라고 부르며 다른 부분음은 이 기음이 가지고 있는 진동수의 정수배 값인 진동수를 갖는다. 헬름홀츠는 공명기라는 독특한 장치를 사용하여 부분음이 물리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헬름홀츠는 이 공명기를 이용하여 복합음 속에서 특정한 부분음만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었다. 이는 공명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양에 따라 특정한 진동수를 갖는 부분음에 대해서만 공명이 일어나고 다른 진동수의 음에 대해서는 공명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었다. 그는 이 특정한 공명 진동수를 공명기의 ‘고유 진동수’라고 불렀다. 공명기의 이러한 특성은 추후에 음향학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었다. 헬름홀츠는 공명기를 활용하여 악기에서 이러한 부분음이 어떻게 발생하는지를 탐구하였다. 헬름홀츠가 우선적으로 선택한 악음은 다양한 현에서 나오는 음이었다. 현은 일정한 장력으로 양단이 고정되었을 때 일정한 음을 내는데, 현이 진동할 때 진폭이 0이 되어 진동이 일어나지 않는 곳을 ‘마디’라 하고 진폭이 가장 큰 곳을 ‘배’라 한다. 현은 하나의 배를 갖는 진동부터 여러 개의 배를 갖는 진동이 모두 가능하다. 가령, 현의 중앙을 가볍게 뚱기면 그 위치가 배가 되고 현의 양단이 마디가 되는 1배 진동을 하게 된다. 1배 진동에서는 기음이 발생한다. 그렇지만 현의 중앙을 뚱길 때 현은 1배 진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뚱긴 위치를 배로 하는, 배가 3개인 진동, 5개인 진동, 7개인 진동도 동시에 일어난다. 이와 함께 기음의 진동수의 3배, 5배, 7배 등의 진동수를 갖는 부분음도 발생하게 된다. 3배 진동의 경우, 현의 길이가 이면 한쪽 끝에서 거리가 \(0\), \(\dfrac{\text{1}}{\text{3}}L\), \(\dfrac{\text{2}}{\text{3}}L\), \(L\)인 위치에 마디가 생기고 한쪽 끝에서 거리가 \(\dfrac{\text{1}}{\text{6}}L\), \(\dfrac{\text{3}}{\text{6}}L\), \(\dfrac{\text{5}}{\text{6}}L\)인 위치에 배가 형성된다. 이렇게 현을 뚱기면 여러 배의 진동이 동시에 형성되면서 현에 형성된 파형은 여러 배의 진동이 중첩되어 나타나는 복잡한 형태를 띠게 된다. 이러한 현으로부터 나오는 음도 현의 파형처럼 복잡한 형태를 띠게 된다. |
① 양단이 고정된 현의 양단은 항상 마디이다.
② 진동하는 현의 배의 수가 증가하면 그 현의 기음이 갖는 진동수도 커진다.
③ 양단이 고정된 현의 중앙을 뚱겼을 때 발생하는 배의 수는 마디의 수보다 항상 작다.
④ 현을 진동시킬 때 나오는 복합음은 기음을 포함한 여러 개의 부분음이 중첩되어 나온 것이다.
⑤ 헬름홀츠의 공명기에 의해 분석할 수 있는 특정한 부분음의 진동수는 공명기 내에 있는 공기의 양에 따라 다르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양단이 고정된 현의 양단은 항상 마디이다.
현은 일정한 장력으로 양단이 고정되었을 때 일정한 음을 내는데, 현이 진동할 때 진폭이 0이 되어 진동이 일어나지 않는 곳을 ‘마디’라 하고 진폭이 가장 큰 곳을 ‘배’라 한다.
현의 중앙을 가볍게 뚱기면 그 위치가 배가 되고 현의 양단이 마디가 되는 1배 진동을 하게 된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진동하는 현의 배의 수가 증가하면 그 현의 기음이 갖는 진동수도 커진다.
악기에서 나오는 복합음은 부분음이 여러 개 중첩된 형태이다. 이 부분음 중에서 가장 낮은 음을 ‘기음’이라고 부르며 다른 부분음은 이 기음이 가지고 있는 진동수의 정수배 값인 진동수를 갖는다.
1배 진동에서는 기음이 발생한다. 그렇지만 현의 중앙을 뚱길 때 현은 1배 진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뚱긴 위치를 배로 하는, 배가 3개인 진동, 5개인 진동, 7개인 진동도 동시에 일어난다. 이와 함께 기음의 진동수의 3배, 5배, 7배 등의 진동수를 갖는 부분음도 발생하게 된다. |
기음은 복합음을 구성하는 부분음 중 가장 낮은 음을 뜻한다.
현의 중앙을 뚱길 때 현은 1배 진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뚱긴 위치를 배로 하는, 배가 3개인 진동, 5개인 진동, 7개인 진동도 동시에 일어난다는 언급만 있을 뿐, 그 현의 기음이 갖는 진동수가 커진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양단이 고정된 현의 중앙을 뚱겼을 때 발생하는 배의 수는 마디의 수보다 항상 작다.
3배 진동의 경우, 현의 길이가 이면 한쪽 끝에서 거리가 \(0\), \(\dfrac{\text{1}}{\text{3}}L\), \(\dfrac{\text{2}}{\text{3}}L\), \(L\)인 위치에 마디가 생기고 한쪽 끝에서 거리가 \(\dfrac{\text{1}}{\text{6}}L\), \(\dfrac{\text{3}}{\text{6}}L\), \(\dfrac{\text{5}}{\text{6}}L\)인 위치에 배가 형성된다. |
3배 진동의 경우, 현의 길이가 이면 한쪽 끝에서 거리가 \(\dfrac{\text{0}}{\text{6}}L\), \(\dfrac{\text{2}}{\text{6}}L\), \(\dfrac{\text{4}}{\text{6}}L\), \(\dfrac{\text{6}}{\text{6}}L\)인 위치에 마디가 생기고, 이 마디들 사이인 \(\dfrac{\text{1}}{\text{6}}L\), \(\dfrac{\text{3}}{\text{6}}L\), \(\dfrac{\text{5}}{\text{6}}L\) 위치에 배가 형성된다.
5배 진동의 경우, 현의 길이가 이면 한쪽 끝에서 거리가 \(\dfrac{\text{0}}{\text{5}}L\), \(\dfrac{\text{1}}{\text{5}}L\), \(\dfrac{\text{2}}{\text{5}}L\), \(\dfrac{\text{3}}{\text{5}}L\), \(\dfrac{\text{4}}{\text{5}}L\), \(\dfrac{\text{5}}{\text{5}}L\)인 위치에 마디가 생기고, 이 마디들 사이인 \(\dfrac{\text{1}}{\text{10}}L\), \(\dfrac{\text{3}}{\text{10}}L\), \(\dfrac{\text{5}}{\text{10}}L\), \(\dfrac{\text{7}}{\text{10}}L\), \(\dfrac{\text{9}}{\text{10}}L\) 위치에 배가 형성된다.
즉 양단이 고정된 현의 중앙을 뚱겼을 때 발생하는 배의 수는 마디의 수보다 항상 1이 작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현을 진동시킬 때 나오는 복합음은 기음을 포함한 여러 개의 부분음이 중첩되어 나온 것이다.
악기에서 나오는 복합음은 부분음이 여러 개 중첩된 형태이다. 이 부분음 중에서 가장 낮은 음을 ‘기음’이라고 부르며 다른 부분음은 이 기음이 가지고 있는 진동수의 정수배 값인 진동수를 갖는다. |
기음은 부분음 중에서 가장 낮은 음을 나타내며, 여러 개로 중첩된 부분음은 복합음을 구성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헬름홀츠의 공명기에 의해 분석할 수 있는 특정한 부분음의 진동수는 공명기 내에 있는 공기의 양에 따라 다르다.
헬름홀츠는 이 공명기를 이용하여 복합음 속에서 특정한 부분음만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었다.
공명기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의 양에 따라 특정한 진동수를 갖는 부분음에 대해서만 공명이 일어나고 다른 진동수의 음에 대해서는 공명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14 5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9번 40번 해설 – 이리나 박을수 김갑수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8번 해설 – 엘베시우스 비테 루소 페스탈로치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7번 해설 – 결렁론 뉴턴 라플라스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6번 해설 – 인간복제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5번 해설 – 공장 화재사건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4번 해설 – 판결문 양립 헌법기관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3번 해설 – 규범 교통법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2번 해설 – 입사 지원자 실무영어 경제학 해외연수 명제 논리 정언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1번 해설 – 용어 무의미 종교적 용어 명제 논리 정언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0번 해설 – 호락논쟁 낙학 호학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9번 해설 – 역사서 고려 인종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8번 해설 – 소문 심리학 실험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7번 해설 – 주범 교사범 모순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6번 해설 – 자연발생설 유기물 미생물 스팔란차니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5번 해설 – 박도경 자백 신하 임금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4번 해설 – 심리적 장애 성격 장애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3번 해설 – 뼈 뼈대 뼈끈판 성장호르몬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2번 해설 – 공동 식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1번 해설 – 남병철 최한기 천문역산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9번 20번 해설 – 유산 채권자 분배 탈무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8번 해설 – 수명 연장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7번 해설 – 유클리드 기하학 공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6번 해설 – 물리학 근본 법칙 중력 법칙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5번 해설 – 포유동물 외부생식기 원시생식소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4번 해설 – 법률 합헌 위헌 관련 가치관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3번 해설 – 디지털 연산 감각기관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2번 해설 – 상호방위조약 6자회담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1번 해설 – 레이 사유 행위 자유의지 명제논리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0번 해설 – 붕당 군자 소인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9번 해설 – 영혼 감각 몸 우주 물체 허공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8번 해설 – 소비자 슈퍼마켓 소비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7번 해설 – 3L 5L 물통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6번 해설 – 테러리스트 시한폭탄 중력 가속도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5번 해설 – 사양산 금산 투작 목상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4번 해설 – 선호 공리주의 개인적 선호 금연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3번 해설 – 복합음 부분음 기음 공명기 헬름홀츠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2번 해설 – 중동 제국
- [PSAT 기출] 2014 5급 언어논리 A책형 1번 해설 – 국자감 성균관 국자 태학 명륜당
관련 문서
- 2014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