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6 5급 언어논리 4책형 35번 해설 – 진화론자 진화론 신생 종

개요

다음은 2016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4책형 35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35. 다음 글의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진화론자들은 지구상에서 생명의 탄생이 30억 년 전에 시작됐다고 추정한다. 5억 년 전 캄브리아기 생명폭발 이후 다양한 생물종이 출현했다. 인간 종이 지구상에 출현한 것은 길게는 100만 년 전이고 짧게는 10만 년 전이다. 현재 약 180만 종의 생물종이 보고되어 있다. 멸종된 것을 포함해서 5억 년 전 이후 지구상에 출현한 생물종은 1억 종에 이른다. 5억 년을 100년 단위로 자르면 500만 개의 단위로 나눌 수 있다. 이것은 새로운 생물종이 평균적으로 100년 단위마다 약 20종이 출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지난 100년 간 생물학자들은 지구상에서 새롭게 출현한 종을 찾아내지 못했다. 이는 한 종에서 분화를 통해 다른 종이 발생한다는 진화론이 거짓이라는 것을 함축한다.

① 100년마다 20종이 출현한다는 것은 다만 평균일 뿐이다. 현재의 신생 종 출현 빈도는 그보다 훨씬 적을 수 있지만 언젠가 신생 종이 훨씬 많이 발생하는 시기가 올 수 있다.

② 5억 년 전 이후부터 지구상에 출현한 생물종이 1,000만 종 이하일 수 있다. 그러면 100년 내에 새로 출현하는 종의 수는 2종 정도이므로 신생 종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

③ 생물학자는 새로 발견한 종이 신생 종인지 아니면 오래 전부터 존재했던 종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신생 종의 출현이나 부재로 진화론을 검증하려는 시도는 성공할 수 없다.

④ 30억 년 전에 생물이 출현한 이후 5차례의 대멸종이 일어났으나 대멸종은 매번 규모가 달랐다. 21세기 현재, 알려진 종 중 사라지는 수가 크게 늘고 있어 우리는 인간에 의해 유발된 대멸종의 시대를 맞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⑤ 생물학자들이 발견한 몇몇 종은 지난 100년 내에 출현한 종이라고 판단할 이유가 있다. DNA의 구성에 따라 계통수를 그렸을 때 본줄기보다는 곁가지 쪽에 배치될수록 늦게 출현한 종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100년마다 20종이 출현한다는 것은 다만 평균일 뿐이다. 현재의 신생 종 출현 빈도는 그보다 훨씬 적을 수 있지만 언젠가 신생 종이 훨씬 많이 발생하는 시기가 올 수 있다.

5억 년을 100년 단위로 자르면 500만 개의 단위로 나눌 수 있다. 우리는 겨우 500만 개의 단위 중 하나인 100년 간의 새로운 생물종 탐색으로 진화론을 검증하려 한다면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수 있다.

보기는 윗 글의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5억 년 전 이후부터 지구상에 출현한 생물종이 1,000만 종 이하일 수 있다. 그러면 100년 내에 새로 출현하는 종의 수는 2종 정도이므로 신생 종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보기는 윗 글의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생물학자는 새로 발견한 종이 신생 종인지 아니면 오래 전부터 존재했던 종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신생 종의 출현이나 부재로 진화론을 검증하려는 시도는 성공할 수 없다.

현재 약 180만 종의 생물종이 보고되어 있지만, 지구상의 존재하는 모든 생물종이 확인되었다고는 확신할 수 없다.

보기는 윗 글의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30억 년 전에 생물이 출현한 이후 5차례의 대멸종이 일어났으나 대멸종은 매번 규모가 달랐다. 21세기 현재, 알려진 종 중 사라지는 수가 크게 늘고 있어 우리는 인간에 의해 유발된 대멸종의 시대를 맞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윗 글은 지난 100년 간 신생 종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것을 근거로 한 종에서 분화를 통해 다른 종이 발생한다는 진화론이 거짓이라고 논증하는 내용이다.

하지만 보기는 새롭게 출현하는 종이 아닌 멸종하는 종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생물학자들이 발견한 몇몇 종은 지난 100년 내에 출현한 종이라고 판단할 이유가 있다. DNA의 구성에 따라 계통수를 그렸을 때 본줄기보다는 곁가지 쪽에 배치될수록 늦게 출현한 종임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새롭게 출현한 종을 판단하는 기준이 보기와 같다면, 위 글의 논증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16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