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6 5급 언어논리 4책형 6번 해설 – 쿤 과학혁명 새 이론 추론 문제

개요

다음은 2016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4책형 6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6. 다음 글에서 추론할 수 없는 것은?

쿤이 말하는 과학혁명의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 질문을 던져보자. 첫째, 새 이론을 제일 처음 제안하고 지지하는 소수의 과학자들은 어떤 이유에서 그렇게 하는가? 기존 이론이 이상현상 때문에 위기에 봉착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기존 이론은 이미 상당한 문제 해결 능력을 증명한 바 있다. 다만 기존 이론이 몇 가지 이상현상을 설명할 능력이 없다고 판단한 과학자들이 나타났을 뿐이다. 이런 과학자들 중 누군가가 새 이론을 처음 제안했을 때 기존 이론을 수용하고 있는 과학자 공동체는 새 이론에 호의적이지 않을 것이다. 당장 새 이론이 기존 이론보다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할 리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이상현상을 새 이론이 설명한다는 것이 과학혁명의 출발점이다.

둘째, 다른 과학자들은 어떻게 기존 이론을 버리고 새로 제안된 이론을 선택하는가? 새 이론은 여전히 기존 이론보다 문제 해결의 성과가 부족하다. 하지만 선구적인 소수 과학자들의 연구활동과 그 성과에 자극을 받아 새 이론을 선택하는 과학자들은 그것이 앞으로 점점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하리라고, 나아가 기존 이론의 문제 해결 능력을 능가하리라고 기대한다. 이러한 기대는 이론의 심미적 특성 같은 것에 근거한 주관적 판단이고, 그와 같은 판단은 개별 과학자의 몫이다. 물론 이러한 기대는 좌절될 수도 있고, 그 경우 과학혁명은 좌초된다.

셋째, 과학혁명이 일어날 때 과학자 공동체가 기존 이론을 버리고 새 이론을 선택하도록 하는 결정적인 요인은 무엇인가? 이 물음에서 선택의 주체는 더 이상 개별 과학자가 아니라 과학자 공동체이다. 하지만 과학자 공동체는 결국 개별 과학자들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다면 문제는 과학자 공동체를 구성하는 과학자들이 어떻게 이론을 선택하는가이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 모든 개별 과학자의 선택 기준은 더 이상 새 이론의 심미적 특성이나 막연한 기대가 아니다. 과학자들은 새 이론이 해결하는 문제의 수와 범위가 기존 이론의 그것보다 크다고 판단할 경우 새 이론을 선택할 것이다. 과학자 공동체의 대다수 과학자들이 이렇게 판단하게 되면 그것은 과학자 공동체가 새 이론을 선택한 것이고, 이로써 쿤이 말하는 과학혁명이 완성된다.

① 심미적 관점에서 우월한 이론일수록 해결 가능한 문제의 범위와 수에서도 우월하다.

② 과학자가 이론을 선택하는 기준은 과학혁명의 진행 단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③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이상현상이 존재한다고 해서 과학자 공동체가 그 이론을 폐기하는 것은 아니다.

④ 기존 이론의 이상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 없이는 과학혁명이 시작되지 않는다.

⑤ 과학자 공동체는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더라도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이론을 선택한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심미적 관점에서 우월한 이론일수록 해결 가능한 문제의 범위와 수에서도 우월하다.

이러한 기대는 이론의 심미적 특성 같은 것에 근거한 주관적 판단이고, 그와 같은 판단은 개별 과학자의 몫이다. 물론 이러한 기대는 좌절될 수도 있고, 그 경우 과학혁명은 좌초된다.

이 단계에서 모든 개별 과학자의 선택 기준은 더 이상 새 이론의 심미적 특성이나 막연한 기대가 아니다. 과학자들은 새 이론이 해결하는 문제의 수와 범위가 기존 이론의 그것보다 크다고 판단할 경우 새 이론을 선택할 것이다.

선구적인 소수 과학자들의 연구활동과 그 성과에 자극을 받아 새 이론을 선택하는 과학자들은 새 이론이 기존 이론의 문제 해결 능력을 능가할 것이라고 기대하는데, 이러한 기대는 이론의 심미적 특성 같은 것에 근거한 주관적 판단이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는 좌절될 수도 있다.

하지만 과학혁명이 일어날 때 과학자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별 과학자들이 새 이론을 선택하는 기준은 새 이론의 심미적 특성이 아닌 새 이론이 해결하는 문제의 수와 범위가 기존 이론보다 큰지 여부이다.

심미적 관점에서 우월한 이론이더라도 해결 가능한 문제의 범위와 수에서는 그렇지 못하여 과학자 공동체로부터 선택받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과학자가 이론을 선택하는 기준은 과학혁명의 진행 단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

선구적인 소수 과학자들의 연구활동과 그 성과에 자극을 받아 새 이론을 선택하는 과학자들은 새 이론이 기존 이론의 문제 해결 능력을 능가할 것이라고 기대하는데, 이때 선택 기준은 새 이론의 심미적 특성 같은 것에 근거한 주관적 판단이다.

마지막 단계에서 과학자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별 과학자들이 새 이론을 선택하는 기준은 새 이론의 심미적 특성이 아닌 새 이론이 해결하는 문제의 수와 범위가 기존 이론보다 큰지 여부이다. 만약 그렇다면 과학자 공동체가 새 이론을 선택한 것이고, 이로써 과학혁명이 완성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이상현상이 존재한다고 해서 과학자 공동체가 그 이론을 폐기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이상현상을 새 이론이 설명한다고 할 때, 과학자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별 과학자들은 새 이론이 해결하는 문제의 수와 범위가 기존 이론보다 크다고 판단할 경우 새 이론을 선택할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기존 이론을 폐기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기존 이론의 이상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 없이는 과학혁명이 시작되지 않는다.

기존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이상현상을 새 이론이 설명한다는 것이 과학혁명의 출발점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과학자 공동체는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더라도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하는 이론을 선택한다.

과학자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별 과학자들은 새 이론이 해결하는 문제의 수와 범위가 기존 이론의 문제의 수와 범위보다 크다고 판단할 경우 새 이론을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①번이다.

2016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