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24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1. 다음 글의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조선 성종 때 반포된 <경국대전>에는 지방 수령을 뽑아 내려보낼 때 지켜야 할 절차와 규정이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지방 수령을 뽑을 때는 인사 담당 관청인 이조가 3인의 후보자를 왕에게 올리게 되어 있었다. 왕이 이 가운데 한 명을 택하면 이조는 그 사실을 경주인에게 바로 알려야 했다. 조정과 지방 관아 사이에 오가는 연락을 취급하는 직책인 경주인은 신임 수령이 뽑혔다는 사실을 그 지방 관아에 알리고, 당사자에게도 왕이 그를 수령으로 임명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내용의 고신교지를 보냈다.
이 고신교지를 받은 신임 수령은 무엇보다 먼저 왕에게 감사의 인사를 올리는 의례인 사은숙배를 거행해야 했다. 이를 위해 모월 모일에 사은숙배를 치르겠다는 내용이 담긴 숙배단자를 만들어 의례 주관처인 통례원에 내야 했다. 통례원은 사은숙배를 하겠다는 날에 왕에게 다른 일정은 없는지, 숙배단자가 제 형식을 갖추었는지 등을 따진 뒤 일자를 확정해 알렸다. 이 통보를 받은 신임 수령은 당일 궁궐에 들어가 상서원이라는 곳에서 대기하다가 사은숙배를 해도 좋다는 명이 떨어지면 정전 앞에 나아가 세 번 절하고 왕을 만났다. 이때 왕은 선정을 당부하고, 특별한 지시 사항이 있을 때는 그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이후 신임 수령은 인사 담당 관청인 이조를 찾아가 인사하는 의례인 사조를 거쳐야 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 관청의 직책에 처음 임명된 문관도 사은숙배를 해야 했는데, 사조는 오직 지방 수령에 임명된 자만 거쳐야 하는 절차였다. 지방 수령에 임명되었음에도 사조를 하지 않은 사람은 이조에 불려가 호된 꾸중을 들을 수 있었다. 사은숙배와 사조를 모두 거친 자는 하직숙배를 행한 뒤 임지로 떠났다. 하직숙배란 임지로 가기 전 마지막으로 왕에게 인사하는 의례다. 그런데 이때는 왕이 아니라 승지가 신임 수령을 대신 만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직숙배 때에는 왕이나 승지 앞에서 지방관이 지켜야 하는 일곱 가지 규정인 ‘수령칠사’를 꼭 암송해야 했다. 만일 이를 제대로 외우지 못하면 부임하기도 전에 그 자리에서 파면당하는 불명예를 안을 수 있었다. 이 절차를 무사히 거친 신임 수령이 임지 경내로 들어가면 그 지역 아전과 주민들이 나와 환영회를 여는 것이 관례였다. 신임 수령은 환영 인파와 함께 관아로 가는 도중 그 지방 향교를 찾아 참배해야 했다. 이처럼 조선 왕조는 수령을 뽑아 보내는 절차를 복잡하게 만들었는데, 이는 그만큼 그 직임을 중시했음을 뜻한다. |
① 처음으로 문관직에 임명된 사람에게는 사은숙배와 하직숙배를 모두 거행해야 할 의무가 있었다.
② 임지에 부임한 신임 수령은 해당 지방의 향교를 방문하여 사은숙배를 올리고 수령칠사를 암송해야 했다.
③ 지방 수령으로 임명된 사람은 사은숙배를 하기 전에 반드시 의정부를 찾아가 사조라는 절차를 거행해야 했다.
④ 신임 수령이 결정되면 통례원이 이조를 대신하여 당사자에게 고신교지를 보내 임명 사실을 알리는 일을 했다.
⑤ 정해진 규정대로 사은숙배와 사조를 끝낸 사람이라도 하직숙배 때 수령칠사를 제대로 말하지 못하면 그 직에서 파면될 수 있었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처음으로 문관직에 임명된 사람에게는 사은숙배와 하직숙배를 모두 거행해야 할 의무가 있었다.
신임 수령은 인사 담당 관청인 이조를 찾아가 인사하는 의례인 사조를 거쳐야 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 관청의 직책에 처음 임명된 문관도 사은숙배를 해야 했는데, 사조는 오직 지방 수령에 임명된 자만 거쳐야 하는 절차였다. 지방 수령에 임명되었음에도 사조를 하지 않은 사람은 이조에 불려가 호된 꾸중을 들을 수 있었다.
사은숙배와 사조를 모두 거친 자는 하직숙배를 행한 뒤 임지로 떠났다. 하직숙배란 임지로 가기 전 마지막으로 왕에게 인사하는 의례다. |
하직숙배는 사은숙배와 사조를 모두 거친 자가 할 수 있었다.
사조는 오직 지방 수령에 임명된 자만 거쳐야 하는 절차였고, 중앙 관청의 직책에 처음 임명된 문관도 사조를 했는지는 언급되지 않는다.
중앙 관청의 직책에 처음 임명된 문관은 사은숙배를 했던 것은 맞지만, 하직숙배도 했는지는 알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임지에 부임한 신임 수령은 해당 지방의 향교를 방문하여 사은숙배를 올리고 수령칠사를 암송해야 했다.
하직숙배 때에는 왕이나 승지 앞에서 지방관이 지켜야 하는 일곱 가지 규정인 ‘수령칠사’를 꼭 암송해야 했다.
신임 수령은 환영 인파와 함께 관아로 가는 도중 그 지방 향교를 찾아 참배해야 했다. |
임지로 가기 전 하직숙배 때 ‘수령칠사’를 꼭 암송해야 했지만, 임지의 해당 지방의 향교를 방문해서는 참배를 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지방 수령으로 임명된 사람은 사은숙배를 하기 전에 반드시 의정부를 찾아가 사조라는 절차를 거행해야 했다.
통보를 받은 신임 수령은 당일 궁궐에 들어가 상서원이라는 곳에서 대기하다가 사은숙배를 해도 좋다는 명이 떨어지면 정전 앞에 나아가 세 번 절하고 왕을 만났다. 이때 왕은 선정을 당부하고, 특별한 지시 사항이 있을 때는 그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 이후 신임 수령은 인사 담당 관청인 이조를 찾아가 인사하는 의례인 사조를 거쳐야 했다. |
왕을 만나 사은숙배를 한 후에 의정부가 아닌 인사 담당 관청인 이조를 찾아가 인사하는 의례인 사조를 거쳐야 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신임 수령이 결정되면 통례원이 이조를 대신하여 당사자에게 고신교지를 보내 임명 사실을 알리는 일을 했다.
조정과 지방 관아 사이에 오가는 연락을 취급하는 직책인 경주인은 신임 수령이 뽑혔다는 사실을 그 지방 관아에 알리고, 당사자에게도 왕이 그를 수령으로 임명했다는 사실을 알리는 내용의 고신교지를 보냈다. |
통례원이 아닌 경주인이 당사자에게 고신교지를 보내 임명 사실을 알리는 일을 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정해진 규정대로 사은숙배와 사조를 끝낸 사람이라도 하직숙배 때 수령칠사를 제대로 말하지 못하면 그 직에서 파면될 수 있었다.
하직숙배 때에는 왕이나 승지 앞에서 지방관이 지켜야 하는 일곱 가지 규정인 ‘수령칠사’를 꼭 암송해야 했다. 만일 이를 제대로 외우지 못하면 부임하기도 전에 그 자리에서 파면당하는 불명예를 안을 수 있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⑤번이다.
2024 5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9번 40번 해설 – 표본 통계 가설 대립가설 귀무가설 유의수준 p-값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8번 해설 – 전자의 전이시간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7번 해설 – 가설 세포 수명 돌연변이 활성산소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6번 해설 – 이론 믿음 욕구 심적 상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5번 해설 – 혈액 공급 시스템 상품화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4번 해설 – 국립병원 내과 외과 산부인과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3번 해설 – 연수 총무과 인사과 재무과 배치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2번 해설 – 박쥐 나방 날개꼬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1번 해설 – 파장 적외선 시스템 검출기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0번 해설 – 인간 대상 연구 IRB 심의 심사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9번 해설 – 플랫폼 노동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8번 해설 – 전전두엽 상위 인지적 기능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7번 해설 – 유기체 세포자살 문맥 수정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6번 해설 – 물 과냉각 하전 부품 결빙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5번 해설 – 합성측정 지수 척도 정치적 활동성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4번 해설 – 국가 발전 퇴보 가중평균값 명제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3번 해설 – 본회의 상임위원회 중심주의 법제사법위원회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2번 해설 – 조선 매매문기 입안 입지 부동산 거래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1번 해설 – 신라 진골 성골 동륜 진평왕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9번 20번 해설 – 도덕적 책임 통제 조건 인식 조건 AI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8번 해설 – 항성 행성 식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7번 해설 – 신경조절기술 경두개전기자극술 명제논리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6번 해설 – 언어표현 지칭적 의미론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5번 해설 – 문장 문법적 의미 사용 빈도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4번 해설 – 다섯 개 부서 배치 인사 발령 논리퀴즈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사내 부서 바둑 대회 논리퀴즈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2번 해설 – 아르곤 레일리 램지 질소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1번 해설 – 창조 의도 창조된 것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0번 해설 – 사후확신 편향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9번 해설 – 인구밀도 전염병 풍토병 일본 영국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8번 해설 – 직업 수정 문맥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7번 해설 – 소득 불평등 대뇌 회백질 해마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6번 해설 – 마이크로바이옴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5번 해설 – 영아사망률 1인당 국내총생산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4번 해설 – 제도적 가족주의 국민연금제도 기초생활보장제도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번 해설 – 석방거래 중세 시대 포로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번 해설 – 목화 씨앗 문익점 정천익
- [PSAT 기출] 2024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번 해설 – 지방 수령 사은숙배 하직숙배
관련 문서
- 2024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꼭꼭 씹어먹겠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