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5년 국가공무원 5급 상황판단영역 인책형 19번, 20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19~문 20]
예로부터 웬만큼 글자를 아는 사람은 본명 외에 자(字)를 가지고 있었다. 자는 본명 대신 부르던 것으로 이름을 소중히 여겨 함부로 부르지 않았던 관습 때문에 생겼다. 우리나라에서 자를 처음 쓰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로 추정되는데, 설총이 총지라는 자를 썼던 것에서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때부터 자가 보편적으로 쓰인 것은 아니며 이후에 유학자를 중심으로 많이 쓰였다.
자는 성인이 되었음을 인정하는 예식인 관례(冠禮) 때 부모나 집안 어른이 지어주었다. 이황은 경호, 이이는 숙헌, 이순신은 여해, 정도전은 종지, 정도전의 스승인 이색은 영숙을 자로 썼다. 공자의 자는 중니(仲尼)였는데 니(尼)는 그의 부모가 이산(尼山)에 기도를 드려 낳은 아들인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예기>에 따르면 남자의 자는 흔히 본명과 의미상 관련이 있는 한 글자에 각각 첫째, 둘째, 셋째, 넷째를 나타내는 백(伯), 중(仲), 숙(叔), 계(季)의 글자를 앞에 붙여 지었다. 이때 형제가 4명을 넘게 되면 막내에게는 유(幼)를 앞에 붙여 썼다. 또한 백(伯) 대신 맹(孟)을 쓰기도 했는데 손책과 조조의 자는 백부(伯符)와 맹덕(孟德)으로 이들이 첫째 아들임을 알 수 있다. 대개 형제들의 자에는 같은 글자를 돌림자처럼 써서 형제임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리고 돌림자 앞에는 백, 중, 숙, 계, 유 등을 써서 형제의 순서를 표시했다. 사마팔달(司馬八達), 마가오상(馬家五常), 순씨팔룡(荀氏八龍) 등으로 널리 알려진 형제들도 이런 방법에 따라 자를 지었다. 사마팔달은 사마랑부터 막내인 사마민까지 8형제를 일컫는 말로, 이 가운데 자가 중달(仲達)인 사마의가 가장 유명하다. 사마의의 둘째 동생인 사마욱부터 사마민까지는 지금은 덜 알려져 있지만 당시에는 명망이 있었다. 이들 8형제는 순서대로 백달(伯達), 중달(仲達), 숙달(叔達), 계달(季達), 현달(顯達), 혜달(惠達), 아달(雅達), 유달(幼達)을 자로 썼다. 순숙의 여덟 아들인 순씨팔룡(荀氏八龍)도 사마팔달과 같은 방법으로 만든 자를 사용했다. 첫째 순검부터 차례로 순곤, 순정, 순도, 순황, 순상, 순숙과 막내인 순전까지 모두 자(慈)를 돌림자로 쓰고 앞에는 순서를 나타내는 백, 중 등을 사용했다. 마가오상(馬家五常)으로 알려진 마속의 5형제도 같은 방법으로 만든 자를 사용했다. 상(常)을 돌림자처럼 썼는데 백미(白眉)로 잘 알려진 마량은 마속의 형으로 자가 계상(季常)이었다. 자는 어떤 사이에서나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일정한 사용방식이 있었다. 사람을 부를 때 같은 나이 또래나 그 아랫사람에게는 자를 썼다. 그러나 부모나 스승이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는 본명을 사용했으며, 윗사람에게 자신을 칭할 때도 본명을 말했다. |
문 19. 위의 글을 근거로 추론할 때, <보기>에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보 기> |
ㄱ. 자를 사용하는 방식대로라면 이색은 정도전을 종지라고 불렀을 것이다.
ㄴ. 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이 성인으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할 것이다. ㄷ. 공자의 자가 예기에서 언급한 방식대로 지은 것이라면 공자는 둘째 아들이었을 것이다. ㄹ. 자를 사용하는 방식대로라면 조카가 숙부에게 자신을 칭할 때에는 자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
① ㄱ, ㄴ
② ㄴ, ㄷ
③ ㄱ, ㄷ, ㄹ
④ ㄴ, ㄷ, ㄹ
⑤ ㄱ, ㄴ, ㄷ, ㄹ
문 20. 위의 글을 근거로 판단할 때, 사마욱, 순곤, 마속의 자로 옳게 짝지은 것은?
사마욱 | 순곤 | 마속 | |
① | 유달(幼達) | 중자(仲慈) | 유상(幼常) |
② | 계달(季達) | 중자(仲慈) | 중상(仲常) |
③ | 계달(季達) | 숙자(叔慈) | 숙상(叔常) |
③ | 계달(季達) | 중자(仲慈) | 유상(幼常) |
⑤ | 유달(幼達) | 맹자(孟慈) | 중상(仲常) |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19번 문제 해설
ㄱ. 자를 사용하는 방식대로라면 이색은 정도전을 종지라고 불렀을 것이다.
정도전은 종지를 자로 썼다.
자는 어떤 사이에서나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일정한 사용방식이 있었다. 사람을 부를 때 같은 나이 또래나 그 아랫사람에게는 자를 썼다. 그러나 부모나 스승이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는 본명을 사용했으며, 윗사람에게 자신을 칭할 때도 본명을 말했다. |
이색은 정도전의 스승이므로 아랫사람인 정도전에게 그의 자인 종지라고 불렀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자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그 사람이 성인으로 인정받았음을 의미할 것이다.
자는 성인이 되었음을 인정하는 예식인 관례(冠禮) 때 부모나 집안 어른이 지어주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공자의 자가 예기에서 언급한 방식대로 지은 것이라면 공자는 둘째 아들이었을 것이다.
공자의 자는 중니(仲尼)였는데 니(尼)는 그의 부모가 이산(尼山)에 기도를 드려 낳은 아들인 것에서 유래하였다고 한다.
<예기>에 따르면 남자의 자는 흔히 본명과 의미상 관련이 있는 한 글자에 각각 첫째, 둘째, 셋째, 넷째를 나타내는 백(伯), 중(仲), 숙(叔), 계(季)의 글자를 앞에 붙여 지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ㄹ. 자를 사용하는 방식대로라면 조카가 숙부에게 자신을 칭할 때에는 자를 쓰지 않았을 것이다.
자는 어떤 사이에서나 쓸 수 있는 것은 아니었으며 일정한 사용방식이 있었다. 사람을 부를 때 같은 나이 또래나 그 아랫사람에게는 자를 썼다. 그러나 부모나 스승이 아들이나 제자를 부를 때는 본명을 사용했으며, 윗사람에게 자신을 칭할 때도 본명을 말했다. |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번 문제 해설
<예기>에 따르면 남자의 자는 흔히 본명과 의미상 관련이 있는 한 글자에 각각 첫째, 둘째, 셋째, 넷째를 나타내는 백(伯), 중(仲), 숙(叔), 계(季)의 글자를 앞에 붙여 지었다. 이때 형제가 4명을 넘게 되면 막내에게는 유(幼)를 앞에 붙여 썼다.
대개 형제들의 자에는 같은 글자를 돌림자처럼 써서 형제임을 나타내기도 했다. 그리고 돌림자 앞에는 백, 중, 숙, 계, 유 등을 써서 형제의 순서를 표시했다. 사마팔달은 사마랑부터 막내인 사마민까지 8형제를 일컫는 말로, 이 가운데 자가 중달(仲達)인 사마의가 가장 유명하다. 사마의의 둘째 동생인 사마욱부터 사마민까지는 지금은 덜 알려져 있지만 당시에는 명망이 있었다. 이들 8형제는 순서대로 백달(伯達), 중달(仲達), 숙달(叔達), 계달(季達), 현달(顯達), 혜달(惠達), 아달(雅達), 유달(幼達)을 자로 썼다. 순숙의 여덟 아들인 순씨팔룡(荀氏八龍)도 사마팔달과 같은 방법으로 만든 자를 사용했다. 첫째 순검부터 차례로 순곤, 순정, 순도, 순황, 순상, 순숙과 막내인 순전까지 모두 자(慈)를 돌림자로 쓰고 앞에는 순서를 나타내는 백, 중 등을 사용했다. 마가오상(馬家五常)으로 알려진 마속의 5형제도 같은 방법으로 만든 자를 사용했다. 상(常)을 돌림자처럼 썼는데 백미(白眉)로 잘 알려진 마량은 마속의 형으로 자가 계상(季常)이었다. |
- 사마욱
사마의의 자는 중달이므로 둘째이다. 사마의의 둘째 동생인 사마욱은 넷째이다. 그러므로 자는 계달이 된다.
- 순곤
순곤은 순곤의 첫째 동생이므로 둘째가 된다. 그러므로 자는 중자가 된다.
- 마속
마속의 형인 마량의 자는 계상이므로 넷째가 된다. 그러므로 마량은 다섯째가 되고 자는 유상이 된다.
정답은 ④번이다.
2015 5급 PSAT 상황판단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9번 40번 해설 – 김치 증보산림경제 소금물 농도 추론 문제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8번 해설 – 구슬 홀짝 놀이 논리퀴즈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7번 해설 – 실제접선시각 비밀요원 위장코드 논리퀴즈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6번 해설 – 심사규칙 노래경연대회 논리퀴즈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5번 해설 – 정육면체 점 게임 도구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4번 해설 – 3인 4각 선수 참가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3번 해설 – 춘향 몽룡 호감도 문자메시지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2번 해설 – 아동안전지도 제작 사업 현황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1번 해설 – 귀농인 주택시설 개선사업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0번 해설 – A기관 벌점 산정 기초자료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9번 해설 – 풍력발전기 모델명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8번 해설 – 지방의회 의결정족수 법조문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7번 해설 – 외국인 토지 취득 계약 법조문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6번 해설 – 형사소송절차 합의 공판조서 법조문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5번 해설 – 대외경제장관회의 법조문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4번 해설 – 국회의원 선거구 66.6% 인구편차 인구비례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3번 해설 – 카펫 이슬람 기하학 무늬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2번 해설 – 조선 궁녀 보수 의전 선반 삭료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1번 해설 – 티파티 민주당 공화당 닉슨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9번 20번 해설 – 호 자 정도전 사마의 마속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8번 해설 – 가위바위보 규칙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7번 해설 – 승경도놀이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6번 해설 – 점식식단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5번 해설 – 우주센터 화성 탐사 로봇 논리 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4번 해설 – 반 고흐 작품 완성시점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3번 해설 – 미팅 짝 논리퀴즈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2번 해설 – 여성권익사업 보조금 지급 기준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1번 해설 – 중세 아일렌드 명예가격 쿠말 젖소 은 온스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0번 해설 – 순이익 제조원가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9번 해설 – 원시인 계산 손가락 나뭇가지 조약돌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8번 해설 – 군위탁생 국외위탁생 법조문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7번 해설 – 포상금 체납 세무서장 법조문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6번 해설 – 과태료 정식재판절차 법조문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5번 해설 – 관광상륙허가 크루즈업 법조문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4번 해설 – 법률안 발의의원 발의 부의 과반수 법조문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3번 해설 – 노예무역 노예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2번 해설 – 연행 곡예종목 기원
- [PSAT 기출] 2015 5급 상황판단 인책형 1번 해설 – 헌법 기본권 국제
관련 문서
- 2015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상황판단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상황판단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상황판단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