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19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29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9. 다음 글의 ㉠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갑: 우리는 타인의 언어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타인의 마음을 추론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철수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 그러면 철수가 고통스러워한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우리는 철수에게 신체적인 위해라는 특정 자극이 주어졌다는 것과 그가 신음 소리라는 특정 행동을 했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철수가 고통이라는 심리 상태에 있다고 추론하는 것이다.
을: 그러한 추론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내가 보기에 ㉠A 원리가 성립한다고 가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특정 자극에 따른 철수의 행동으로부터 철수의 고통을 추론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런데 A 원리가 성립하는지는 아주 의심스럽다. 예를 들어, 로봇이 우리 인간과 유사하게 행동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로봇이 고통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병: 나도 A 원리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 보자. 그런데 그는 고통을 느끼는 척하는 방법을 배운다. 많은 연습 끝에 그는 신체적인 위해가 가해졌을 때 비명을 지르고 찡그리는 등 고통과 관련된 행동을 완벽하게 해낸다. 그렇지만 그가 고통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정: 나도 A 원리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위해가 가해져 고통을 느끼지만 비명을 지르는 등 고통과 관련된 행동은 전혀 하지 않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가령 고통을 느끼지만 그것을 표현하지 않고 잘 참는 사람도 많지 않은가? 그런 사람들을 예외적인 사람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고통을 참는 것이 비정상적인 것은 아니다. 을: 고통을 참는 사람들이 있고 그런 사람들이 비정상적인 것은 아니라는 데는 나도 동의한다. 하지만 그러한 사람의 존재가 내가 얘기한 A 원리에 대한 반박 사례인 것은 아니다. |
① 어떤 존재의 특정 심리 상태 X가 관찰 가능할 경우, X는 항상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와 동시에 발생한다.
② 어떤 존재의 특정 심리 상태 X가 항상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와 동시에 발생할 경우, X는 관찰 가능한 것이다.
③ 어떤 존재에게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할 경우, 그 존재에게는 항상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한다.
④ 어떤 존재에게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할 경우, 그 존재에게는 항상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한다.
⑤ 어떤 존재에게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할 경우, 그 존재에게는 항상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하고, 그 역도 성립한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갑: 우리는 타인의 언어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타인의 마음을 추론한다. 예를 들어, 우리는 철수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 그러면 철수가 고통스러워한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우리는 철수에게 신체적인 위해라는 특정 자극이 주어졌다는 것과 그가 신음 소리라는 특정 행동을 했다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철수가 고통이라는 심리 상태에 있다고 추론하는 것이다.
을: 그러한 추론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내가 보기에 ㉠A 원리가 성립한다고 가정해야 한다. |
㉠은 갑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한 가정이므로 갑의 주장과 일치해야 한다.
갑은 철수의 고통을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다고 했다. 즉 어떤 존재의 특정 심리 상태 X는 관찰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어떤 존재의 특정 심리 상태 X가 관찰이 가능하다는 내용의 보기 ①, ②번은 소거된다.
나머지 보기 ③, ④, ⑤번의 경우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과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라는 두 사건의 선후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⑤번의 경우 필요충분조건으로 두 사건이 선후 관계와 상관없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을: 그러한 추론이 정당화되기 위해서는 내가 보기에 ㉠A 원리가 성립한다고 가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특정 자극에 따른 철수의 행동으로부터 철수의 고통을 추론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런데 A 원리가 성립하는지는 아주 의심스럽다. 예를 들어, 로봇이 우리 인간과 유사하게 행동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로봇이 고통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
A 원리가 성립하지 않는다면, 특정 자극에 따른 철수의 행동으로부터 철수의 고통을 추론하는 것은 잘못이다.
대우: 특정 자극에 따른 철수의 행동으로부터 철수의 고통을 추론한다면, A 원리가 성립한다.
위 대우 명제에 의하면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으로부터 고통이 있다는 것을 추론하므로, 선후관계는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 →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 된다.
그런데 을은 A 원리 성립에 대해 의심하고 있다.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하더라도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 거짓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A 원리도 거짓이 된다.
X | Y | X → Y |
참 | 참 | 참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참 | 참 |
거짓 | 거짓 | 참 |
조건문의 경우 전건 X가 참일 때, 후건 Y가 거짓이라면 조건문 자체가 거짓이 된다. 전건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이 참이더라도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 거짓이라면 결국 A 원리는 거짓이 된다.
이 경우에도 A 원리의 선후관계는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 →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 된다.
병: 나도 A 원리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아무런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 보자. 그런데 그는 고통을 느끼는 척하는 방법을 배운다. 많은 연습 끝에 그는 신체적인 위해가 가해졌을 때 비명을 지르고 찡그리는 등 고통과 관련된 행동을 완벽하게 해낸다. 그렇지만 그가 고통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
병 역시 A 원리가 거짓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연습 끝에 신체적인 위해가 가해졌을 때 비명을 지르고 찡그리는 행동을 완벽하게 해낸다고 해도, 아무런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고통을 느낀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즉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이 참이더라도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 거짓이라면 결국 A 원리는 거짓이 된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 경우에도 A 원리의 선후관계는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 →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 된다.
정: 나도 A 원리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위해가 가해져 고통을 느끼지만 비명을 지르는 등 고통과 관련된 행동은 전혀 하지 않는 사람도 있기 때문이다. 가령 고통을 느끼지만 그것을 표현하지 않고 잘 참는 사람도 많지 않은가? 그런 사람들을 예외적인 사람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고통을 참는 것이 비정상적인 것은 아니다.
을: 고통을 참는 사람들이 있고 그런 사람들이 비정상적인 것은 아니라는 데는 나도 동의한다. 하지만 그러한 사람의 존재가 내가 얘기한 A 원리에 대한 반박 사례인 것은 아니다. |
위에서 살펴봤던 A 원리는 ((자극∧행동) → 고통)이고, A 원리에 대한 반박 논리는 ((자극∧행동) → ~고통)이었다. 전건이 참이라고 해도, 후건이 거짓이면 전체 명제는 거짓이 된다.
하지만 정은 A 원리에 대한 반박 사례로 ((자극∧~행동) → 고통)을 주장하고 있다. 이는 결론적으로 거짓이 아닌 참이다.
X | Y | X∧Y |
참 | 참 | 참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거짓 |
X∧Y와 같은 연언 논리의 경우 X, Y 모두가 참일 때 X∧Y 역시 참이 된다. 그 나머지 모두는 거짓이 된다.
A 원리는 ((자극∧행동) → 고통)인데 전건인 (자극∧행동)가 참이므로, ‘자극’, ‘행동’ 모두 참이 된다. ‘행동’이 참이라면 ‘~행동’은 거짓이 된다. 그러므로 (자극∧~행동)은 거짓이 된다.
X | Y | X → Y |
참 | 참 | 참 |
참 | 거짓 | 거짓 |
거짓 | 참 | 참 |
거짓 | 거짓 | 참 |
정이 A 원리의 반박 사례로 주장한 ((자극∧~행동) → 고통) 조건문의 전건은 거짓이 되고, 후건은 참이 된다. 조건문의 전건이 거짓이고, 후건은 참인 경우 조건문은 참이 된다. 즉 이 반박 사례는 A 원리의 반박 사례로 적절하지 않다.
그래서 을이 정이 주장한 사례가 자신이 얘기한 A 원리에 대한 반박 사례가 아니라고 말한 것이다.
결국 정리하면 ‘특정 자극에 따른 행동 Y가 발생’이 전건이 되고 ‘특정 심리 상태 X가 발생’이 후건이 된다. 이에 해당하는 것은 보기 ③번이 된다.
보기 ④, ⑤번의 경우 조건문 X → Y가 참일 때, 이것의 역인 Y → X도 참이 될 수 있다는 후건 긍정의 오류에 해당하므로 답이 될 수 없다.
정답은 ③번이다.
2019 5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9번 40번 해설 – 행복 만족 도덕성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8번 해설 – 물 대류 현상 용해기체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7번 해설 – 지구 공전 가설 지구중심설 프톨레마이오스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6번 해설 – 정격연주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5번 해설 – 이론 A 이론 B 선호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4번 해설 – 미래 업무적격성 재평가 가용 나윤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3번 해설 – 김 대리 내근 외근 미혼 연금 저축 명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2번 해설 – 진리 다원주의 최소주의자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1번 해설 – 단일환자방식 암호화 암호문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0번 해설 – 암석 화성 박테리아 자철석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9번 해설 – A 원리 고통 자극 행동 추론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8번 해설 – 게임 100만원 봉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7번 해설 – 동전 게임 규칙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6번 해설 – 대기오염 자연적 배출원 인위적 배출원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5번 해설 – 국회의원 선거법 후보자 기호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4번 해설 – 연금 제도 신탁 원리 수탁자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3번 해설 – 유교 예교 명교 강상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2번 해설 – 조선 농지 조세 답험손실법 답험 과전법 공법 1등전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1번 해설 – 정관헌 양관 경운궁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9번 20번 해설 – 곤충 유충 유충호르몬 탈피호르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8번 해설 – 쾌락주의자 욕구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7번 해설 – 원인으로 추정되는 요인 결과로 추정되는 질병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6번 해설 – 문화재 자연물 보호대상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5번 해설 – 미국 사학자 철도 건설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4번 해설 – 심리학과 임상심리학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3번 해설 – 가영 나영 다영 회의 논리퀴즈 문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2번 해설 – 프로젝트 하늘 가훈 나훈 다훈 라훈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1번 해설 – 도시철도 무인운전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0번 해설 – 신호물질 산화질소 표적세포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9번 해설 – 부재 인과 인과 관계 의존 관계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8번 해설 – 믿음의 문턱 믿음 태도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7번 해설 – 영국 자연철학자 존 미첼 빛 임계 둘레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6번 해설 – 과학적 이론 가설 발룽엔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5번 해설 – 미국 대통령 코커스 아이오와주 대의원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4번 해설 – 연준 금리 인하 부동산 주식 주가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번 해설 – 조선 설악산 대청봉 한계령 한계산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번 해설 – 조선 평문 형문 본형 태형 장형
- [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번 해설 – 조선왕조실록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 추론 문제
관련 문서
- 2019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