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0번 해설 – 신호물질 산화질소 표적세포

개요

다음은 2019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10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0. 다음 글에서 알 수 없는 것은?

생체에서 신호물질로 작용하는 것에는 기체 형태의 신호물질이 있다. 이 신호물질이 작용하는 표적세포는 신호물질을 만든 세포에 인접한 세포 중 신호물질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신호물질과 수용체의 결합은 표적세포의 구조적 상태를 변화시키고 결국 이 세포가 있는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한다.

대표적인 기체 형태의 신호물질인 산화질소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작용한다. 먼저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하는 자극이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이에 그 세포 안에 있는 산화질소 합성효소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산화질소 합성효소는 그 세포 내에 있는 아르기닌과 산소로부터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만들어진 산화질소는 인접한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세포 안에 있는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A 효소는 표적세포 안에서 cGMP를 생성하고, cGMP는 표적세포의 상태를 변하게 한다. 결국 표적세포의 구조적 상태가 변함에 따라 표적세포를 가지고 있는 조직의 상태가 변하게 된다.

혈관의 팽창은 산화질소에 의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생리적 현상이다. 혈관에서 혈액이 흐르는 공간은 내피세포로 이루어진 내피세포층이 감싸고 있다. 이 내피세포층의 바깥쪽은 혈관 평활근세포로 된 혈관 평활근육 조직이 감싸고 있다. 혈관이 팽창되기 위해 먼저 혈관의 내피세포는 혈관의 팽창을 유도하는 자극을 받는다. 이 내피세포에서는 산화질소가 만들어지고, 산화질소는 혈관 평활근세포에 작용하여 세포 내에서 cGMP를 생성한다. cGMP의 작용으로 수축되어 있던 혈관 평활근세포가 이완되고 결국에 혈관 평활근육 조직이 이완되면서 혈관이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산화질소의 기능 때문에 산화질소를 내피세포-이완인자라고도 한다.

① cGMP는 혈관 평활근육 조직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② 혈관의 내피세포는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다.

③ 혈관 평활근세포에서 A 효소가 활성화되면 혈관 팽창이 일어난다.

④ A 효소는 표적세포에서 아르기닌과 산소로부터 산화질소를 생성시킨다.

⑤ 혈관 평활근세포는 내피세포-이완인자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생체에서 신호물질로 작용하는 것에는 기체 형태의 신호물질이 있다. 이 신호물질이 작용하는 표적세포는 신호물질을 만든 세포에 인접한 세포 중 신호물질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신호물질과 수용체의 결합은 표적세포의 구조적 상태를 변화시키고 결국 이 세포가 있는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한다.
신호물질을 만든 세포 표적세포
신호물질 신호물질에 대한 수용체 존재

신호물질+수용체 결합

표적세포의 구조적 상태 변화

표적조직의 상태 변화

생리적 현상 유도

대표적인 기체 형태의 신호물질인 산화질소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해 작용한다. 먼저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하는 자극이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이에 그 세포 안에 있는 산화질소 합성효소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산화질소 합성효소는 그 세포 내에 있는 아르기닌과 산소로부터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만들어진 산화질소는 인접한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세포 안에 있는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A 효소는 표적세포 안에서 cGMP를 생성하고, cGMP는 표적세포의 상태를 변하게 한다. 결국 표적세포의 구조적 상태가 변함에 따라 표적세포를 가지고 있는 조직의 상태가 변하게 된다.
신호물질을 만든 세포 표적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존재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하는 자극 작용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화

신호물질 ‘산화질소’ 생성

산화질소+수용체 결합

‘A 효소’ 활성화

A 효소 → cGMP 생성

cGMP →

표적세포 구조적 상태 변화 →

표적세포 조직의 상태 변화

혈관의 팽창은 산화질소에 의해 일어나는 대표적인 생리적 현상이다. 혈관에서 혈액이 흐르는 공간은 내피세포로 이루어진 내피세포층이 감싸고 있다. 이 내피세포층의 바깥쪽은 혈관 평활근세포로 된 혈관 평활근육 조직이 감싸고 있다. 혈관이 팽창되기 위해 먼저 혈관의 내피세포는 혈관의 팽창을 유도하는 자극을 받는다. 이 내피세포에서는 산화질소가 만들어지고, 산화질소는 혈관 평활근세포에 작용하여 세포 내에서 cGMP를 생성한다. cGMP의 작용으로 수축되어 있던 혈관 평활근세포가 이완되고 결국에 혈관 평활근육 조직이 이완되면서 혈관이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산화질소의 기능 때문에 산화질소를 내피세포-이완인자라고도 한다.
혈관 내피세포 혈관 평활근세포
‘산화질소 합성효소’ 존재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하는 자극 작용

산화질소 합성효소 활성화

신호물질 ‘산화질소’ 생성

산화질소+수용체 결합

‘A 효소’ 활성화

A 효소 → cGMP 생성

cGMP →

표적세포 구조적 상태 변화 →

표적세포 조직의 상태 변화

 

① cGMP는 혈관 평활근육 조직의 상태를 변화시킨다.

cGMP의 작용으로 수축되어 있던 혈관 평활근세포가 이완되고 결국에 혈관 평활근육 조직이 이완되면서 혈관이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혈관의 내피세포는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다.

먼저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하는 자극이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이에 그 세포 안에 있는 산화질소 합성효소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산화질소 합성효소는 그 세포 내에 있는 아르기닌과 산소로부터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만들어진 산화질소는 인접한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세포 안에 있는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혈관이 팽창되기 위해 먼저 혈관의 내피세포는 혈관의 팽창을 유도하는 자극을 받는다. 이 내피세포에서는 산화질소가 만들어지고,

혈관의 내피세포는 혈관의 팽창을 유도하는 자극을 받아 혈관의 내피세포 안에 있는 산화질소 합성효소가 활성화된다. 이로 인해 산화질소가 만들어진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③ 혈관 평활근세포에서 A 효소가 활성화되면 혈관 팽창이 일어난다.

만들어진 산화질소는 인접한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세포 안에 있는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A 효소는 표적세포 안에서 cGMP를 생성하고, cGMP는 표적세포의 상태를 변하게 한다. 결국 표적세포의 구조적 상태가 변함에 따라 표적세포를 가지고 있는 조직의 상태가 변하게 된다.

산화질소는 혈관 평활근세포에 작용하여 세포 내에서 cGMP를 생성한다. cGMP의 작용으로 수축되어 있던 혈관 평활근세포가 이완되고 결국에 혈관 평활근육 조직이 이완되면서 혈관이 팽창하게 된다.

산화질소가 혈관 평활근세포에 작용하여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활성화된 A 효소는 표적세포 안에서 cGMP를 생성하고, cGMP의 작용으로 수축되어 있던 혈관 평활근세포가 이완되고 결국에 혈관 평활근육 조직이 이완되면서 혈관이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A 효소는 표적세포에서 아르기닌과 산소로부터 산화질소를 생성시킨다.

표적조직의 상태를 변화시켜 생리적 현상을 유도하는 자극이 ‘산화질소 합성효소’를 가지고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이에 그 세포 안에 있는 산화질소 합성효소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산화질소 합성효소는 그 세포 내에 있는 아르기닌과 산소로부터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을 일으킨다. 만들어진 산화질소는 인접한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세포 안에 있는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신호물질을 만드는 세포 안에서 활성화된 산화질소 합성효소가 그 세포 내에 있는 아르기닌과 산소로부터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을 일으켜 산화질소를 생성한다.

신호물질 산화질소는 인접한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세포 안에 있는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혈관 평활근세포는 내피세포-이완인자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산화질소는 인접한 표적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표적세포 안에 있는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산화질소의 기능 때문에 산화질소를 내피세포-이완인자라고도 한다.

산화질소는 내피세포-이완인자이다.

신화질소는 신호물질이고, 신호물질 산화질소는 표적세포가 되는 혈관 평활근세포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A 효소’를 활성화시킨다.

즉 혈관 평활근세포는 내피세포-이완인자인 산화질소에 대한 수용체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19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