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6번 해설 – 과학적 이론 가설 발룽엔

개요

다음은 2019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6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6. 다음 글의 ㉠에 들어갈 진술로 가장 적절한 것은?

흔히들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표현하는 엄밀한 물리학적 언어만을 과학의 언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는 이러한 물리학적 언어 외에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표현하는 일상적 언어도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표현하는 일상적 언어에는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표현하는 물리학적 언어와는 달리 매우 불명료하고 엄밀하게 정의될 수 없는 용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어떤 학자는 이러한 용어들을 ‘발룽엔’이라고 부른다.

이제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 발룽엔이 개입된다고 해보자. 이 경우 우리는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없게 될 것이다. 즉, 증거가 가설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는지 아니면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있는지에 관해 미결정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증거를 표현할 때 포함될 수밖에 없는 발룽엔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따라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발룽엔의 의미는 본질적으로 불명료할 수밖에 없다. 즉, 발룽엔을 아무리 상세하게 정의하더라도 그것의 의미를 정확하고 엄밀하게 규정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논리실증주의자들이나 포퍼는 증거와 가설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설을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증거와 가설이 상충하면 가설이 퇴출된다는 식의 생각은 너무 단순한 것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발룽엔의 존재를 염두에 둔다면, ‘㉠’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① 과학적 가설과 증거의 논리적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② 과학적 가설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배제해야 한다.

③ 과학적 가설을 검사하기 위한 증거를 표현할 때 발룽엔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④ 과학적 가설을 표현하는 데에도 발룽엔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⑤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과학적 가설과 증거의 논리적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

이제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 발룽엔이 개입된다고 해보자. 이 경우 우리는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없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증거를 표현할 때 포함될 수밖에 없는 발룽엔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따라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거와 가설이 상충하면 가설이 퇴출된다는 식의 생각은 너무 단순한 것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그런데 증거를 표현할 때 매우 불명료하고 엄밀하게 정의될수 없는 용어들인 발룽엔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 발룽엔이 개입된다면, 이 경우 우리는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발룽엔의 존재를 염두에 둔다면, ‘과학적 가설과 증거의 논리적 관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생각은 잘못된 것이다.’라고 결론지을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과학적 가설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배제해야 한다.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는 이러한 물리학적 언어 외에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표현하는 일상적 언어도 사용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표현하는 일상적 언어에는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표현하는 물리학적 언어와는 달리 매우 불명료하고 엄밀하게 정의될 수 없는 용어들이 포함되어 있다. 어떤 학자는 이러한 용어들을 ‘발룽엔’이라고 부른다.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는 이러한 물리학적 언어 외에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표현하는 일상적 언어도 사용될 수밖에 없다.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표현하는 일상적 언어에는 발룽엔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우리가 발룽엔의 존재를 염두에 둔다면 과학적 가설을 정확하게 검사하기 위해서 우리의 감각적 경험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과학적 가설을 검사하기 위한 증거를 표현할 때 발룽엔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제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 발룽엔이 개입된다고 해보자. 이 경우 우리는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없게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증거를 표현할 때 포함될 수밖에 없는 발룽엔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따라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증거와 가설이 상충하면 가설이 퇴출된다는 식의 생각은 너무 단순한 것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우리가 발룽엔의 존재를 염두에 둔다면,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 발룽엔이 개입된다. 그에 따라 증거를 표현할 때 발룽엔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가 발룽엔의 존재를 염두에 둔다면, 과학적 가설을 검사하기 위한 증거를 표현할 때 발룽엔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모순이 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과학적 가설을 표현하는 데에도 발룽엔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논리실증주의자들이나 포퍼는 증거와 가설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설을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증거와 가설이 상충하면 가설이 퇴출된다는 식의 생각은 너무 단순한 것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논리실증주의자들이나 포퍼는 증거와 가설 사이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가설을 정확히 검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과학적 이론이나 가설을 검사하는 과정에 발룽엔이 개입된다면, 증거를 표현할 때 포함될 수밖에 발룽엔으로 인해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과학적 가설을 표현하는 데에도 발룽엔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는 내용은 발룽엔으로 인해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없다는 결론의 도출을 위한 전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⑤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그 이유는 증거를 표현할 때 포함될 수밖에 없는 발룽엔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지에 따라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증거와 가설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판단을 위해서는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지만, 증거를 표현할 때 포함될 수밖에 없는 발룽엔으로 인해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나오게 되어 증거와 가설 사이의 논리적 관계가 무엇인지 결정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이 우리가 발룽엔의 존재를 염두에 두었을 때 도출되는 결론이다. 그러므로 증거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①번이다.

2019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