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25번 해설 – 물질 X 두 가설 증거관계 제1성질

개요

다음은 2022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25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25. 다음 글의 ㉠~㉤을 문맥에 맞게 수정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상의 물질 X에 대한 두 가설을 생각해 보자. 첫 번째는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며, 1,000°C 이상에서는 푸른빛을 낸다.’라는 가설이다. 두 번째는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며, 1,000°C 이상에서는 푸른빛을 내지 않는다.’라는 가설이다. ㉠ 이 두 가설은 동시에 참일 수는 없지만 동시에 거짓일 수는 있다. 이제 ‘X가 700°C에서 붉은빛을 낸다.’라는 사실이 관찰되었다고 하자. 이는 X에 대한 두 가설의 예측과 일치한다. 따라서 이 관찰 결과는 두 가설 모두에 긍정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하나의 관찰 결과가 서로 양립불가능한 가설 모두에 긍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는데, 증거관계의 이러한 특징을 ‘증거관계 제1성질’이라고 하자.

한편, 위의 첫 번째 가설은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거나 푸른빛을 내지 않는다.’라는 가설을 함축한다. 첫 번째 가설이 참일 때 이 가설 역시 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X가 700°C에서 붉은빛을 낸다.’라는 관찰 결과는 첫 번째 가설의 긍정적 증거이므로 이 가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증거가 된다. 이런 점에서 ‘어떤 관찰 결과가 가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 해당 가설이 함축하고 있는 다른 가설에도 긍정적인 증거이다.’라는 진술은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증거관계 제2성질’이라고 하자.

마지막으로 우리는 ‘어떤 관찰 결과가 가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그 가설이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증거이다.’라는 진술도 받아들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관찰 결과는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낸다.’라는 것의 긍정적인 증거이다. 그렇다면 그 관찰 결과가 ‘㉢ X1,000°C 미만의 어떤 온도에서는 붉은빛을 내지 않는다.’의 부정적인 증거인 것은 분명하다. 이런 특징을 ‘증거관계 제3성질’이라고 하자.

이 증거관계의 세 가지 성질은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이 성질들은 서로 충돌한다. 예를 들어, 가설 H1과 H2가 양립불가능하며, 관찰 결과 O가 가설 H1의 긍정적 증거라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 H2가 거짓이라는 것은 H1함축하기 때문에, 증거관계 제2성질에 의해서 O는 H2가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긍정적 증거가 된다. 그리고 증거관계 제3성질에 의해서 ㉤ OH2가 거짓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 증거일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증거관계 제1성질이 제3성질과 충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렇게 볼 때 위에서 언급한 증거관계의 세 성질이 동시에 성립할 수 없다고 결론 내려야 한다.

① ㉠을 “이 두 가설은 동시에 참일 수 없으며 동시에 거짓일 수도 없다”로 바꾼다.

② ㉡을 “해당 가설을 함축하고 있는 다른 가설에도 긍정적인”으로 바꾼다.

③ ㉢을 “X는 1,000°C 이상에서도 붉은빛을 낸다”로 바꾼다.

④ ㉣을 “H1은 H2가 거짓이라는 것을 함축”으로 바꾼다.

⑤ ㉤을 “O는 H2가 거짓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긍정적 증거일 수밖에 없게 된다”로 바꾼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을 “이 두 가설은 동시에 참일 수 없으며 동시에 거짓일 수도 없다”로 바꾼다.

첫 번째 가설은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며, 1,000°C 이상에서는 푸른빛을 낸다.’이다.

두 번째 가설은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며, 1,000°C 이상에서는 푸른빛을 내지 않는다.’이다.

‘1,000°C 이상에서는 푸른빛을 낸다.’와 ‘1,000°C 이상에서는 푸른빛을 내지 않는다.’는 양립불가능하기 때문에 동시에 참일 수 없다.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낸다.’는 실제로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동시에 거짓일 수는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을 “해당 가설을 함축하고 있는 다른 가설에도 긍정적인”으로 바꾼다.

위의 첫 번째 가설은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거나 푸른빛을 내지 않는다.’라는 가설을 함축한다. 첫 번째 가설이 참일 때 이 가설 역시 참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X가 700°C에서 붉은빛을 낸다.’라는 관찰 결과는 첫 번째 가설의 긍정적 증거이므로 이 가설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증거가 된다.

‘X가 700°C에서 붉은빛을 낸다.’라는 관찰 결과가 첫 번째 가설인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며, 1,000°C 이상에서는 푸른빛을 낸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첫 번째 가설이 함축하고 있는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내거나 푸른빛을 내지 않는다.’에도 긍정적인 증거이다.

따라서 ㉡의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③ ㉢을 “X는 1,000°C 이상에서도 붉은빛을 낸다”로 바꾼다.

우리는 ‘어떤 관찰 결과가 가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그 가설이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증거이다.’라는 진술도 받아들일 수 있다.

‘X가 700°C에서 붉은빛을 낸다.’라는 관찰 결과가 첫 번째 가설인 ‘X는 1,000°C 미만에서 붉은빛을 낸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X는 1,000°C 미만의 어떤 온도에서는 붉은빛을 내지 않는다.’에 대한 부정적인 증거이다.

따라서 ㉢의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④ ㉣을 “H1은 H2가 거짓이라는 것을 함축”으로 바꾼다.

이런 점에서 ‘어떤 관찰 결과가 가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해당 가설이 함축하고 있는 다른 가설에도 긍정적인 증거이다.’라는 진술은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증거관계 제2성질’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 H2가 거짓이라는 것은 H1함축하기 때문에, 증거관계 제2성질에 의해서 O는 H2가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긍정적 증거가 된다.

증거관계 제2성질에 따르면 ‘어떤 관찰 결과가 가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해당 가설이 함축하고 있는 다른 가설에도 긍정적인 증거이다.’

즉, 관찰 결과 O가 가설 H1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관찰 결과 O는 H1이 함축하고 있는 ‘H2가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긍정적 증거가 된다.

따라서 ㉣을 ‘H2가 거짓이라는 것은 H1을 함축’이 아닌 ‘H1은 H2가 거짓이라는 것을 함축’으로 바꾸어야 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을 “O는 H2가 거짓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긍정적 증거일 수밖에 없게 된다”로 바꾼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어떤 관찰 결과가 가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그 가설이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증거이다.’라는 진술도 받아들일 수 있다. 이런 특징을 ‘증거관계 제3성질’이라고 하자.

증거관계 제3성질에 의해서 ㉤ OH2가 거짓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 증거일 수밖에 없게 된다.

증거관계 제3성질에 따르면 ‘어떤 관찰 결과가 가설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그 관찰 결과는 그 가설이 거짓이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증거이다.’

즉, 관찰 결과 O가 ‘H2가 거짓이라는 것’의 긍정적인 증거라면, 관찰 결과 O는 ‘H2가 거짓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 증거가 된다.

따라서 ㉤의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 증거관계 제1성질이 제3성질과 충돌한다는 것은 관찰 결과 O가 서로 양립불가능한 가설 H1과 H2 모두에 긍정적인 증거가 될 수 있다는 제1성질과 관찰 결과 O는 ‘H2가 거짓이 아니라는 것’에 대한 부정적 증거가 된다는 제3성질이 모순된다는 것을 말한다.

 

정답은 ④번이다.

2022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