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4번 해설 – 봉수 정보 아궁이 부호화

개요

다음은 2022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4. 다음 글에서 알 수 없는 것은?

봉수란 낮에는 연기를, 밤에는 불빛을 이용하여 변경의 상황에 대한 정보를 중앙에 알렸던 우리나라의 옛 통신 수단이다. 아궁이 5개로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아궁이에 불을 지핌으로써 연기나 불빛을 만들어 먼 곳까지 신호를 보낸다. 봉수는 이렇게 송신 지점에서 정보를 물리적인 형태로 변환시켜 보내고, 수신 지점에서는 송신측에서 보낸 정보를 정해진 규약에 따라 복원해내는 통신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현대 디지털 통신과 유사한 점이 많다.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내려고 하는 정보를 송수신자가 합의한 일정한 규칙에 의거하여 부호로 변환시켜야 하는데, 이를 부호화 과정이라 한다. 디지털 통신에서는 정보를 불연속적인 신호 체계를 통해 보내기 때문에, 부호화는 표본화 및 이산화 두 단계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표본화는 정보에서 주요한 대목만을 추려내어 불연속적인 것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이산화란 표본화 과정을 거친 정보를 이진수 또는 자연수 등 불연속적 신호 체계에 대응시키는 과정이다. 이렇게 부호화된 정보는 또다시 전송 매체의 성질에 맞는 형태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변조라 한다.

봉수의 송신 체계도 이와 비슷한 과정을 거친다. 먼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위급한 정도에 따라 ‘아무 일도 없음’, ‘적이 출현했음’, ‘적이 국경에 다가오고 있음’, ‘국경을 넘었음’, ‘피아간에 전투가 벌어지고 있음’으로 표본화한다. 표본화 과정을 거친 5개의 정보는 위급한 순서에 따라 가장 덜 위급한 것부터 1, 2, 3, 4, 5의 수에 대응시켜 이산화한다. 그리고 봉수의 신호는 불빛이나 연기의 형태로 전송되므로 이산화된 수만큼 불을 지피는 것으로 변조한다.

봉수의 신호 체계에서는 표본화된 정보를 아궁이에 불을 지핀 숫자에 대응하는 자연수로 이산화했지만, 이산화하는 방법이 이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현대 디지털 통신 체계와 같이 이진 부호 체계를 도입하여 각각의 아궁이에 불을 지핀 경우를 1로, 지피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하여 이산화한다면 봉수에서도 원리상 5가지 이상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① 봉수의 신호 전송 체계에서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것은 변조 과정이다.

② 이산화 방법을 달리하면 봉수는 최대 10가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③ 봉수 신호의 부호화 규칙을 알지 못한다면 수신자는 올바른 정보를 복원할 수 없다.

④ 봉수대에서 변조된 신호의 형태는 낮과 밤이 다르다.

⑤ 봉수를 이용한 신호 전송에서, 연기가 두 곳에서 피어오른 봉수 신호는 ‘적이 출현했음’을 나타낸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봉수의 신호 전송 체계에서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것은 변조 과정이다.

부호화된 정보는 또다시 전송 매체의 성질에 맞는 형태로 바꾸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변조라 한다.

봉수의 신호는 불빛이나 연기의 형태로 전송되므로 이산화된 수만큼 불을 지피는 것으로 변조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② 이산화 방법을 달리하면 봉수는 최대 10가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현대 디지털 통신 체계와 같이 이진 부호 체계를 도입하여 각각의 아궁이에 불을 지핀 경우를 1로, 지피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하여 이산화한다면 봉수에서도 원리상 5가지 이상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봉수는 아궁이 5개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아궁이에 불을 지핀 경우를 1로, 지피지 않은 경우를 0으로 한다면 한 아궁이 당 두 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다. 따라서 5개의 아궁이로 총 2×2×2×2×2=32가지의 경우의 수가 가능하다. 이진수로 표현하면 00000부터 11111까지 32가지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봉수 신호의 부호화 규칙을 알지 못한다면 수신자는 올바른 정보를 복원할 수 없다.

봉수는 이렇게 송신 지점에서 정보를 물리적인 형태로 변환시켜 보내고, 수신 지점에서는 송신측에서 보낸 정보를 정해진 규약에 따라 복원해내는 통신 방식이다.

정해진 규약을 알지 못한다면 수신자는 정보를 복원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④ 봉수대에서 변조된 신호의 형태는 낮과 밤이 다르다.

아궁이 5개로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아궁이에 불을 지핌으로써 연기나 불빛을 만들어 먼 곳까지 신호를 보낸다.

낮에는 연기를 만들고, 밤에는 불빛을 만들어 먼 곳까지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봉수를 이용한 신호 전송에서, 연기가 두 곳에서 피어오른 봉수 신호는 ‘적이 출현했음’을 나타낸다.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위급한 정도에 따라 ‘아무 일도 없음’, ‘적이 출현했음’, ‘적이 국경에 다가오고 있음’, ‘국경을 넘었음’, ‘피아간에 전투가 벌어지고 있음’으로 표본화한다. 표본화 과정을 거친 5개의 정보는 위급한 순서에 따라 가장 덜 위급한 것부터 1, 2, 3, 4, 5의 수에 대응시켜 이산화한다.

가장 덜 위급한 것부터 1, 2, 3, 4, 5의 수에 대응하기 때문에 ‘적이 출현했음’은 2에 해당한다. 연기가 두 곳에서 피어오른 봉수 신호는 ‘적이 출현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②번이다.

2022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