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9번 40번 해설 – 환원 개념 과학 이론 통일 진보 상부 하부 도출 강화 약화 문제

개요

다음은 2022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39번, 40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문 39.~문 40.]

갑은 ㉠ 환원 개념을 통해 과학 이론들의 통일과 진보를 설명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그에 따르면, 이론 S1이 이론 S2로 환원된다는 것은 S1을 구성하는 모든 법칙을 S2를 구성하는 법칙들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 가능성이란 환원되는 이론 S1의 법칙들이 환원하는 이론 S2의 법칙들로부터 연역적으로 도출될 수 있어야 한다는 도출 가능성을 의미한다.

연역적 도출로서의 환원은 과학 이론들의 통일에 대해 설득력 있는 그림을 제공한다. 통일 과학을 구성하는 다양한 과학 분야들은 층위를 달리하는 계층 질서를 형성하게 되고, 이 계층 질서의 위쪽에 있는 상부 과학은 기저 역할을 하는 하부 과학으로 환원된다. 즉, (가) 과학의 법칙들로부터 (나) 과학의 법칙들이 연역적으로 도출되는 것이다. 연역적 도출이라는 관계를 부분과 전체의 관계로 이해하면, 전체에서 부분이 도출되어야 하므로 (다) 과학은 (라) 과학의 부분이 된다. 또한 이런 그림을 시차를 두고 등장한 과학 이론들에 적용함으로써 과학의 진보를 설명할 수도 있다. 역사 속의 선행 이론과 후행 이론 사이에 연역적 도출로서의 환원 관계가 성립함으로써 과학 변동의 형태가 선행 이론이 후행 이론에 포함되는 관계를 드러낼 때, 그것을 과학의 진보라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환원되는 이론 S1과 환원하는 이론 S2 사이에 일부 공유되지 않는 이론적 어휘가 있어서 온전한 포함관계가 성립할 수 없어 보이는 경우도 이런 환원 개념을 적용할 수 있을까? 갑은 그런 경우에는 (마)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바)에서는 사용하는 용어를 연결해 주는 소위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고전역학을 양자역학으로 환원할 때, 양자역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고전역학 용어인 ‘입자’를 양자역학에서 사용하는 ‘양자 파동함수’라는 용어로 바꾸어주는 가교 역할로서 ‘입자란 양자 파동함수가 뭉쳐 있는 상태이다.’라는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을은 ㉡ 위와 같은 환원 개념으로는 과학의 통일과 진보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그에 따르면, 갑처럼 어떤 이론을 다른 이론으로 환원한다고 할 때 후자의 법칙으로부터 전자의 법칙을 연역적으로 도출해 낸 결과물이 전자의 법칙과 같아 보이지만, 실은 결코 같을 수가 없다. 연역적 도출은 단지 형식 논리에 따른 계산의 결과물일 뿐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뉴턴 역학의 법칙에서 갈릴레오의 자유 낙하 운동 법칙이 연역적으로 도출된다고 하더라도 그 둘이 같은 것은 아니다. 갈릴레오의 자유 낙하 운동 법칙에서는 가속도가 일정하다고 간주하지만, 뉴턴 역학의 법칙으로부터 도출되는 자유 낙하 운동 법칙에서는 낙하 과정에서 가속도가 미세하나마 꾸준히 변화하는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두 법칙에 따른 계산 결과의 차이가 측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미세하다 할지라도 두 법칙의 개념적 내용은 엄연히 다른 것이다.

을에 따르면, 교량 원리에도 마찬가지 문제가 있다. ‘입자란 양자 파동함수가 뭉쳐 있는 상태이다.’와 같은 모범적인 교량 원리가 제시되더라도, 고전역학의 입자 개념과 양자 파동함수가 뭉쳐 있는 상태로 정의되는 입자 개념이 결코 동일시될 수 없다는 것이다. 심지어 두 이론이 공유하는 용어들도 저마다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전역학과 상대성이론은 ‘질량’이라는 용어를 공유하지만, 질량은 고전역학에서는 각 물체가 지닌 고유한 상수인 반면, 상대성이론에서는 물체의 운동에 따라 바뀌는 변수이기 때문이다.

 

문 39. 위 글의 (가)~(바)에 들어갈 말을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 () () () ()
하부 상부 상부 하부 S1 S2
하부 상부 하부 상부 S1 S2
상부 하부 하부 상부 S1 S2
하부 상부 상부 하부 S2 S1
상부 하부 하부 상부 S2 S1

 

문 40. 위 글의 ㉠과 ㉡에 대한 평가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보 기>
ㄱ. 두 이론 사이에 연역적 도출을 통한 환원 관계가 성립했다는 판단은 그 두 이론이 공유하는 용어들의 개념적 내용이 같다는 것을 함축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강화되고 ㉡은 약화된다.

ㄴ. 뉴턴 역학에는 중세 운동 이론에 등장하는 ‘임페투스’라는 용어를 연결할 수 있는 원리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후행 이론인 뉴턴 역학을 선행 이론인 중세 운동 이론으로부터의 과학적 진보로 평가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약화되고 ㉡은 강화된다.

ㄷ. 원래는 별개의 영역을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두 이론이 나중에 교량 원리를 이용한 제3의 이론으로부터 둘 다 연역적으로 도출됨으로써 그 세 이론 사이에 포함 관계를 형성하게 된 역사적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강화되고 ㉡은 약화된다.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39번 문제 해설

이론 S1이 이론 S2로 환원된다는 것은 S1을 구성하는 모든 법칙을 S2를 구성하는 법칙들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 가능성이란 환원되는 이론 S1의 법칙들이 환원하는 이론 S2의 법칙들로부터 연역적으로 도출될 수 있어야 한다는 도출 가능성을 의미한다.

통일 과학을 구성하는 다양한 과학 분야들은 층위를 달리하는 계층 질서를 형성하게 되고, 이 계층 질서의 위쪽에 있는 상부 과학은 기저 역할을 하는 하부 과학으로 환원된다. 즉, (가) 과학의 법칙들로부터 (나) 과학의 법칙들이 연역적으로 도출되는 것이다.

환원되는 이론 = 상부 과학 = 도출된다

환원하는 이론 = 하부 과학

(나) 과학 = 도출된다 = 상부 과학

(가) 과학 = 하부 과학

따라서 (가)는 하부, (나)는 상부가 된다.

연역적 도출이라는 관계를 부분과 전체의 관계로 이해하면, 전체에서 부분이 도출되어야 하므로 (다) 과학은 (라) 과학의 부분이 된다.

부분 = 도출된다 = 상부 과학

전체 = 하부 과학

(다) = 부분 = 상부 과학

(라) = 전체 = 하부 과학

따라서 (다)는 상부, (라)는 하부가 된다.

 

환원되는 이론 S1환원하는 이론 S2 사이에 일부 공유되지 않는 이론적 어휘가 있어서 온전한 포함관계가 성립할 수 없어 보이는 경우도 이런 환원 개념을 적용할 수 있을까? 갑은 그런 경우에는 (마)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바)에서는 사용하는 용어를 연결해 주는 소위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고전역학을 양자역학으로 환원할 때, 양자역학에서 사용하지 않는 고전역학 용어인 ‘입자’를 양자역학에서 사용하는 ‘양자 파동함수’라는 용어로 바꾸어주는 가교 역할로서 ‘입자란 양자 파동함수가 뭉쳐 있는 상태이다.’라는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된다는 것이다.

(마)에서 사용하지 않는 용어 = 양자역학 = 양자 파동함수 = 환원하다 = S2 = 하부 과학

(바)에서 사용하는 용어 = 고전역학  = 입자 = 환원된다 = S1 = 상부 과학

(마)는 S2, (바)는 S1이 된다.

 

정답은 ④번이다.

40번 문제 해설

ㄱ. 두 이론 사이에 연역적 도출을 통한 환원 관계가 성립했다는 판단은 그 두 이론이 공유하는 용어들의 개념적 내용이 같다는 것을 함축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강화되고 ㉡은 약화된다.

갑은 환원되는 이론 S1의 법칙들이 환원하는 이론 S2의 법칙들로부터 연역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고 본다.

환원되는 이론 S1과 환원하는 이론 S2 사이에 일부 공유되지 않는 이론적 어휘가 있어서 온전한 포함관계가 성립할 수 없어 보이는 경우 S2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S1에서는 사용하는 용어를 연결해 주는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된다고 주장한다.

반면, 을은 갑이 주장하는 환원 개념으로는 과학의 통일과 진보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특히 갑이 주장하는 ‘교량 원리’에 대해서도 환원되는 이론 S1에서 사용한 용어 개념이 환원하는 이론 S2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념과 동일시 될 수 없으며, 두 이론이 공유하는 용어들도 저마다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두 이론 사이에 연역적 도출을 통한 환원 관계가 성립했다는 판단은 그 두 이론이 공유하는 용어들의 개념적 내용이 같다는 것을 함축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강화되고 ㉡은 약화된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뉴턴 역학에는 중세 운동 이론에 등장하는 ‘임페투스’라는 용어를 연결할 수 있는 원리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후행 이론인 뉴턴 역학을 선행 이론인 중세 운동 이론으로부터의 과학적 진보로 평가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약화되고 ㉡은 강화된다.

갑은 환원되는 선행 이론과 환원하는 후행 이론 사이에 일부 공유되지 않는 이론적 어휘가 있어서 온전한 포함관계가 성립할 수 없어 보이는 경우에, 후행 이론에서는 사용하지 않지만 선행 이론에서는 사용하는 용어를 연결해 주는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환원 개념을 통해서도 과학 이론들의 진보를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즉 교량 원리를 도입하지 않는다면 선행 이론과 후행 이론 사이에 온전한 포함관계가 성립할 수 없어 과학 이론들의 진보를 설명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반면 을은 갑이 주장하는 ‘교량 원리’를 포함하는 환원 개념으로는 과학의 진보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따라서 뉴턴 역학에는 중세 운동 이론에 등장하는 ‘임페투스’라는 용어를 연결할 수 있는 원리가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후행 이론인 뉴턴 역학을 선행 이론인 중세 운동 이론으로부터의 과학적 진보로 평가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약화되고 ㉡은 강화된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ㄷ. 원래는 별개의 영역을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두 이론이 나중에 교량 원리를 이용한 제3의 이론으로부터 둘 다 연역적으로 도출됨으로써 그 세 이론 사이에 포함 관계를 형성하게 된 역사적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는 주장이 받아들여지면, ㉠은 강화되고 ㉡은 약화된다.

원래는 별개의 영역을 다루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두 이론을 각각 A, B이라고 하고, 제3의 이론을 S라고 하자.

A 교량 원리 S
B 교량 원리 S

A, B 각각이 교량 원리를 이용해 제3의 이론 S로부터 둘 다 각각 연역적으로 도출됨으로써 A와 S, B와 S 각각 포함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면, ㉠은 강화될 것이다.

하지만 A와 B 서로는 환원 개념을 통해 어느 한쪽으로 도출되지 않았다. 이 경우 A와 B를 포함한 세 이론 사이에 포함 관계가 형성된다고 해도, ㉠은 강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③번이다.

2022 5급 PSAT 언어논리

련 문서

“[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39번 40번 해설 – 환원 개념 과학 이론 통일 진보 상부 하부 도출 강화 약화 문제”의 4개의 생각

  1. 안녕하세요 선생님

    40번 문제 ‘ㄴ’ 보기 질문드립니다.

    ‘ㄴ’에서 교량원리가 존재하지 않아도 후행이론을 선행이론으로부터 설명가능하다고 제시되어있는데요.

    근데 제가 개인적으로 생각하기에는 지문3문단에서 ㄱ의 주장이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환원 개념을 적용시킬 수 있다.’ 라고 주장을 했는데요

    근데 교량원리가 없어도 후행이론인 뉴턴 역학을 선행 이론인 중세 운동 이론으로부터의 과학적 진보로 평가한다는 주장을 받아들인다에 대한 직접적인 부정을 안하니

    그냥 ㄱ의 주장은 약화된다가 아니라 강화도 약화도 되지 않는다라고 바꾸면 안되나요?

    감사합니다.

    1. 선생님의 의견에 충분히 공감합니다.

      하지만 갑은 환원되는 이론 S1과 환원하는 이론 S2 사이에 일부 공유되지 않는 이론적 어휘가 있어서 온전한 포함관계가 성립할 수 없어 보이는 경우에 교량 원리를 도입하면 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즉 교량 원리를 도입하지 않는다면, 이론 S1과 이론 S2가 온전한 포함관계가 성립하지 않아 과학 이론들의 통일과 진보를 설명할 수 없다고 보는 게 갑의 주장입니다.

      따라서 보기 ㄴ의 경우에 갑의 주장이 약화됩니다.

      감사합니다.

  2. 안녕하세요 선생님

    선생님이 올려주신 해설지 ‘ㄷ’ 일부 내용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당

    ‘하지만 A와 B 서로는 환원 개념을 통해 어느 한쪽으로 도출되지 않았다.’ 이게 무슨 의미인가요?

    감사합니다.

    1. A가 B로부터 도출되거나, B가 A로부터 도출되지 않았다는 것을 뜻합니다.

      그러므로 A와 B의 포함 관계를 알 수 없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