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22 5급 언어논리 나책형 13번 해설 – 철학자 참 거짓 문장 무신론자 불가지론자

개요

다음은 2022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나책형 13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13. 다음 글의 <논증>에 대한 분석으로 적절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철학자 A에 따르면, “오늘 비가 온다.”와 같이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문장만 의미가 있다. A는 이러한 문장과 달리 신의 존재에 대한 문장은 진위를 판단할 수 없고 따라서 무의미하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무신론자도 불가지론자도 아니라고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된 A의 논증이다.

<논 증>

무신론자에 따르면 ㉠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참이다. 불가지론자는 신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없다고 말한다. 무신론자의 견해는 신의 존재를 주장하는 문장이 무의미하다는 것과 양립할 수 없다. ㉡ 신이 존재한다.”가 무의미하다면,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도 마찬가지로 무의미하다. 그 이유는 ㉢ 의미가 있는 문장이어야만 그 문장의 부정문도 의미가 있다는 것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이 존재한다.”가 무의미하다면,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참이라는 무신론자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한편 불가지론자는 ㉣ 신이 존재한다.”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신이 존재한다.”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불가지론자의 주장도 “신이 존재한다.”가 무의미하다는 것과 양립할 수 없다.

<보 기>
ㄱ. ㉡과 ㉢으로부터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무의미하다는 것이 도출된다.

ㄴ. ㉡의 부정으로부터 ㉠과 ㉣ 중 적어도 하나가 도출된다.

ㄷ. “의미가 없는 문장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라는 전제가 추가되면 ㉡으로부터 ㉣이 도출된다.

① ㄴ

② ㄷ

③ ㄱ, ㄴ

④ ㄱ,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ㄱ. ㉡과 ㉢으로부터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무의미하다는 것이 도출된다.

㉡: “신이 존재한다.”가 무의미하다.

㉢: 의미가 있는 문장이어야만 그 문장의 부정문도 의미가 있다.

㉢에 따르면 ㉡ “신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없는 문장이기 때문에 이것의 부정문인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 역시 의미가 없다.

따라서 ㉡과 ㉢으로부터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무의미하다는 것이 도출된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ㄴ. ㉡의 부정으로부터 ㉠과 ㉣ 중 적어도 하나가 도출된다.

철학자 A에 따르면, “오늘 비가 온다.”와 같이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문장만 의미가 있다.

A에 따르면 ‘의미 있는 문장 →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문장’이다.

*참고: A인 경우에만 B이다 ⇔ B이면 A이다.

㉡의 부정은 ‘“신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있다’이다.

“신이 존재한다.”라는 문장이 의미가 있다면, 이 문장은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문장이다.

의미가 있는 문장이어야만 그 문장의 부정문도 의미가 있다.

“신이 존재한다.”라는 문장이 의미가 있는 경우에만 이 문장의 부정문인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문장 역시 의미가 있다.

㉠은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참이다.’이다.

“신이 존재한다.”는 문장이 의미가 있다고 해서 그 문장의 부정문인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가 참이라고 도출되지 않는다. 단지 “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장이 의미가 있고,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는 문장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는 철학자 A의 주장이다.

그리고 ㉣은 ‘“신이 존재한다.”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이다.

“신이 존재한다.”는 문장이 의미가 있다면 “신이 존재한다.”는 문장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하지만 ㉣에선 ‘“신이 존재한다.”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고 말하고 있으므로 ㉣ 역시 도출할 수 없다.

불가지론자는 ㉣ 신이 존재한다.”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 주장은 “신이 존재한다.”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신이 존재한다.”가 의미가 있다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는 것은 철학자 A가 아닌 불가지론자의 주장이다. 철학자 A의 논증에 따라서 답을 찾아야 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ㄷ. “의미가 없는 문장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라는 전제가 추가되면 ㉡으로부터 ㉣이 도출된다.

전제1: 의미가 없는 문장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

전제2: ㉡ “신이 존재한다.”가 무의미하다.

결론: “신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없는 문장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

㉣: “신이 존재한다.”가 참인지 거짓인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정답은 ④번이다.

2022 5급 PSAT 언어논리

PSAT 논리 구조 문제

2022 5급 PSAT

5급 PSAT 언어논리

5급 PSAT

PSAT 언어논리

공무원 PSAT 기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