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AT 기출] 2019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1번 해설 – 단일환자방식 암호화 암호문

개요

다음은 2019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31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문 31. 다음 글의 문맥에 맞지 않는 곳을 ㉠~㉤에서 찾아 수정하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단일환자방식’은 숫자가 아닌 문자를 암호화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이는 문장에 사용된 문자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일대일 대응으로 재배열하여 문장을 암호화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철수가 이 방법에 따라 영어 문장 ‘I LOVE YOU’를 암호화하여 암호문으로 만든다고 해보자. 철수는 먼저 알파벳을 일대일 대응으로 재배열하는 규칙을 정하고, 그 규칙에 따라 ‘I LOVE YOU’를 ‘Q RPDA LPX’와 같이 암호화하게 될 것이다. 이때 철수가 사용한 규칙에는 ㉠ ‘IQ변경한다’, ‘LR로 변경한다 등이 포함되어 있는 셈이다.

우리가 단일환자방식에 따라 암호화한 영어 문장을 접한다고 해보자. 그 암호문을 어떻게 해독할 수 있을까? ㉡ 우리가 그 암호문에 단일환자방식의 암호화 규칙이 적용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문제가 쉽게 해결될 수도 있다. 알파벳의 사용 빈도를 파악하여 일대일 대응의 암호화 규칙을 추론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통계 자료를 통해 영어에서 사용되는 알파벳의 사용 빈도를 조사해 보니 E가 12.51%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그 다음 빈도는 T, A, O, I, N, S, R, H의 순서라는 것이 밝혀졌다고 하자. ㉢ 물론 이러한 통계 자료를 확보했다고 해도 암호문이 한두 개 밖에 없다면 암호화 규칙을 추론하기는 힘들 것이다. 그러나 암호문을 많이 확보하면 할수록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이제 누군가가 어떤 영자 신문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문장을 단일환자방식의 암호화 규칙 α에 따라 암호문들로 만들었다고 해보자. 그 신문 전체에 사용된 알파벳 수는 충분히 많기 때문에 우리는 암호문들에 나타난 알파벳 빈도의 순서에 근거하여 규칙 α가 무엇인지 추론할 수 있다. ㉣ 만일 규칙 α앞서 예로 든 철수가 사용한 규칙과 동일하다면, 암호문들에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은 E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그런데 조사 결과 암호문들에는 영어 알파벳 26자가 모두 사용되었는데 그중 W가 25,021자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이후의 빈도는 P, F, C, H, Q, T, N의 순서라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우리는 철수가 정한 규칙은 규칙 α가 아니라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규칙 α에 대해 추론하면서 암호문들을 해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 암호문 ‘H FPW HP’‘I ATE IT’암호화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① ㉠을 ‘‘Q를 I로 변경한다’, ‘R을 L로 변경한다’’로 수정한다.

② ㉡을 ‘우리가 그 암호문에 단일환자방식의 암호화 규칙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해도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다’로 수정한다.

③ ㉢을 ‘이러한 통계 자료를 확보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암호화 규칙을 추론할 수 있게 될 것이다’로 수정한다.

④ ㉣을 ‘만일 규칙 α가 앞서 철수가 사용한 규칙과 동일하다면, 암호문들에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은 A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로 수정한다.

⑤ ㉤을 ‘암호문 ‘I ATE IT’는 ‘H FPW HP’를 암호화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로 수정한다.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① ㉠을 ‘‘Q를 I로 변경한다’, ‘R을 L로 변경한다’’로 수정한다.

‘I LOVE YOU’를 ‘Q RPDA LPX’와 같이 암호화하게 될 것이다. 이때 철수가 사용한 규칙에는 ㉠ ‘IQ변경한다’, ‘LR로 변경한다 등이 포함되어 있는 셈이다.

I LOVE YOU’의 I는 ‘Q RPDA LPX’의 Q와 대응된다.

‘I LOVE YOU’의 L는 ‘Q RPDA LPX’의 R과 대응된다.

‘I LOVE YOU’를 ‘Q RPDA LPX’로 암호화하는 과정이다. 보기의 내용은 암호화의 반대인 복호화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② ㉡을 ‘우리가 그 암호문에 단일환자방식의 암호화 규칙이 적용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 해도 문제는 쉽게 해결될 수 있다’로 수정한다.

㉡ 바로 앞에서 단일환자방식에 따라 암호화한 영어 문장의 해독 방법에 대해 질문을 했고, ㉡ 바로 뒤에서는 단일환자방식의 특성에 따라 암호화 규칙을 추론해낼 수 있다고 했다.

㉡이 보기와 같은 내용으로 수정된다면 앞뒤 문장과 호응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③ ㉢을 ‘이러한 통계 자료를 확보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암호화 규칙을 추론할 수 있게 될 것이다’로 수정한다.

㉢ 바로 뒤에서 ‘그러나’라는 역접 접속사와 함께 암호문을 많이 확보하면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했으므로 이와 상반되는 내용이 ㉢에 와야 한다.

그러므로 ㉢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④ ㉣을 ‘만일 규칙 α가 앞서 철수가 사용한 규칙과 동일하다면, 암호문들에 가장 많이 사용된 알파벳은 A일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로 수정한다.

영어에서 사용되는 알파벳의 사용 빈도 조사에서 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만일 규칙 α가 앞서 철수가 사용한 규칙과 동일하다면, ‘I LOVE YOU’는 ‘Q RPDA LPX’로 암호화된다. 철수가 사용한 규칙 α에 따르면 E는 A와 대응된다. 즉 규칙 α에 따른 알파벳 E의 암호문의 알파벳은 A가 된다.

그러므로 ㉣을 보기의 내용으로 수정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⑤ ㉤을 ‘암호문 ‘I ATE IT’는 ‘H FPW HP’를 암호화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로 수정한다.

‘암호문 ‘H FPW HP’는 ‘I ATE IT’를 암호화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다’가 올바른 내용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지 않다.

 

정답은 ④번이다.

2019 5급 PSAT 언어논리

관련 문서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