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다음은 2023년 국가공무원 5급 언어논리영역 가책형 34번 문제 해설이다.
문제
34. 다음 글의 내용이 참일 때 반드시 참인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부서에서 검토 중인 과제를 여섯 개의 범주, ‘중점 추진 과제’,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 ‘장기 시행 과제’,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로 나누어 검토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중점 추진 과제 가운데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는 없지만 장기 시행 과제는 있다. ○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는 없다. ○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가 있다. ○ 장기 시행 과제 가운데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는 모두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이다. ○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는 없다. |
<보 기> |
ㄱ. 장기 시행 과제이면서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 가운데는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가 없다.
ㄴ. 인력 재배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과제가 있다. ㄷ. 장기 시행 과제가 아니면서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가 있다. |
① ㄱ
② ㄷ
③ ㄱ, ㄴ
④ ㄴ, ㄷ
⑤ ㄱ, ㄴ, ㄷ
출처: 사이버국가고시센터
문제 해설
조건들을 벤다이어그램을 통해 도식화한다.
○ 중점 추진 과제 가운데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는 없지만 장기 시행 과제는 있다. |
중점 추진 과제 가운데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는 없다는 것은 교집합 부분을 회색으로 음영처리한다. 교집합 부분이 비어있다는 뜻이다.
중점 추진 과제 가운데 장기 시행 과제가 있다는 것은 X 표시를 하였다.
○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가 있다.
○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는 없다. |
○ 장기 시행 과제 가운데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는 모두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이다. |
장기 시행 과제 가운데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는 모두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이므로 장기 시행 과제이면서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이다. 이를 민트색 영역으로 표시했다.
또한 중점 추진 과제 가운데 장기 시행 과제인 과제(왼쪽 검은색 X)는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가 될 수 없으므로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에 포함된다.
○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는 없다. |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는 없으므로 두 과제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영역을 회색으로 음영처리했다. 이 영역은 비어있다는 뜻이다.
또는
○ 중점 추진 과제 가운데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는 없지만 장기 시행 과제는 있다. |
~(중점 ∧ 인력 재배치) ≡ (~중점 ∨ ~인력 재배치)
(중점 ∧ 장기)
○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는 없다. |
~(타부서 ∧ 즉각) ≡ (~타부서 ∨ ~즉각)
○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가 있다. |
(예산 ∧ 즉각)
○ 장기 시행 과제 가운데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는 모두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이다. |
(장기 ∧ ~타 부서) → 인력 재배치
대우: ~인력 재배치 → ~(장기 ∧ ~타 부서)
≡ ~인력 재배치 → (~장기 ∨ 타 부서)
○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는 없다. |
~(인력 재배치 ∧ 예산)
≡ (~인력 재배치 ∨ ~예산)
ㄱ. 장기 시행 과제이면서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 가운데는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가 없다.
장기 시행 과제이면서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는 A영역에 있다. A영역은 인력 재배치가 필요한 과제 영역이 되고, 이 영역에는 예산이 필요한 과제가 없다. A영역과 B영역은 겹칠 수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또는
보기의 내용은 ~[(장기 ∧ 즉각) ∧ 예산]과 같다.
위에서 살펴본 전제들이 참이고, 결론인 보기의 내용이 거짓인 경우가 있다면, 이 논증은 타당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결론인 보기가 거짓이라고 가정하고 논증을 검증한다.
보기가 거짓이라고 가정한다면, [(장기 ∧ 즉각) ∧ 예산]는 참이 된다. 즉, 장기, 즉각, 예산은 모두 참이 된다고 가정한다.
|
중점과 장기가 참이므로 ~중점은 거짓이 되고, ~인력 재배치는 참이 된다.
|
~인력 재배치가 참이라면, ~장기 또는 타 부서가 참이 된다. 장기가 참이므로, ~장기는 거짓이 되고, 타 부서가 참이 된다.
|
타 부서가 참이기 때문에 ~타 부서는 거짓이 되고, ~즉각이 거짓이다.
그런데 즉각이 참이라고 가정했기 때문에 모순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원래 보기인 ~[(장기 ∧ 즉각) ∧ 예산]이 참이 된다.
ㄴ. 인력 재배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과제가 있다.
인력 재배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를 빨간색 X라고 하자. 이는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 타 부서와 협의가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는 없으므로 빨간색 X와 빨간색 A는 겹칠 수가 없다.
그러므로 인력 재배치가 필요하지 않은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과제가 있다.
보기의 내용은 옳다.
또는
보기의 내용은 (~인력 재배치 ∧ ~즉각)이다. 이것이 거짓이라면 (인력 재배치 ∨ 즉각)이 참이 된다.
|
인력 재배치가 참이라면, ~예산이 참이 된다.
하지만 예산도 참이므로 모순이 발생한다.
|
반대로 즉각이 참이라면, 예산도 참이기 때문에 ~인력 재배치가 참이 된다.
~인력 재배치가 참이라면 ~장기 또는 타 부서가 참이 된다.
장기는 참이기 때문에 타 부서가 참이 된다면, ~즉각이 참이 된다.
즉각과 ~즉각 모두가 참이라면 모순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원래 보기인 (~인력 재배치 ∧ ~즉각)이 참이 된다.
ㄷ. 장기 시행 과제가 아니면서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가 있다.
빨간색 X 영역이 장기 시행 과제가 아니면서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기의 내용은 옳다.
또는
보기의 내용은 (~장기 ∧ 예산)이다. 이것이 거짓이라면, ~(~장기 ∧ 예산)이 참이 된다.
|
|
장기가 참이라면, 중점도 참이므로, ~인력 재배치가 참이 된다.
~인력 재배치가 참이라면, 장기가 참이기 때문에, 타 부서가 참이 된다.
타 부서가 참이라면 ~즉각이 참이 된다.
하지만 즉각이 참이므로 모순이 발생한다.
|
~예산이 참이라면, 예산도 참이기 때문에 모순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원래 보기의 내용이 참이 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정언명제 벤다이어그램 참조.
정답은 ⑤번이다.
2023 5급 PSAT 언어논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9번 40번 해설 – 외계인 지구인 이론 의사소통 명제 논리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8번 해설 – 기술 비버 인공물 댐 부자연스러움 정언명제 강화 약화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7번 해설 – 조건문 참 거짓 명제 진릿값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6번 해설 – 광센서 전자 열적 현상 양자 현상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5번 해설 – 곰 탄수화물 지방 젖산 TG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4번 해설 – 중점 추진 과제 정언 논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3번 해설 – 사무관 배치 환경부 통일부 교육부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2번 해설 – 상사 쌍살벌 박쥐 영장류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1번 해설 – 자율적 군사로봇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0번 해설 – 농지개혁법 보상률 상환율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9번 해설 – 정치적 외부비용 신정치경제학자 과반수 다수결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8번 해설 – 앎 명제 민감성 조건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7번 해설 – 축의 시대 현자 종교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6번 해설 – 시계 시간 마음 시간 이미지 처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5번 해설 – 곡류 도토리 참나무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4번 해설 – 프라이버시권 저작권 퍼블리시티권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3번 해설 – 외부효과 내부화 시장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2번 해설 – 고구려 수 요하 양제 살수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1번 해설 – 이성계 이방원 2군6위 절제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9번 20번 해설 – 절대적 개념 평평함 지식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8번 해설 – 유전자 질병 강화 약화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7번 해설 – 유행 취향 기호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6번 해설 – 배치 원칙 갑순 을돌 논리퀴즈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5번 해설 – 사무관 UN 파견 논리 구조 명제 논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4번 해설 – 수면 렘수면 비렘수면 서파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3번 해설 – 거시 세계 미시 구슬 전자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2번 해설 – 500원 동전 X 파란불 추론 문제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1번 해설 – 기본소득 원칙 현금 지급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0번 해설 – 야스퍼스 전범자 책임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9번 해설 – 영화 사운드 인 음향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8번 해설 – 퍼텐셜 에너지 핵 전자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7번 해설 – 몬테카를로 방법 원 넓이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6번 해설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5번 해설 – 진실 탈진실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4번 해설 – 어휘 라틴어 차용 바이킹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3번 해설 – 쿠텐베르크 금속활자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2번 해설 – 승정원 원상 세조 예종 성종
- [PSAT 기출] 2023 5급 언어논리 가책형 1번 해설 – 고려 송 요 금 김부식 묘청
관련 문서
- 2014 5급 PSAT 해설 모음
- 5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5급 PSAT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국가직 7급 PSAT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언어논리 해설 모음
- 민경채 PSAT 해설 모음
- PSAT 기출 해설 모음
- PSAT 명제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PSAT 정언 논리 문제 해설 모음
- 정언 논리 공부 자료
- PSAT 추론 문제 해설 모음
- PSAT 강화 약화 문제 해설 모음
- PSAT 법조문 문제 해설 모음
- PSAT 논리퀴즈 문제 해설 모음
안녕하세요 좋은 해설 잘읽었습니다. 그런데 논리 기호화 하신 것들 중에
○ 많은 예산이 필요한 과제 가운데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나는 과제가 있다.
예산 → 즉각
이 부분에 대해 저는 생각이 달라 댓글로 질문드립니다.
문장 서술이 ‘ ~가운데 … 없다 ’ 라면 조건문으로 논리기호화가 가능하지만
문장 서술이 ‘ ~가운데 … 있다 ’ 라면 조건문으로 논리기호화하는건 이 문장의 뜻을 작은 범위를 잘못 기호화하는 것입니다. 예산이 필요한 과제 중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존재한다고만 문장이 서술된 것일뿐 예산이 필요하면 즉각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뜻이라고 해석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이 문장을 논리기호화하려면 연언명제로 기호화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 블로그 홈페이지 링크를 남겼으니 이에 대해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수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